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Pollen grains of seven taxa on the family Pyrolaceae, known to be distributed in Korea (Pyrola dahurica(Andreses) Kom., P. incarnata (DC.) Fisch. ex Kom., P. japonica Klenze ex Alefeld, P. minor L., P. renifolia Max., Orthilia secunda (L.) House, Chimaphila japonica Miq.), were examined by the light and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in order to evaluate their taxonomic significances. The pollen units of genus Pyrola, Orthilia, Chimaphila were tetrad, monad, polyad respectively. This characteristics was good character for delimiting the genus, and Orthilia secunda (L.) House was more proper scientific name than Pyrola secunda L. based upon this character. Pollen size, tricolporate length, surface sculpturing pattern were different slightly among the treated taxa, and surface sculpturing patterns of Pyrola dahurica, P. incarnate, P. renifolia, Chimaphiza japonica were different from previous reports. Evolutionary trends of pollen grains in Pyrolaceae were inferred from the pollen units and aperture shapes.
국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진 노루발과 7분류군의 화분에 대하여 분류학적 가치를 파악하기 위하여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성숙한 화분의 단위(pollen unit)는 Pyrola속의 호노루발[P. dahurica(Andres) Kom.], 분홍노루발[P. incarnata(DC.) Fisch. ex Kom.], 노루발(P. japonica Klenze ex Alefeld), 주걱노루발(P. minor L.), 콩팥노루발(P. renifolia Max.)에서 사립(tetrad), Orthilia속의 새끼노루발[P. secunda(L.) House]에서 단립(monad), Chimaphila속의 매화노루발(C. japonica Miq.)에서 사립들이 엉성하게 모여 다립(polyad)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노루발과의 성숙한 화분의 단위는 과내 속을 구분하는 중요한 형질로 판단되었으며, 이를 근거로 새끼노루발의 학명은 Pyrola secunda L.보다는 Orthilia secunda(L.) House가 적합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화분의 크기와 삼공구형(tricolporate)인 발아구의 크기, 표벽 무늬는 분류군 간에 다소 차이를 나타냈으며, 호노루발과 콩팥노루발, 분홍노루발, 주걱노루발의 표면무늬는 기존 보고와 다소 상이하였다. 본 연구에서 취급된 분류군들의 화분은 성숙한 화분의 구성단위가 각기 사립에서 단립과 다립으로, 발아구의 형태가 공구형에서 공형으로의 진화경향성을 추론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