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fluences of Small Group Discussion and Students' Visual Learning Style on Learning with Multiple Representations Using Drawing and Writing: Focused on Chemical Concepts

소집단 토론과 시각적 학습 양식이 그리기와 쓰기를 활용한 다중 표상 학습에 미치는 영향: 화학 개념을 중심으로

  • Published : 2007.02.28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s of small group discussion and students' visual learning style in learning chemical concepts with drawing and writing as methods to assist students in connecting and integrating multiple external representations. Seventh graders (N=449) at a coed middle school were assigned to individual drawing (ID), pair drawing (PD), individual writing (IW), and pair writing (PW) groups. All students learned "Boyle's Law" and "Charles's Law" for two class periods. Analyses of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students in the PD group, regardless of students' visual learning style,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ID group in a conception test. The scores of the students with strong visual learning preference in the PW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IW group in the conception test, while the scores of the students with weak visual learning preferenc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Although the conception test scores of the PD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PW group, the difference was relatively small. It was found that most students in both PD and PW groups perceived pair drawing and pair writing positively upon cognitive and motivational aspects.

이 연구에서는 소집단 토론이 화학 개념 학습에서 제공되는 외적 표상들 간의 연계와 통합을 촉진하는 방안으로서의 그리기와 쓰기에 미치는 영향을 학생들의 시각적 학습 양식에 따라 조사하였다. 남녀공학 중학교 1학년 학생 449명을 개별 그리기 집단, 2인 1조의 소집단 그리기 집단, 개별 쓰기 집단, 2인 1조의 소집단 쓰기 집단에 배치한 후, '보일의 법칙', '샤를의 법칙'에 대하여 2차시 동안 수업을 실시하였다. 개념 이해도 검사 결과, 시각적 학습 양식과 관계없이 개별 그리기 집단보다 소집단 그리기 집단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로 높았다. 쓰기 집단에서는 시각적 학습 선호 학생들의 경우 소집단 쓰기 집단의 점수가 개별 쓰기 집단의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로 높았으나, 시각적 학습 비선호 학생들의 집단 간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소집단 그리기 집단의 점수가 소집단 쓰기 집단의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높은 경향성을 보였다. 많은 학생들이 소집단 그리기와 소집단 쓰기에 대해 인지적, 동기적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석진 (2000) . 토론 과정에서 사회적 합의 형성을 강조한 개념 학습 전략: 교수 효과 및 소집단 토론에서 의 언어적 상호작용.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2. 강훈식, 김보경, 노태희 (2005). 물질의 입자적 성질 에 대한 다중 표상 학습에서 외적 표상들 간의 연계와 통합을 촉진시키는 방안으로서의 그리기와 쓰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4), 533-540
  3. 강훈식, 노태희 (2006). 외적 표상들 간의 연계와 통합을 촉진하는 방안으로서의 그리기에 미치는 상황 흥미, 주의집중, 인지적 노력의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 지, 26(4), 510-517
  4. 김봉순 (2000) 학습자의 텍스트 구조에 대한 인지도 발달 연구. 국어교육, 102(1), 27-85
  5. 김희백, 김도욱 (1997). 고등학생의 학습 전략과 과 학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 및 화학 학습성취도 간의 관 계. 화학교육, 24(6), 333-345
  6. 노태희, 최용남 (1996). 초. 중. 고 학생틀의 과학 수업 환경 인식 및 태도와의 관계성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2), 217-225
  7. 이재천, 김범기 (1996). 고등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정의적 인식과 과학 탐구능력 및 과학 학습성취도의 구 조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3), 249-259
  8. 유승아, 구인선, 김봉곤, 강대호 (1999). 기체의 성질에 대한 중, 고등학생들의 오개념에 관한 연구. 대한화학회지, 43(5), 564-577
  9. 임희준 (1998). 과학 수업에서의 협동학습: 교수 효 과와 소집단의 언어적 상호작용. 서울대학교 대학윈 박 사학위 논문
  10. 조경자, 한광희 (2002).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인지 양식이 학습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실험 및 인지, 14(3), 165-185
  11. 조희형, 박승재 (1995). 과학 학습지도: 계획과 방법. 서울: 교육과학사
  12. 한재영 (2003). 소집단 과학 학습에서 유화성에 따 른 집단 구성의 교수 효과 및 언어적 상호작용. 서울대 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13. 한재영, 강훈식, 김보경, 노태희 (2005). 물질의 입 자성에 대한 학습에서 소집단 그림 그리기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7), 721-727
