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Ability of Students' Raising Creative Problems and Academic Achievement, Science Inquiry Skills and Creative Personality of High School Students

고등학생들의 독창적인 문제발견 능력과 학업 성취도, 과학 탐구능력, 창의적 성격과의 관계

  • Published : 2007.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ability of students' raising creative problems and academic achievement, science inquiry skills and creative personality of high school students. In order to evaluate the originality of problems, the present study used three methods: evaluation by frequency, teacher, and student. The results in this study turned out to b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t much difference in the three methods. But familiar problems had the possibility of receiving higher marks. Second, the ability of students' raising creative problem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 and creative personality, but there was no correlation with science inquiry skill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by students' originality score. In the higher score group, the ability of students' raising creative problem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reative personality, but in the lower score group, i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 Third, as for science inquiry skills and creative personality between two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hereas as for academic achievement(physics I, chemistry I),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들의 독창적인 문제발견 능력과 과학 학업 성취도, 과학 탐구능력, 창의적 성격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발견된 문제의 독창성을 평가하기 위해 빈도수에 의한 평가와 교사와 학생에 의한 주관적 판단에 의한 평가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세 가지 평가 방법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빈도수에 의해 평가할 경우 친숙한 문제가 더 높은 점수를 받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 학생들의 독창적인 문제발견 능력은 학업 성취도 및 창의적 성격과 정적 상관이 있었으나, 과학 탐구능력괴는 상관이 없었다. 그러나 독창성 점수가 높은 상위 집단에서는 창의적 성격과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하위 집단에서는 학업 성취도와 정적 상관이 있었다. 또한 독창성 점수가 높은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 간의 과학 탐구능력과 창의적 성격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학업 성취도는 물리I과 화학I 과목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앞으로 문제발견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와 함께 독창적인 문제발견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명숙 (2002). 창의성의 영역 특수성. 교육심리연구, 16(2), 153-172
  2. 김승훈 (2004). 중학생의 과학창의력 측정도구의 개 발과 창의력 관련 변인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3. 김종안 (1998). 통합적 접근에 기초한 아동의 창 성 측정도구 개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4. 류시경, 박종석 (2006). 낮게 구조화된 과학적 문제 상황에서 고등학생들의 문제발견 활동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6), 765-774
  5. 박경희 (2004). 과학창의성 검사도구 개발과 과학영 재아의 뇌 기능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6. 신지은, 한기순, 정현철, 박병건, 최승언 (2002) 과 학 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은 창의성에서 어떻게 다른 가?-서울대학교 과학영재센터 학생들을 중심으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1), 158-175
  7. 윤경미 (2004)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문제발견의 차이 및 문제발견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인 분석. 부산대학교박사학위 논문
  8. 이신동 (2002). 대학생용 창의적 성격검사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심리연구, 16(2), 43-61
  9. 이혜주 (2005) 구조화 정도가 다른 문제 상황에서 문제발견에 대한 제 변인의 상대적 기여도 분석. 초등교육연구, 18(2), 123-148
  10. 임청환 (1992). 서열화 이론의 방법과 절차 및 이를 이용한 과학탐구기능 요소의 위계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2(3), 91-107
  11. 임현수 (1999), 창의성 측정의 타당화 연구. 서울대학교박사학위 논문
  12. 최미화, 최병순(1999), 통합주제를 중심으로 한 중학교 수준의 통합과학 내용구성 방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2), 204-216
  13. 하주현 (2006), 문제발견과 창의성. 지식경영연구, 7(1), 1-12
  14. Amabile, T. M. (1996). Creativity in contextrznd ed.): Update to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 Boulder, CO: Westview Press
  15. Anderson, J. R. (1985). Cognitive psychology and its implications. New York: W. H. Freeman
  16. Frederiksen, N. (1984). Implications of cognitive theory for instruction in problem solv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4(3), 363-407 https://doi.org/10.3102/00346543054003363
  17. Getzel, J. W. (1982). The problem of the problem. In R. M. Hogarth (Ed.), Question forming and response consistency (pp. 37-44). San Francisco, CA: Jossey-Bass
  18. Getzels, J. W. & Csikszentmihalyi, M. (1976). The Creative Vision: A longitudinal study of problem finding in art. New York: John Wiley
  19. Hu. W. & Adey, P. (2002). A scientific creativity test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4), 389-403 https://doi.org/10.1080/09500690110098912
  20. Jay, E. S. (1996). The Nature of Problem Finding in Students' Scientific Inquir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rvard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21. Jay, E. S. & Perkins. D. N. (1997). Problem Finding: The search for mechanism. In M. A. Runco(Ed.), The Creativity Research Handbock (Volume I), (pp. 257-293). New Jersey: Hampton Press
  22. Mansfield, R. S. & Busse, T. V. (1981). The Psychology of Creativity and Discovery: Scientists and Their Work. Nelson-Hall
  23. Mumford, M. D., Reiter-Palmon, R., & Redmond, M. R. (1994). Problem Construction and Cognition: Applying Problem Representations in Ill-Defined Domains. In M. A. Runcorfd.), Problem Finding, Problem Solving, and Creativity, (pp. 3-39). New Jersey: Ablex Publishing Corporationn
  24. Rosenman, M. F. (1988). Serendipity and Scientific Discovery.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2(2)
  25. Sternberg, R. J. (1985). Implicit Theories of intelligence, creativity, and wisdom.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49(3). 607-627 https://doi.org/10.1037/0022-3514.49.3.607
  26. Wakefield, J. F. (1989). Creativity and cognition: some implications for art education. Creative Research Journal, 2, 51-63 https://doi.org/10.1080/10400418909534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