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ative Study on Physics Inquiry Activities of Science Textbooks for Secondary School in Korea and Singapore

한국과 싱가포르의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물리 영역 탐구 활동의 특징 비교

  • Published : 2007.10.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inquiry activities in science textbooks' physics contents for Korean secondary schools with those of Singapore in order to provide a reference for further improvement of inquiry activities in Korean science textbooks. We analyzed inquiry activities using the framework of Millar et al.(1998) and Chinn & Malhotra (2002).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Singaporean inquiry activities in the area of 'learning objectives', 'students' thinking activities' and 'degree of openness'. In the area of 'learning objectives', the Korean textbooks have more activities associated with the learning of science content than those in Singaporean, whereas the Singaporean textbooks have more activities associated with the processes of scientific inquiry than in Korean textbooks. In the area of 'students' thinking activities', the Singaporean textbooks have activities like 'test a prediction', which Korean textbooks lack. The 'degree of openness' is higher in Singaporean textbooks than in Korean textbooks. And some differences in the area of 'authentic scientific inquiry' between Korean and Singaporean textbooks were also found. While the Korean textbooks do not have any activities associated with 'generating research questions', the Singaporean ones feature such activities. In the area of 'designing studies', the Singaporean textbooks have activities corresponding to 'selecting variables' and 'controlling variables', while the Korean ones never have such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it is necessary to balance inquiry activities in the area of 'learning objectives', 'students' thinking activities' and 'degree of openness', and to present activities close to authentic scientific inquiry in inquiry activities in textbooks.

본 연구는 한국과 싱가포르의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 실린 물리 영역의 탐구 활동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차기 과학과 교과서 탐구 활동 구성에 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한 목적을 지닌다. 두 나라의 교과서 탐구 활동을 탐구 활동의 일반적인 특징과 참 과학 탐구(authentic scientific inquiry)의 반영 정도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는데, 이를 위해 각각 Millar et al.(1998)의 탐구 활동 분석틀과 Chinn & Malhotra(2002)의 분석틀을 수정 보완하여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두 나라 탐구 활동의 목적, 학생의 사고 관련 활동, 과제의 개방성 정도에서 차이가 발견되었다. 탐구 활동의 목적 영역에서 한국은 내용 중심적인 활동이 많았고, 싱가포르는 과정 중심적인 활동이 많았다. 학생의 사고 관련 활동 영역에서 싱가포르에는 한국에는 드문 '예상한 것 검증하기' 등의 사고 관련 활동이 있었으며, 탐구의 개방성 정도도 싱가포르가 한국보다 높았다. 두 나라의 탐구 활동에서 참 과학 탐구를 반영하고 있는 정도에도 차이가 발견되었다. 한국에는 학생들이 스스로 연구 문제를 착안하는 활동이 전혀 없었으나 싱가포르에는 이러한 활동이 있었으며, 연구 설계 항목에서 한국의 탐구 활동에는 없는 변인 설정, 변인 통제 활동이 싱가포르에는 발견되었다. 연구 결과는 교과서 탐구 활동을 구성할 때 탐구 활동의 목적, 학생의 사고 관련 활동, 과제의 개방성 정도 등의 요소가 고르게 포함되도록 할 필요가 있으며, 참 과학 탐구 요소를 적절히 반영할 필요가 았다는 것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1997).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2. 교육인적자원부 (2007). 중학교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3. 김재우, 오원근, 박승재 (1999).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탐구 문제에 대한 변인 판별 및 통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4), 674-683
  4. 김주훈, 김영민, 이양락, 노석구 (1991). 교육 본질 추구를 위한 과학 교육 평가체제 연구(II). 한국교육개발원
  5. 김희경 (2003). 중학생의 동료간 논변활동을 강조한 개방적 물리 탐구: 조건, 특징, 역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6. 박순경, 조덕주, 채선희, 정윤경 (1999). 교육과정.교육평가 국제비교 연구(I).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99-6-1
  7. 박효순, 조희형 (2003). 중학교 2학년 과학 교과서의 탐구 영역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3), 239-245
  8. 심규철, 김현섭, 박영철 (2002). 제7차 교육과정 7학년 과학 교과 생명 영역의 탐구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550-559
  9. 유모경, 조희형 (2003). 중학교 1학년 과학 교과서의 탐구 영역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5), 494-504
  10. 이봉우 (2005). 외국 과학교육과정의 탐구기준 비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7), 873-884
  11. 이승우 (2004). 중학교 2.3학년 교과서에 반영된 실제 과학 탐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한효순, 최병순, 강순민, 박종윤 (2002). '생각하는 과학' 프로그램의 변인활동이 초등학생의 변인통제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571-585
  13. 홍미영 (2002). 우리나라 중학생들의 과학적 탐구 및 과학의 본성 영역에서의 국제 성취도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2), 336-344
  14. 황성원, 박승재 (2001). 전기와 자기에 대한 중학생들의 개방적 탐구에서 과제 유형에 따른 탐구 수행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2), 255-263
  15. Chinn, C. A. & Malhotra, B. A. (2002). Epistemologically authentic inquiry in school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evaluating inquiry tasks. Science Education, 86, 175-218 https://doi.org/10.1002/sce.10001
  16. Germann, P. J., Aram, R.. & Burke, G. (1996). Identify patterns and relationships among the responses of seventh-grade students to the science process skill of designing experim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1), 79-99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601)33:1<79::AID-TEA5>3.0.CO;2-M
  17. Guthrie, J. T. (1981). Forms and functions of textbooks. Journal of Reading, March, 554-556
  18. Heyworth, R. M. (2004a). Explore your world with science discovery1, Pearson Education South Asia Pte Ltd
  19. Heyworth. R. M (2004b). Explore your world with science discovery2, Pearson Education South Asia Pte Ltd
  20. Millar, R., Le Marechal, J-F. & Tiberghien, A. (1998). A map of the variety of labwork. Working Paper 1 from the European project: Labwork in Science Education
  21. Ministry of Education (2001a). Curriculum planning & development division. Science Syllabus, Lower Secondary. Ministry of Education in Singapore
  22. Ministry of Education (2001b). Curriculum planning & development division. Science Syllabus, Primary. Ministry of Education in Singapore
  23. Ministry of Education (2006). Nurturing every child, flexibility & diversity in Singapore schools. Ministry of Education in Singap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