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ctile Sensibility Factors of Traditional Silk Fabrics

전통 견직물의 촉각적 감성요인

  • Yi, Eun-Jou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College of Natural Sciences, Cheju National University)
  • 이은주 (제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의류학과)
  • Published : 2007.03.31

Abstract

In order to identify tactile sensibility factors of traditional silk fabrics and to provide prediction models for the sensibility factors by mechanical properties, seventeen different traditional silk fabrics were evaluated in terms of both tactile sensation and sensibility by using a modified magnitude estimation line scale Gongdan and Newttong with lower values for surface roughness(SMD), bending rigidity(B), and compression resilience(RC) were rated as softer, smoother, fluffier, and more pliable in tactile sensation than any other traditional silk fabrics whereas Nobangju haying higher B, SMD, and tensile resilience(RT) was touched as crisper, more rustling, and springier. Three different tactile sensibility factors including 'Feminine', 'Natural', and 'Casual' were obtained significantly by grouping fifteen different tactile sensibility descriptors. In the prediction models sensibility 'Feminine' was explained positively by SMD, which was supported by the fact that both Gongdan and Newtton were perceived as more feminine. Sensibility 'Natural' that was felt stronger as for Myoungju and Sa was predicted negatively by both fabric thickness(T) and RT. Finally, RC, elongation at maximum load (EM), and T predicted sensibility 'Casual' negatively, which results in its higher factor scores for Myoungju and Shantung, respectively.

다양한 전통 견직물들을 대상으로 촉각적 감성요인을 추출하여 역학적 특성을 이용한 이들 감성 요인들의 예측 모델을 제시하고자, 남녀 대학생 53명을 대상으로 선 척도를 이용한 수정된 magnitude estimation에 의하여 서로 다른 종류의 17개 전통 견직물의 주관적인 촉감용어들과 촉각적 감성용어들을 평가하고 이들 직물의 역학적 특성과의 관계를 도출하였다. 주관적인 촉감에서 표면거칠기와 굽힘강성, 압축회복성 값이 작은 공단과 뉴똥은 전통 견직물 중에서 촉감이 가장 부드럽고 매끄러우며 폭신폭신하고 유연한 것으로 평가받은 반면, 굽힘강성과 표면거칠기, 인장회복성 값이 큰 노방주는 가장 까실까실하고 바삭거리며, 탄력있는 것으로 인지되었다. 전통 견직물의 촉각적 감성 평가에서 추출된 감성요인은 '페미닌'과 '내추럴, '캐주얼' 이었으며, 이중 '페미닌' 감성이 전통 견직물의 주요 촉각적 감성으로 사료되었다. 역학적 특성을 이용한 촉각적 감성요인의 예측모델에서 '페미닌' 감성은 표면거칠기에 의해 예측되어서 표면거칠기 값이 작은 직물일수록 '페미닌' 감성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는데, '페미닌' 감성이 긍정적으로 평가받은 전통 견직물에는 공단과 뉴똥, 명주의 일부가 포함되었다. ‘내추럴’ 감성의 예측모델에서 직물 두께가 얇고 인장회복성이 낮을수록 '내추럴‘ 감성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는데, 명주와 사 직물들의 '내추럴’ 감성이 긍정적으로 인지되었다. 또한 '캐주얼‘ 감성은 예측모델을 통하여 압축회복성과 최대신장성, 직물두께에 의해 부적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명주와 샨튱 직물이 전통 견직물 중에서 '캐주얼’ 감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