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the Bijombon Haerampeon Written by Eonjin Lee

우상 이언진의 비점본 「해람편」 연구

  • Received : 2007.05.26
  • Accepted : 2007.06.07
  • Published : 2007.06.30

Abstract

This paper focuses on the Bijombon Haerampeon written by Lee Eonjin The analysis of the paper is associated with the following: i) the career of Lee Eonjin ; ii) the manuscripts and collected works of Lee Eonjin ; iii) Haerampeon ; iv) Lee Yeonghyu and Nam Ok ; v) and the comparison of the Bijombon Haerampeon and Haerampeon carried in Songmokkwanjip and Songmokkwansinyeogo. Lee Eonjin(1740-1766) was a great poet and better known as one of the four great interpreters in Chosun dynasty. Woosangingbok was the only manuscripts handed down up to now among the works of Lee Eonjin. Woosangingbok ran the Bijombon Haerampeon, 6 pieces of itinery, 3 pieces of poem, 5 pieces of letter. Lee Eonjin visited Japan from the 6th of October, 1763 to the 20th of June in 1764 as a member of Tongsinsa in attendance upon Cho Om. He wrote Haerampeon vividly with five characters what he observed during his stay in Japan. It was composed on board of Ilkido from the 28th of May to the 8th of June in 1746. After Lee Yeonghyu and Nam Ok reviewed Haerampeon, Lee Yeonghyu placed a blue point and circle and Nam Ok placed a red point and circle. Ultimately the result raised the value of Haerampeon. Haerampeon is to be divide into four parts. Four parts are described below: the first part, the geographic features and products of Japan; the second part, the grow of Osaka city and the cityward tendency of world products; the third part, the racial prejudice, religion, and life; and the fourth part, the good neighborly relations with Japan. Finally, as compared with the proofing and difference of three kinds of text, namely, the Bijombon Haerampeon and Haerampeon carried in Songmokkwanjip and Songmokkwansinyeogo, it is approved that the Bijombon Haerampeon is the most correct text and has the value of cultural properties as a national treasur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ill be contributed for research Lee Eonjin and utilized as information resources in the field of bibliographic scienc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nd historical studies, etc.

이 글은 새로 발굴된 우상 이언진의 비점본 "해람편(海覽篇)"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내용의 전개는 우상(虞裳) 이언진의 생애(生涯), 우상(虞裳) 이언진의 유고(遺稿)와 문집(文集), "해람편(海覽篇)", 비점본(批點本) "해람편(海覽篇)"의 비점자(批點者) 이용휴(李用休)와 남옥(南玉), 비점본(批點本) "해람편(海覽篇)"과 "송목관집(松穆館集)" "송목관신여고(松穆館燼餘稿)"의 "해람편(海覽篇)" 비교의 순서로 살펴보았다. 이언진은 영조 16년(1740)~영조 42년(1766) 사이의 인물로 역관사가(譯官四家)로 알려진 시인이자 역관이다. 우상의 유고는 유일한 필첩인 "우상잉복(虞裳剩馥)"뿐이며 "우상잉복(虞裳剩馥)"에는 이용휴(李用休)와 남옥(南玉)이 비점을 찍은 "해람편(海覽篇)"과 일본 사행시의 일기 6편, 시 3편, 편지 5편이 실려 있다. 그중 비점본 "해람편(海覽篇)"은 영조40년(1764) 5월28일부터 6월8일 사이에 일기도(壹岐島) 선상에서 기술된 오언시(五言詩)이다. 이 시에는 이언진이 영조 39년(1763) 10월 6일부터 영조 40년(1764) 6월 20일까지 통신사 조엄을 수행하고 한학역관으로 일본에 파견되어 그곳에 머무르는 동안 보고 느낀 것이 생생하게 기술되어 있다. 이용휴와 남옥은 "해람편(海覽篇)"에 각각 청비(靑批) 청관주(淸貫珠) 및 주비(朱批) 주관주(朱貫珠)를 찍어서 해람편의 가치를 높이고 있다. "해람편(海覽篇)"은 네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제1단계는 일본의 지리적인 위치와 그 풍물에 대한 것을, 제2단계는 대판(大阪)의 발전된 도시의 모습과 문명개화를 통해 운집한 세계의 물산(物産)들을, 제3단계는 일본인의 편향적인 민족성과 종교 및 서민들의 모습을, 제4단계는 일본과의 선린을 묘사하였다. 마지막장에는 비점본 "해람편(海覽篇)"과 "송목관집(松穆館集)" 및 "송목관신여고(松穆館燼餘稿)"에 실린 "해람편(海覽篇)"의 텍스트를 대교하고 그 차이점을 비교함으로써, 비점본 "해람편(海覽篇)"의 본문이 가장 정확하고 문화재로서의 가치가 있음을 밝혔다. 이 논문의 연구결과는 이언진의 연구는 물론 서지학계, 국어학계, 역사학계에 가장 기본적인 연구 성과로 활용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