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of Time-Space Concept in Media Art

미디어 아트에 나타난 시공간 개념의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 서경원 (숭실대학교 건축학부 실내디자인학과) ;
  • 임경란 (숭실대학교 건축학부 실내건축학과)
  • Published : 2007.04.30

Abstract

The concept of time-space to be seen in the modem society has complex features at the points of scientific, philosophical, artistic, religious point of view. It has been brought up at a points of neo centric religious, philosophical view and then after, phenomenal approach and scientific approach were rendered through Newton and Einstein and so many scholar approaches affected the artistic field significantly. With such visual expression, it has affected the paintings for a long time till the 19th century, and then has affected various fields such as photography, film, video, computer, architecture and has currently affected the various space expressive of our daily lives and virtual space of digital. This study is to extract a visual and expressionistic characteristic through historical examination and multi-scholar analysis of time-space concept. Especially, by expanding the previous time and space concept, experimental cases and expressionistic characteristics has come up on the media art that offers various experience and by analyzing the expressionistic characteristics of the time-space concept expressed in media art, it is to extract the basic factors for the diversity of space experience.

Keywords

References

  1. Isaac Newton, 조경철 역, Principia, Prometheus Books
  2. E. A. Burtt, The Metaphtsical Foundations of Modern Science Atlantic Highlands, N,J, Humanities Press, 1980
  3. Jammer, Max, Concept of Space, Dover Publications, 1994
  4. Margaret Werthei, 박인찬 역, 공간의 역사, 생각의 나무, 2002
  5. Newton, Issac, Principia, Prometheus Books, 1995
  6. Quoted in Samul Y. Edgerton, Jr., The Renaissance Rediscovery of Linear Perspective, New York: Basic Books, 1975
  7. S.Giedion 지금, 김경준 옮김, Space, Time and Architecture, 시공문화사, 2005
  8. 권성근, 증폭된 현실을 바탕으로 한 건축디자인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석논, 2002
  9. 권소영, 시간개념을 적용한 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 미술대학원 석논, 2002
  10. 김진균.정근식.공제옥, 근대적 시.공간의 사회이론을 위하여, 경제화 사회99년 봄호(통권 제41호)
  11. 김혜진, 영상매체와 현대미술, 시각디자인학회지 제12권, 2003
  12. 르네 데카르트, 이현복 역, 성찰, 문예출판사, 1997
  13. 마샬맥루한, 김성기.이한우 역, 미디어의 이해, 믿음사, 2002
  14. 마이클러시 지음, 심철웅 옮김, 뉴미디어 아트, 시공사, 2006
  15. 박미연, 게리 힐(Gary Hill)의 비디오 아트에 나타난 상호텍스트성, 이화여자대학원 미술사학과 석논, 2003
  16. 유은복, 시공간 개념으로 본 사진적 주체의 근대성, 홍익대학교 미학과 석논, 2000
  17. 윤선경, 사이버스페이스를 통한 공간 규정의 재조명, 이화여자대학원 철학과 석론, 2006
  18. 이지연, 빌 비올라 작품의 시간성 연구, 이화여자대학원 미술사학과 석논, 1998
  19. 이영훈, 뉴미디어 아트와 시간, 도서출판재원, 2004
  20. 전병기, 뉴턴의 시공간과 우주론에 관한 연구, 대구 카톨릭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논, 2001
  21. 정경화, 백남준 비디오 아트 연구, 단국대학원 미술교육학과 석논, 2005
  22. 정은주, 디지털 사회의 감성 인터랙션 공간디자인 개념과 사례분석 연구, 연세대학원 주거환경학과 석론, 2005
  23. 조창환, 20세기 건축에서의 공간 개념에 관한 고찰, 경희대학교 산학협력기술연구논문집 제6집, 2000
  24. 차상철, 디지털 시공간에서의 TIMEMACHINE 디자인, 경기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석논, 2003
  25. 최은희, 해체주의 건축의 시공간개념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원 석논, 1999
  26. 플로랑스드 메르디외, 정재곤 옮김, 예술과 뉴테크놀로지, 열화당, 2005
  27. 허차원, New-media의 특성으로 본 현대건축의 표현경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기술대원 석논, 1999
  28. 황원군, 현대철학산책, 백산서당, 1996
  29. www.jeffrey-shaw.net
  30. www.joshuadavis.com
  31. www.paikstudios.co.kr
  32. www.wtsitememorial.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