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ried Males' Feeling of Hopelessness due to the Influence of Related Variables

기혼남성의 무망감에 미치는 관련변인의 영향력

  • 고정자 (동아대학교 가정관리학과)
  • Published : 2007.04.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related variables (types of job, term of employment, working time, job satisfaction, payment satisfaction and, working stress) on the sense of hopelessness felt by married males. The study was conducted on 237 male employees residing in Busan, and measurement devices for study were job-related variables, working stress and hopelessness scale. The study used SPSS 12.0 program to analyze data, and conducted item analysis and reliability test for measure establishment. Average, Standard deviation, one-way ANOVA, scheffe-test, Pearson correlation, and path analysis through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pertaining to research subjec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working stress has significant difference upon types or working, term of employment and job satisfaction. Office workers relatively have longer term of employment and workers who are less satisfied with job suffer from more working stress. Second, hopelessness has significant difference upon term of employment, job satisfaction and payment satisfaction among job-related variables. Thus, hopelessness is relatively less when term of employment is shorter and job satisfaction and payment satisfaction is higher. Third, variables which affect directly to working stress and hopelessness are term of employment $(\beta=.245)$, payment satisfaction $(\beta=-.182)$ and working stress $(\beta=.189)$, and types of job, term of employment and job satisfaction influences hopelessness indirectly through working stress. In conclusion, workers are more negative when term of employment is longer, payment satisfaction is less and working stress is higher. Moreover, longer term of employment and less job satisfaction contribute to higher working stress and eventually influence hopelessness. Term of employment affects the most to hopelessness $(\beta=.274)$, and it is followed by working stress $(\beta=.189)$ and payment satisfaction $(\beta=-.182)$.

Keywords

References

  1. 고정자(1998). 맞벌이부부의 직업관련변수가 결혼만족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6(4), 163-178
  2. 고정자(1999). 부부의 심리적 복지와 삶이 질에 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7(6), 59-76
  3. 김덕일(2003). 직무스트레스에 의한 직장-가정 갈등이 경력관련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수경(1990). 버스기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유형과 스트레스 결과와의 관계. 전남대학교 대학원 서사학위논문
  5. 김수연(2001). 서비수직 근로자의 감정노동과 우울수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남영우(1992). 금융산업 구성원의 직무 스트레스에 관한 실증적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박미석(1996). 중년기 남녀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4(2), 19-33
  8. 박봉진 . 이종태 . 손혜숙 . 김성준(2002). 직장 구조조정과 파업에 의한 근로자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의 변화. 인제의학, 23(5), 663-675
  9. 박병종(2001). 공무원조직 구성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직무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강릉대학교 경영정책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박정아(2005). 중앙행정부 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정민(1999). 직무스트레스의 원인과 결과에 의한 연구. 충북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서정아 . 한경혜(1998). 가족 및 직업특성이 중 . 장년기 남성의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6(2), 165-178
  13. 서현주(2004). 재직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직무몰입, 경력몰입과의 관계. 고용동향분석 2004 3/4분기 107-125
  14. 송영숙(1996). 사무직 여성 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중재변인, 심리적 긴장과의 관계.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신창식(1996).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옥원호 . 김석용(2001). 지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및 관계에 대한 상관관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1(1), 123-146
  17. 유주연(1995). 가족관계 스트레스 및 직무관련 스트레스와 중년기 남성의 위기감.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이명주(2002). 중년남성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안 및 사회적 지지에 따른 삶이 만족도. 동덕여자대학교 여성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이미옥(2004). 임상간호사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련성. 조선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숙(2001). 임상간호사의 자아상태, 대인태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상호교류분석을 중심으로. 정신간호학회지, 10(4), 604-614
  21. 이승욱 . 이종태 . 손혜숙 . 김성준(2002). 근로자들의 직종별 직무스트레스. 인제의학, 23(5), 677-689
  22. 이종목 . 박한기(1988). 직무스트레스 척도제작에 관한 연구(I). 사회심리학 연구, 4(1), 241-262
  23. 이종목(1990). 여성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조직행동과의 관계에 관한 공변량 구조 모형.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이형실(2000). 기혼 취업여성과 남성의 직업스트레스, 배우자 지원 및 심리적 복지.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8(4), 47-56
  25. 장세지(1993). 스트레스. 대한예방의학회 편. 건강통계자료 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 제 5장
  26. 조경미(2001). 도시근로자의 직업군에 따른 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허원배(1996). 직무스트레스의 영향과 대처전략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한겨레신문 2005. 12. 2
  29. Barnett, R. C.(1993). Multiple roles, gender,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 the handbook of stress(Eds). Free Press
  30. Barnett, R. C. & Brennan, R. T.(1995).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experiences and psychological distress: A structural equation and approach.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16, 259-276 https://doi.org/10.1002/job.4030160307
  31. Beehr, A & Newman, J. E.(1978). Job stress, employee health,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 fact analysis model and literature view. Personal Psychology, 31, 669-673
  32. Ivancevich, J. M., & Matteson, M. T.(1980). Stress and work. Scott Foresman & Co
  33. Larocco, J. M., House, J. S. & French, J.R.P.(1980). Social support, occupational stress and health.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1(9), 202-218 https://doi.org/10.2307/2136616
  34. Motowidlo, S. J., Mannning, M. & Packard, J. S.(1986). Occupational stress : Its causes and consequences for job performance. Journal of Appl Psychology, 71(4), 618-629 https://doi.org/10.1037/0021-9010.71.4.618
  35. Weller, E. K.(1983). A profile of male mid-life concern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