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o-semiotic Analysis of Plural Sexuality represented in Modern Fashion (II)

현대패션에 표현된 다원적 성에 관한 사회기호학적 분석 (II)

  • Choi, Kyung-Hee (Dept. of Clothing & Textil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Min-Ja (Dept. of Clothing & Textil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7.05.31

Abstract

The second part of this study is to typify plural sexuality articulated with fashion images in men's and women's popular fashion magazines in Korea since 2000 and ultimately to infer sexual ideology codified in modern fashion by a framework of this study, the socio-semiotic model. From this, sexuality represented in modern fashion was typified as follows: in women's fashion Traditional Femininity, Glamor Femininity, Androgynous Femininity, Babydoll Femininity and Genderless sexuality, while in men's fashion Traditional Masculinity, Macho Masculinity, Androgynous Masculinity, Adolescent Masculinity and Genderless sexuality.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modern fashion has been changed from a means expressing gender and class into a sign vehicle representing the new ruling system of age and sexual desire. The binary oppositional sexuality on center of man in the 19 C capitalist period has been gradually pluralized towards the post-capitalist period. Next, mainstream society in Korea is still positioned in the traditional heterosexuality, keeping the vertical power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woman even in the post-modern period. However, the fact that both Traditional Femininity and Androgynous Femininity acquire the position of dominant femininity connotes the change of modern femininity. Finally, plural sexuality represented in modern fashion has family resemblance and it shows contextual flexibility within contemporary period as well as a historical context. As a result, sexuality floats with a specific historical and socio-cultural context, and fashion as a material culture represents a masquerade as a identity vehicle, which constructs and de-constructs sexuality at the same time.

Keywords

References

  1. Foucault, Michel, Histoire de la sexualit Tome 1 - la volont de savoir. 이규현 (역) (2007). 性의 歷史 - 제 1권 앎의 의지. 서울: 나남출판
  2. 김성민 (2005). 대중잡지의 에디토리얼 패션사진이 독자들의 '몸' 이미지와 수용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한국사진학회지, 12, p. 159
  3. 최현숙 (2000). 패션에 표현된 전통적, 페미니즘, 포스트모던 페미니즘 여성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김정선. 김민자 (2001). 빅토리아시대 유행복식과 반유 행복식 운동에 나타난 여성성과 인체미에 관한 연구(I) 복식, 51(2)
  5. 김정선, 김민자(2001). 빅토리아 시대 유행복식과 반유행복식 운동에 나타난 여성성과 인체미에 관한 연구 (II), 복식, 51(6)
  6. 김은희 (2002). 복식에 표현된 여성의 몸 이미지 서울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이민선 (1999), 남성패션에 표현된 성적 이미지에 관한 연구 - 19세기 중반 이후를 중심으로, 복식,23(6)
  8. 송명진, 채금석 (2001) 현대 남성패션에 나타난 성 정 체성의 표현양상. 복식,25(2)
  9. 도 희, 양숙희 (2004) 뮤직비디오 의상에 나타난 남성 이미지 연구, 2000년부터 2002년 현재까지, 복식, 54(3)
  10. Currie, Dawn H. (1997). Decoding :Feminity Advertisements and Their Teenage Readers. Gender and Society. 11 (4), p. 453 https://doi.org/10.1177/089124397011004005
  11. 최경희 (2006). 현대패션에 표현된 다원적 성에 관 한 사회기호학적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2. 김현주 (2004, 8. 23) 매니쉬 룩으로 올 가을엔 섹시하게. from, www.trendin.patzzi. com/fashion/trend_fashion_view
  13. 패션 스타일 용어정리-네이버 지식iN, from http://kin.naver.com/open100/
  14. Vogue (Korea) 2005년 7월호. Vogue (Korea) 2000년 10월호, Elle Korea 2004년 4월호, Elle (Korea) 2004년 1월호. Vogue (Korea) 2005년 10월호
  15. Elle (Korea) 2003년 10월호. Elle (Korea) 2002년 10월호. Elle (Korea) 2001년 10월호, Vogue (Korea) 2001년 10월호. Vogue (Korea) 2004년 4월호
  16. GQ (Korea) 2002년 7월호. GQ (Korea) 2003년 10월호, GQ(Korea) 2002년 4월호. GQ (Korea) 2005년 7월호. GQ (Korea) 2005년 7월호
  17. GQ(Korea) 2004년 10월호. Esquire (Korea) 2005년 1월호, Esquire (Korea) 2002년 10월호
  18. Esquire (Korea) 2001년 10월호, Esquire (Korea) 2004년 10월호
  19. Elle (Korea) 2000년 4월호, Vogue (Korea) 2005년 10월호. Vogue (Korea) 2002년 7월호, Vogue (Korea) 2002년 4월호. Elle (Korea) 2000년 4월호
  20. Elle(Korea) 2004년 7월호, Elle(Korea) 2004년 10월호
  21. GQ (Korea) 2002년 7월호. GQ (Korea) 2004년 10월호, Elle(Korea) 2004년 10월호
  22. Esquire (Korea) 2001년 7월호. Esquire (Korea) 2001년 7월호. Esquire ( Korea) 2001년 7월호, Esquire (Korea) 2003년 4월호, Esquire (Korea) 2003년 4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