A Study on the Bird Community in Hallasan National Park

한라산국립공원의 조류군집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7.05.31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larify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bird community structure within the boundaries of Hallasan National Park. The surveys were made during April 2006 to February 2007, and the birds were identified and the individual number of those birds was counted up to 38 species and 2,323 individuals in total. Among the total 38 species, 27 residents, 6 summer visitors, 2 winter visitors and 8 passage birds were identified by migratory pattern categories. The most dominant species was Corvus macrorhynchos (14.81%), followed by the Hypsipetes amaurotis(12.66%), and the third was Carduelis sinica(10.33%), and next, Corvus corone (8.44%). About 31 species and 1,639 individuals of birds were sighted around Sallok road 1 (A), and 27 species and 693 individuals of birds were spotted around mountain trails (B), Consequently, it was found that [A] area abounds in more birds than [B] area. Species diversity (H') was distributed over the range of $1.34{\sim}2.56$ degrees in view of the surveyed areas by season. The maximum species diversity (2.56) was found in (A) area in the spring, and the minimum species diversity (1.34) was seen in [B] area in the winter. There are different distributional patterns of birds in terms of the altitude. It was also observ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weather factors and food resources by the altitude.

한라산국립공원의 조사지역에서 2006년 4월부터 2007년 2월까지 3차례에 걸쳐 조사한 결과 관찰된 조류는 38종 2,323개체였다. 이 중 텃새가 27종이었고, 여름철새가 6종, 겨울철새가 2종, 통과새가 3종이었다. 최우점종은 큰부리까마귀(14.81%)였으며, 다음은 직박구리(12.66%), 방울새(10.33%), 까마귀(8.44%), 곤줄박이(6.72%) 등의 순이었다. 산록도로지 역(A지역)에서는 31종 1,630개체의 조류가 관찰되었고, 탐방로지역(B지역)의 27종 693개체 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다양도(H')는 $1.34{\sim}2.56$의 범위에서 봄 조사시 A지 역에서 종다양도 2.56으로 가장 높았고. 겨울 조사시 B지역에서 1.34로 가장 낮았다. 고도별로 각 종들의 분포양상이 다르게 나타난 것은 고도에 따른 기상요건과 먹이원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내무부(1992) 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한라산국립공원-158-162쪽
  2. 백운기, 이한수, 한성우(2003) 한라산국립공원 생태계연구. 국립중앙과학관학술총서 39: 167-186
  3. 박행신(1983) 제주도 한라산 산림조류의 군집구조에 관한 분석적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6쪽
  4. 박행신(1984) 한라산 북사면 산림조류의 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논문집, 19: 171-184
  5. 박행신, 원병오(1985) 한라산 산림조류의 군집구조 조사분석 연구. 한라산 천연보호지구 학술조사보고서 481-522쪽
  6. 박행신, 원병오, 소대진(1985) 제주도 조류의 개관. 한라산 천연보호지구 학술조사보고서 56-81쪽
  7. 소대진, 박행신(1987) 한라산 산림조류의 군집에 관한 연구 -관음사와 어리목 등산로를 중심으로. 제주대학교 과학 교육연구소 과학교육 4: 93-126
  8. 오홍식, 김병수, 김완병(2002) 한라산의 조류군집에 관한 연구. 한국조류학회지 9(2): 85-104
  9. 원병오(1981) 한국동식물도감 제25권 동물편(조류생태). 문교부, 1,064쪽
  10. 이우신, 구태회, 박진영(2000) 야외원색도감 한국의 새. LG 상록재단, 서울, 320쪽
  11. 채희영, 박종길(2005) 설악산국립공원의 아고산지대와 저지대의 조류군집구조. 한국조류학회지 12(1): 17-25
  12. 최재식(1991) 한국산 산림조류의 서식생태와 중금속 축적. 경상대학교 대학원논문. 5-44쪽
  13. 하경삼(1991) 지리산의 고도별 조류분포에 관한 생태학적인 연구. 경남대학교 대학원논문, 163-187쪽
  14. 함규황, 백운기, 유재평, 최재식(1992) 지리산 산림조류의 서식실태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환경연구소 연구보고 14: 113-128
  15. Bibby, C.J., N.D. Burgess and D.A. Hill(1992) Bird census technique, Academic press limited, London, UK, 257pp
  16. Feeny, P, (1970) Seasonal changes on oak leaf tannin and nutrients as a cause of spring feeding by winter moth caterpillars. Ecology 51: 565-581 https://doi.org/10.2307/1934037
  17. Neave, H.M., R.B. Cunningham, T.W. Norton and H.A. Nix(1996) Biological inventory for conservation evaluation III. Relationships between birds, vegetation and environmental attributes in southern Australia.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85: 197-218 https://doi.org/10.1016/S0378-1127(96)03759-0
  18. Shannon, C.E. and W. Weaver(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 of Illinois press. Urbana-Champaign, 117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