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생활관련 웰빙지향 소비가치와 웰빙식품 소비행동

A Study on the Well-being Food Consumption Behaviors and the Well-being Oriented Consumption Values

  • 제미경 (인제대학교 생활상담복지학부 소비자상담복지) ;
  • 전향란 (인제대학교 생활상담복지학부 소비자상담복지)
  • 발행 : 2007.11.30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ypes of well-being oriented consumption values that lead to well-being food consumption behaviors, as well as to identify the variables influence well-being food consumption. A survey of 579 women aged 20 or more was conducted through azoomma.com, an online portal sit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level of well-being food consumption was above the mid-value for all categories, with the exception of food with added ingredients. In addt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approximately 22.7% of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foods consumed were chosen based on emotional value, degree of price perception and educational level. Conversely, 20.8% of the confectionaeries consumed were chosen based on emotional value, age, degree of price perception, average monthly income, and functional value. When food with added ingredients were considered 16.6% of those were chosen based on emotional value, social value, and degree of price perception. Finally, 29.3% of cereals and fish consumed were chosen based on emotional value, degree of family's health, and social value.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민희(2005). 웰빙트랜드 신제품 개발을 위한 소비자가치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민정, 김병숙(2005). 웰빙에 대한 척도개발과 웰빙지향 소비행동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소비문화연구, 8(2), 149-163
  3. 김병숙(2007). 웰빙지향행동의 영향요인과 웰빙소비자 유형.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영한, 임희정(2004). 웰빙마케팅. 서울: 다산북스
  5. 명춘옥, 박영심, 남혜원, 이기완(2007). 대학생들의 웰빙에 대한 의식과 생활 습관에 관한 연구,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17(1), 23-41
  6. 민병하(2004). 소비자의 웰빙식품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라이프스타일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박영심, 명춘옥, 이기완, 남혜원(2005). 도시 주부들의 웰빙에 대한 인식과 식생활유형에 대한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0(5), 574-584
  8. 서울경제(2007. 4. 2). '웰빙의 함정' 기사
  9. 송 은(2006). 웰빙의식이 대학 기숙사 급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4(11), 161-170
  10. 연합뉴스(2006. 1. 6). '상주시, 곶감 원산지 표시 집중 단속' 기사
  11. 연합뉴스 (2006. 7. 28). '과대광고, 불법식품 판매 무더기 적발' 기사
  12. 유현정(2006). 웰빙트렌드에 대한 소비자의식 및 웰빙행동, 한국생활과학회지, 15(2), 261-274
  13. 이미숙(2004). 생활양식으로서의 웰빙: 아론과 적용의 뿌리 찾기, 한국생활과학회지, 13(3), 1-7
  14. 이영민, 백수련, 박흥주, 심근섭, 이희주, 전혜경(2006). 인구 사회학적특성에 따른 웰빙식품관련정보의 요구도,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7(3), 175-182
  15. 임경환(2006). 소비자의 행동변화가 외식구매동기에 미치는 영향 - 웰빙을 추구하는 여성고객을 중심으로, 관광연구, 20(1), 199-216
  16. 조광익, 안현영, 노율구(2006). 패스트푸드 웰빙메뉴가 고객 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20(3), 141-160
  17. 최순희, 이윤주, 최영준(2006). 웰빙 트랜드가 한과류 선택 속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조리학회지, 12(3), 32-48
  18. 한영호(2004). 현대 소비사회에서 웰빙 트랜드의 개념과 소비 성향 분석.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허경옥, 배미경, 김기옥, 이승신, 박선영(2000). 생활과학연구 방법과 통계분석. 서울: 교문사
  20. Nunnally, Jum C.(1978). Psychometric Theory, 2nd edition, New York, McGraw-Hill
  21. Sheth, J. N., Newman, B. I., & Gross, B. L. (1991). Consumption Values and Market Choices; theory and applications, South-Western publishing C., Cincinnati, Oh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