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nges of Dominant Species of Phytoplanktons and Hydrological Causes of Water Bloom in the Lake Unmun, Cheongdo-gun, Gyeonsangbuk-do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호의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변동과 수화현상의 수문학적 발생원인

  • Kim, Mi-Kyung (Marine Science Research Center, Environmental Research Institute) ;
  • Lee, Soon-Hwa (Architecture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Yeungnam University) ;
  • Lee, Chul-Hwee (Architecture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Yeungnam University)
  • 김미경 (영남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 해양과학연구센터) ;
  • 이순화 (영남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 이철희 (영남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Published : 2007.12.01

Abstract

The variations of species compositions, standing crops and seasonal succession of phytoplanktons including Cyanophyceae, Chlorophyceae and Bacillariophyceae were investigated with physico-chemical elements of water to clarify the causes of water bloom according to the water depth in the Lake Unmun. The increased amounts of turbidity, T-N, T-P and SS originated from heavy rain and typhoon in the middle of June provoked to produce phytoplanktons. In July and August, the dominant species was Peridinium sp., while the subdominant species was Microcystis aeruginosa. In October, Aulacoseira distans was dominant and Asterionella formosa was subdominant. During the period of water shortage, the concentrated pollutants caused the decrease of precipitation, the long stagnation time of water body and the mixed pollutants by upwelling as decreasing water temperature could accelerate the water bloom. The preventives to decrease microalgal generation should be controled by the stagnation time of water body by increasing outflow to intercept water bloom such as ulacoseira sp. in October as well as summer.