  14. Ardac, D., & Akaygun, S. (2004). Effectiveness of multimedia-based instruction that emphasizes molecular representations on students' understanding of chemical chang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4), 317-337 https://doi.org/10.1002/tea.20005
  15. Edens, K. M, & Potter, E. F. (2003). Using descriptive drawings as a conceptual change strategy in elementary science.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3(3), 135-144 https://doi.org/10.1111/j.1949-8594.2003.tb18230.x
  16. Glynn, S. (1997). Drawing mental models. The Science Teacher, 64(1), 30-32
  17. Keys, C. W. (1994).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reasoning skills in conjunction with collaborative writing assignments: An interpretive study of six ninth-grade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9), 1003-1022 https://doi.org/10.1002/tea.3660310912
  18. Kirby, J. R., Moore, P. J., & Schofield, N. J. (1988). Verbal and visual learning styles.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13(2), 169-184 https://doi.org/10.1016/0361-476X(88)90017-3
  19. Kozma, R. (2003). The material features of multiple representations and their cognitive and social affordances for science understanding. Learning and Instruction, 13(2), 205-226 https://doi.org/10.1016/S0959-4752(02)00021-X
  20. Lee, G., Shin, J., Park, J., Song, S., Kim, Y, & Bao, L. (2005). An integrated theoretical structure of mental models: Toward understanding how students form their ideas about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5(6), 698-707
  21. Lin, H-S., Cheng, H-J., & Lawrenz, F. (2000). The assessment of students and teachers' understanding of gas laws.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77(2), 235-238 https://doi.org/10.1021/ed077p235
  22. Lovelace, M K (2005). Meta-analysis of experimental research based on the Dunn and Dunn model.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98(3), 176-183 https://doi.org/10.3200/JOER.98.3.176-183
  23. Rivard, L. P., & Straw, S. B. (2000). The effect of talk and writing on learning science: An exploratory study. Science Education, 84(5), 566-593 https://doi.org/10.1002/1098-237X(200009)84:5<566::AID-SCE2>3.0.CO;2-U
  24. Schank:, P., & Kozma, R. (2002). Learning chemistry through the use of a representation-based knowledge building environment. Journal of Computers in Mathematics and Science Teaching, 21(3), 253-279
  25. Stein, M, McNair, S., & Butcher, J. (2001). Drawing on student understanding: Using illustrations to invoke deeper thinking about animals. Science and Children, 38(4), 18-22
  26. van Bruggen, J. M, Kirschner, P. A., & Jocherrs, W. (2002). External representation of argumentation in CSCL and the management of cognitive load. Learning and Instruction, 12(1), 121-138 https://doi.org/10.1016/S0959-4752(01)00019-6
  27. van Merrienboer, J. J. G., & Sweller, J. (2005). Cognitive load theory and complex learning: Recent developments and future directions.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7(2), 147-177 https://doi.org/10.1007/s10648-005-3951-0
  28. van Meter, P., & Garner, J. (2005). The promise and practice of learner-generated drawing: Literature review and synthesis.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7(4), 285 -325 https://doi.org/10.1007/s10648-005-8136-3
  29. Wilen, W. W. (1990). Forms and phases of discussion. In W. W. Wilen (Ed.),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discussion: The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of the discussion method (pp. 3-24), Springfield, IL: Charles Thomas Publisher
  30. Wu, H-K, & Shah, P. (2004). Exploring visuospatial thinking in chemistry learning. Science Education, 88(3), 465-492 https://doi.org/10.1002/sce.1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