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Single spores were isolated from infected roots of Chinese cabbage with a typical clubroot symptom, collected from different Chinese cabbage cultivation areas in Korea. When the single spore isolates were inoculated on Chinese cabbage, radish, turnip, kale, leaf mustard and Williams' differential varieties, among 321 roots harvested two weeks after inoculation, a visual symptom was observed on only one root and light/uncommon symptoms were done on 70 roots. These 71 individuals were homogenized and used as inocula. These inocula caused generally higher pathogenicity than that of single spore. Finally 15 isolates, with enough growth for conducting further experiment, were selected. These 15 individuals were grouped four, seven, two and two into race 1, race 4, race 9 and race 11, respectively, using Williams' differential set. It was confirmed that race 4 were dominantly present in Korea. These 15 had been obtained from roots of Chinese cabbages, radishes and turnips inoculated with single resting spores and had shown pathogenicity to Laurentian and Wilhelmsburger belong to Rutabaga in Williams' differential variety set. Therefore, we assume that such characteristic pathotypes including race 4, especially, of P. brassicae showing strong pathogenicity to Chinese cabbage, radish and turnip may be dominant in Korea.
국내의 여러 배추 생산지로부터 뿌리혹을 채집하여 단포자 균주(SSI)를 분리하였다. 분리한 단포자를 접종한 후 총 321개의 뿌리를 수거하여 병징 발현 여부를 관찰하였다. 접종한 개체 중 단 한 개체에서만 작은 혹이 형성되었고, 70개 개체에서 미약한 기형 증상을 보였다. 이들 이상 증상을 보인 개체를 마쇄하여 단포자 균주의 안정적 증식을 위한 접종원으로 사용하였다. 단포자를 접종하여 발병시킨 개체로부터 얻은 포자들을 재접종하였을 때가 1차 단포자 접종하였을 때보다 병징이 훨씬 확대되었고, 이후 실험에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증식된 개체는 15균주였다. 이 15균주들을 Williams의 판별기주에 접종하여 분석하였을 때, race 1이 4균주, race 4는 7균주, race 9는 2균주, race 11이 2균주로 각각 판별되어, race 4가 국내에 가장 우점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 race들은 모두 배추, 무, 순무에 단포자 접종하여 얻어진 균주들로, 병원성 검정에서도 4종의 판별품종 중 Rutabaga 계열(스페인산 순무)에 속하는 'Laurentian'과 'Wilhelmsburger' 두 품종에만 병원성을 보였다. 따라서 이 race들이 배추, 무, 순무에 대해 강한 병원성을 보이는 것으로 보아 국내의 P. brassicae 군집은 배추와 무, 순무 등에 강한 병원성을 나타내는 race가 우점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이들 작물이 병 발생량에 따른 국내 십자화과 채소 감수 비율과도 연관이 있으리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