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rrelation Analysis and Estimation Modeling Between Road Environmental Factors and Traffic Accidents (The Case of a 4-legged Signalized Intersections in Cheongju)

도로환경요인과 교통사고의 상관분석 및 사고추정모형 개발 (청주시 4지 신호교차로를 중심으로)

  • Published : 2007.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raffic characteristic analysis, a correlation analysis with the variables of traffic characteristics, and accident estimation models while recognizing the seriousness of the traffic accidents. The analyses deal with the 181 4-legged signalized intersections that accounted for 1,183 out of 3,115 accidents in Cheongju in 2004. After measuring ADT, intersection area, average lane width, elevation, and other item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number of traffic accidents, the traffic accident rate (accidents per million entering vehicles) and equivalent property damage only (EPDO) figures as dependent variables which are estimated as influencing signalized intersection accidents, the estimation models are develop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the analysis of the number of traffic accidents, the model indicates an $R^2$ of 0.612, and five independent variables are taken as significant factors. In the analysis of traffic accident rates, the model indicates an $R^2$ of 0.304 and five significant factors, including intersection area and ADT. Also, for the analysis or the EPDO numbers, which coincides with understanding the seriousness of the traffic accidents and the traffic characteristic analysis, the model indicates an $R^2$ of 0.559, and four independent variables (ADT, main street average lane width, elevation, and speed limit) as significant factors.

본 연구의 목적은 신호교차로의 교통사고 심각성을 인식하고, 교통사고의 특성분석과 관련변수와의 상관분석 및 사고추정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하에 본 연구에서는 2004년도 청주시 총 교통사고건수 3,115건 중 1,183건이 발생한 4지 신호교차로 전체(181개소)를 대상으로 하였다. 신호교차로 사고에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되는 ADT, 교차로 면적, 평균차로폭 및 종단경사 등 독립변수들과 교통사고건수, 교통사고율(MEV) 및 EPDO를 종속변수로 선정하여,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추정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개발 결과, 교통사고건수의 경우 ADT 등 5개의 변수가 주요 요인으로 분석되었으며($R^2=0.612$), 교통사고율(MEV)의 경우 교차로면적 등 5개 변수가 주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R^2=0.304$). 또한 신호교차로 교통사고의 심각성 및 특성분석이라는 본 연구의 목적에 가장 부합되는 EPDO의 경우는 ADT, 주도로 평균차로폭, 상향종단경사, 제한속도 차 등 4개 변수가 주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R^2=0.559$)

Keywords

References

  1. 강승림(2003), '고속도로 선형조건과 GIS기반 교통사고위험도지수 분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2. 국토연구원(1996), '도로기하구조와 안전성의 상호관계분석'
  3. 김홍상(1987), '교통사고의 기술 방법에 관한 연구', 서독 칼스루에 공과대학 박사학위논문
  4. 김홍상(1998), '국도교차로 형태에 따른 교통사고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재단
  5. 김효종(1997), '교통사고 유형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류승옥(2005), '고속도로 교차점의 기하구조와 교통사고의 관계설정 및 모형분석', 충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박병호(1995), '충청권의 교통사고 예측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13권, 제1호, 대한교통학회, pp.63-82
  8. 박병호.류승옥(2006), '위험한 고속도로 교차점 및 연결로의 규명',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18권 제2호, pp.23-41
  9. 성낙문(2001), '교통사고예측모델을 이용한 도로의 안전도 평가방법 연구, 교통개발연구원
  10. 심관보(1998), '교차로 교통사고 위험도평가지수의 개발에 관한 연구', 교통안전연구논문집 제17권, pp.17-31
  11. 이두희(2005), '횡단보도 보행자의 동태적 행위관련 안전예측모형 개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5권 제3호 pp.439-445
  12. 임윤택(1993), '도로특성이 교통사고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임헌연.이일병(1990), '한국의 교통사고예측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8권 제1호, 대한교통학회, pp.73-80
  14. 임헌연.이일병(1992), '부산시 교통사고예측모형의 개발', 대한교통학회지, 제10권 제3호, 대한교통학회, pp.103-122
  15. 최재성.원제무(2001), '교통공학(개정판)', pp.578-580
  16. 하오근(2005), '국도변 신호교차로 안정성 향상을 위한 사고예측모형개발과 심각도 분석',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하태준.김현상(1996), '신호교차로 교통사고 요인분석과 그 대응책에 관한 연구',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18. 하태준.강정규.박제진(2001), '신호교차로 교통 사고 예측모형의 개발 및 적용 (광주광역시 4-지 신호교차로를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지, 제19권 제6호, 대한교통학회, pp.207-218
  19. 홍정열(2002), '신호교차로에서의 사고 예측모델개발 및 위험수준결정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2005), '2004년도 청주시 전자교통신호체계 운영자료 및 교통량조사자료.'
  21. Carl Belanger, 'Estimation of safety of four -legged unsignalized intersections', TRR 1467
  22. FHWA(1999), 'Crash Models for Rural Intersections: Four-Lane by Two-Lane Stop- Controlled and Two-Lane by Two-Lane Signalized'
  23. James A, Bonneson and Patrick T, Mccoy, 'Estimation of safety at two-way stopcontrolled intersections on rural highways', TRR 1401
  24. Ping Yi, Yingcai Xiao,(2001), 'Rule-Based Model For Traffic Accident Visuallization and Analysis', Journal of Computing in Civil Enginee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