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with Mulberry Leaf Powder

뽕잎 분말을 첨가한 김치의 품질 특성에 관한 연구

  • La, Sun-Hwa (Dept. of Hotel Culinary and Catering Management, Chungwoon University) ;
  • Choi, Mi-Kyeong (Dept. Human Nutrition & Food Science, Chungwoon University) ;
  • Shin, Seung-Mee (Dept. of Hotel Culinary and Catering Management, Chungwoon University)
  • 라선화 (청운대학교 호텔조리식당경영학과) ;
  • 최미경 (청운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신승미 (청운대학교 호텔조리식당경영학과)
  • Published : 2007.03.31

Abstract

In this study, physicochemical, microbiological and organoleptic analyses were carried out on cabbage kimchi, a representative fermented food, that was made with 0.5%, 1.0%, and 1.5% mulberry leaf powder during fermentation. This kimchi was then compared to, kimchi without added mulberry leaf powder. The pH values showed minim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ypes of kimchi at the beginning of fermentation. The total acidities were low in every plot of kimchi and increased according to the fermentation. The total microbial cell and Lactobacilus counts increased rapidly in the exponential phase according to the fermentation, and showed little increase in the stational phase. Among the analyzed plots, the lowest population was found in the kimchi containing 1.0% of mulberry leaf powder. This kimchi, in particular, also had the best quality scores, overall acceptance and organoleptic test results during fermentation. Fermentation was slowed in the kimchi with mulberry leaf powder, according to the amount of added as compared to the kimchi without it also showed less acidity. The color appearance, however, of the kimchi with added mulberry leaf powder, was inferior to that of the kimchi without mulberry leaf powder.

뽕잎 분말을 0%, 0.5%, 1.0%, 1.5%로 첨가량을 달리하여 김치를 제조하고 15$^{\circ}C$에서 20시간 숙성시킨 후, 4$^{\circ}C$에서 6주간 저장${\cdot}$숙성시키면서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뽕잎 분말을 첨가한 김치의 단백질 함량은 뽕잎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김치보다 높았으며, 무기질 중 칼륨, 칼슘, 마그네슘, 철분 순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 2. pH의 변화는 숙성이 진행될수록 모든 처리구에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뽕잎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김치가 숙성후기에 가장 낮은 pH를 보였으며, 뽕잎 분말을1.5% 첨가한 김치가 가장 높은 pH를 보였다. 산도의 변화는 숙성 초기에는 낮다가 점차적으로 높아졌으며 숙성적기 이후부터 완만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뽕잎 분말을 0.5%, 1.0%, 1.5% 첨가한 김치가 뽕잎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김치보다 총산도가 높았다. 염도는 숙성 초기에 약간 낮아지다가 3주째 약간 증가하는 변화가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거의 변화가 없었다. 3.총균수는 김치의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초기에 급속히 증가한 후 완만한 증가를 보였다. 숙성 중에는 뽕잎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김치가 뽕잎 분말을 첨가한 김치보다 총균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젖산균수는 숙성 전반기에 급격하게 증가하다가 후반기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각 시료군 간의 비교에 있어 뽕잎 분말을1.0%첨가한 김치는 숙성 5주째에 이르러 최대 젖산균수를 보여 젖산균의 생육이 늦은 것으로 나타났다. 4. 뽕잎 분말 첨가 김치의 저장 6주째 관능평가 결과, 1.0%첨가 김치의 질감이나 전체적인 기호도 점수가 다른 처리구보다 가장 높아 관능적 특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 측정에 있어서는 뽕잎 분말을 첨가한 김치의적색도가 숙성기간동안 뽕잎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김치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낮았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뽕잎 분말의 첨가는 김치의 품질과숙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뽕잎 분말을 0.5%, 1.0%, 1.5% 첨가한 김치가 뽕잎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김치보다 품질의 전반적인 결과가 좋았으며, 특히 뽕잎 분말을1.0% 첨가한 김치가 모든 숙성기간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종합적인 관능평가에서도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다. 또한 김치에 첨가한 뽕잎 분말이 함량이 높을수록 숙성이 지연되었고 신맛이 덜 느껴지는 반면에, 색상 변화에서는 문제점이 발견되어 향후 이 부분을 보완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Bang, BH, Seo, JS and Jeong, EJ. Effect of semi-dry red pepper powder on quality of kimchi. Kor. J. Food Preservation. 18:146-148. 2005
  2. 최홍식. 한국의 김치문화와 식생화, pp.319-357. 도서출판 효일. 2002
  3. Moon, SW, Shin, HK and Gi, GE. Effect of xylitol and grapefruit seed extract on sensory value and fermentation of baechu kimchi. Kor. J. Food Sci. Technol. 35:246-253. 2003
  4. Lee, WC, Kim, AJ and Kim, SY. The study on the functional materials and effects of mulberry leaf Food Sci. Industry. 36:2-14. 2003
  5. Kim, SY, Lee, WC, Kim, HB, Kim, AJ and Kim, SK. Antihyperlipidemic effects of methanol extracts from mulberry leaves in cholesterol-induced hyperlidemia rats. J. Kor. Soc. Food Sci. Nutr. 27:1217-1222. 1998
  6. Doik, Kojima, T. and Fujimoto, Y. Mulberry leaf extract inhibits the oxidative modification of rabbit and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Biol Pharm. Bull. 23:1066-1071. 2000 https://doi.org/10.1248/bpb.23.1066
  7. Kim, YA. Effects of mulberry leaves powders on the quality charaeterisitics of yellow layer cakes. Kor. J. Food Sci. Technol. 35:871-876. 2003
  8.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4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1995
  9. 임정남. 식품의 무기성분분석. 식품과 영양. 7:42. 농촌진흥청. 1986
  10. Kim, AJ, Rho, JO and Choi, WS. The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cooked rice according to the different coating ratio of mulberry leaves extracts. J. Soc. Food Cookery Sci. 19:571-580. 2003
  11. Lee, HS, Ko, YT and Lim, SJ. Effects of protein sources on kimchi fermentation and on the stability of ascorbic acid. Kor. J. Nutr. 17:101-106. 1984
  12. Kim, MK and Kim, S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imchi treated with different methods of green tea water extracts. Kor. J. Food Preservation. 10:354-359. 2003
  13. Choi, SY, Kim, YB, Yoo, JY, Lee, IS, Chung, KS and Koo, YJ.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s concentration of kimchi manufacturing on storage. Kor. J. Food. Sci. Technol. 22: 707-710. 1990
  14. Park, HJ, Kim, SI, Lee, YK and Han, YS. Effect of green tea and kimchi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Kor. J. Soc. Food Sci. 10:315-321.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