Keywords

References

  1. 공동수 . 1992 . 팔당호의 육수생태학적 연구 . 고려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2. 김미경 . 2004 . 운문댐의 조류발생원인 및 예방대책 . 경북지역환경기 술개발센터 보고서
  3. 김미경, 김영환 . 1999 . 일반조류학 . 아카데미서적
  4. 김미경 , 박정원 , 이영옥 . 2003 . 남매지의 수환경요인과 식물플랑크 톤의 계절적인 변동 . 한국육수학회지 36: 48-56
  5. 김범철 , 김재옥, 전만식, 황순진 . 1999a. 소양호 동 .식물플랑크톤 의 계절 변동. 한국육수학회지 32: 127-134
  6. 김범철 . 박주현. 허우명, 임병진, 황길순, 최광순, 채기숙. 1999b . 국내 주요호수의 육수학적 조사 (3) : 진양호. 한국육수학회지 32: 111-126
  7. 김범철. 박주현 . 허우명 , 입병진, 황길순, 최광순 , 최종수. 1999c . 국 내 주요 호수의 육수학적 조사 (4) : 주암호. 한국육수학회지 34: 30-44
  8. 김범철, 최광순, 김철구, 이유희 , 김동섭, 박제철 . 1998. 소양호의 DOC와POC의 분포. 한국육수학회지 31: 17-24
  9. 김용재. 1998. 팔당댐호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생태적 특성 . 한국 육수학회지 13: 225-234
  10. 김종민 , 허성남, 노혜란, 양희정 , 한명수. 2003. 호소형 및 하천형 댐 호의 육수학적 특성과 조류발생과의 상관관계 . 한국육수학 회지 36: 124-138
  11. 김지환, 김영환, 이인규. 1998. 충주호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동태Algae 13: 339-354
  12. 김호섭, 황순진 , 고재만 . 2002 . 도심의 얕은 인공호의 일감호의 수 질변화특성과 퇴적환경의 평가. 한국육수학회지 36: 161-171
  13. 박혜경 , 정원화. 권오상. 류재근. 2000 . 팔당호에서 남조류 및 남조 류생산 독성물질의 계절변동 Algae 15: 29-35
  14. 서동일 . 1998 . 대청호의 성층현상에 의한부영양화특성과수질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환경공학회지 20: 1219-1234
  15. 서정관, 유재정, 이재정 , 양상용, 정익교 . 2003 . 운문호의 식물플랑 크톤 군집동태와 영양단계 평가. Algae 18: 135-143 https://doi.org/10.4490/ALGAE.2003.18.2.135
  16. 신재기 . 조주래 . 황순진 조경제 2000. 경안천 -팔당호의 부영양화 와수질오염 특성 . 한국육수학회지 33: 387-394
  17. 신재기 , 황순진, 강창근, 김호섭 2003. 하천형 저수지 팔당호의 육 수학적 특성 : 수문과 수환경 요인 . 한국육수학회지 36: 242-256
  18. 오희목, 이석준, 김성빈, 박미경, 윤병대, 김도한 . 1998. Algal bioassay에 의한 조류생장 제한영양염류 결정. 한국육수학회 지 31: 150-157
  19. 이경락, 최재신, 김한순. 2003 . 박실지와 정양지의 식물플랑크톤 군 집의 계절 변동 Algae 18:273-280 https://doi.org/10.4490/ALGAE.2003.18.4.273
  20. 이용운, 이학영 . 2003 . 주암호에서 수질과 식물플랑크톤 군집에 미 치는 광 차단효과 . 한국육수학회지 36: 150-160
  21. 이은주, 김범철, 조규송. 1998 . 소양호 지류에서의(상걸리) 식 물플 랑크톤 군집구조. 한국육수학회지 31: 119-128
  22. 이정준, 이정호. 박종근 . 2003 . 대청호의 남조류 수화 발달과 환경 요인 변화와의 상관 관계 . 한국육수학회지 36:267-276
  23. 이정호. 1995. 낙동강 수계의 6개 다목적 댐호의 규조군집 및 LTSI(Lake Trophic State Index) 에 의한 영양단계의 평가. 인제 대학교 환경연구소 발표논문집
  24. 이정호. 1998. 댐저수지의 조류 수화 발생의 동태와 제어 대책 한국수자원공사보고서
  25. 이정호 . 2000 식물플랑크톤 분포도에 따른 운문호의 선택취수 수심 결정 . 한국육수학회지 33: 311-318
  26. 이진환, 오희목, 맹주선 . 2000 . 대청호의 수질과 식물플랑크톤 현존 량 . 한국환경생물학회지 18: 355-365
  27. 장윤경 , 전예숙. 1996 . 팔당댐 심수수역의 식물 플랑크톤에 관한 연 구 II. 식물 플랑크톤 종 조성의 변화. Algae 11:217-229
  28. 정미희 , 김호섭, 최청일 . 황순진 .2004 . 화옹호의 식물플랑크톤과 환경 요인 . 한국육수학회지 37: 193-204
  29. 정상옥, 오창준. 1997 . 운문댐 하류 논지역에서의 냉수피해 조사연 구 慶北大農誌. 15: 39-46
  30. 정 준 1993 . 한국담수조류도감 아카데미서적, 서울
  31. 최광현, 황순진, 김호섭 , 한명수 2003. 팔당호 식물플랑크톤의 제 한영양염과 성장률의 경시적 변화. 한국육수학회지 36: 139-149
  32. 최상호, 하경 , 주윤희 , 김현우, 주기재 1998. 우포 습지의 이화학적 특성 . 한국육수학회지 31:273-281
  33. 최영길 , 한명수, 안태영 , 곽노태 . 1995 . 담수의 부영양화 . 신광문화 사
  34. 한국수자원공사 . 2000 . 운문댐의 성층특성과 홍수기 밀도류가 수질 에 미치는 영향. 운문댐관리단
  35. APHA AWWAWEF. 1995.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18th ed.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Washington,DC USA
  36. Carlson R.E. 1977. A trophic state index for lakes. Limnol. Oceanogr. 22:361-379 https://doi.org/10.4319/lo.1977.22.2.0361
  37. Hargesheimer E.E. and Watson S.B. 1996. Drinking water treatment options for taste and odor control. Wat. Res. 30: 1423-1430 https://doi.org/10.1016/0043-1354(96)00027-9
  38. Horne S.E. and Goldman C R. 1994. Limnology. mcGraw-Hill Inc., New York
  39. Jeffrey S.W. and Humphrey G.F. 1976. New spectrophotometric equation for determining chlorophylls a, b, c1+ c2in higher plant algae and natural phytoplankton. Biochim. Physiol. 167: 191-194
  40. John D.M., Whitton B.A. and Brook A.J. 2002. The freshwater algal flora of the British Isles (An indentification guide to freshwater and terrestrial algae) . Cambridge Univ. Press,Cambridge
  41. Kenefick S.L., Hruday S.E., Prepas E.E., Motkosky N. and Peterson G. 1992. Ororous substance and cyanobacterial toxins in prairie drinking water sources. Wat. Sci. Tech. 25: 147-154
  42. Kim Y.J., Choi J.S. and Kiin H.S. 1997 . Structure of phytoplankton communitηy in Lake Imha .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0: 307-324
  43. Komarek J. and Fott B. 1983. Das Phytoplankton des Sbwasser systematik und Biologie. Teil. 7. Chlorophyceae (Grunalgen Ordung: Chlorococcales). E. Schweiz. Verl. Stuttgart
  44. McNaughton S.J. 1967 . Relationship among functional properties of California Glassland. Nature216: 144-168
  45. Prescott G.W., Croasdale H.T., Vinyard W.C and Bicudo de M. 1977. A Synopsis of North American Desmids. Part II Desmidiaceae: Placodermae, Section 3. Lincoln, Univ. of Nebraska press
  46. Young W.E., Horth H., Crane R., Ogden T. and Arnott M. 1996. Taste and odour threshold concentrations of potential potable water contaminants. Wat. Res. 30: 331-340 https://doi.org/10.1016/0043-1354(95)0017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