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공동수 . 1992 . 팔당호의 육수생태학적 연구 . 고려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 김미경 . 2004 . 운문댐의 조류발생원인 및 예방대책 . 경북지역환경기 술개발센터 보고서
- 김미경, 김영환 . 1999 . 일반조류학 . 아카데미서적
- 김미경 , 박정원 , 이영옥 . 2003 . 남매지의 수환경요인과 식물플랑크 톤의 계절적인 변동 . 한국육수학회지 36: 48-56
- 김범철 , 김재옥, 전만식, 황순진 . 1999a. 소양호 동 .식물플랑크톤 의 계절 변동. 한국육수학회지 32: 127-134
- 김범철 . 박주현. 허우명, 임병진, 황길순, 최광순, 채기숙. 1999b . 국내 주요호수의 육수학적 조사 (3) : 진양호. 한국육수학회지 32: 111-126
- 김범철. 박주현 . 허우명 , 입병진, 황길순, 최광순 , 최종수. 1999c . 국 내 주요 호수의 육수학적 조사 (4) : 주암호. 한국육수학회지 34: 30-44
- 김범철, 최광순, 김철구, 이유희 , 김동섭, 박제철 . 1998. 소양호의 DOC와POC의 분포. 한국육수학회지 31: 17-24
- 김용재. 1998. 팔당댐호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생태적 특성 . 한국 육수학회지 13: 225-234
- 김종민 , 허성남, 노혜란, 양희정 , 한명수. 2003. 호소형 및 하천형 댐 호의 육수학적 특성과 조류발생과의 상관관계 . 한국육수학 회지 36: 124-138
- 김지환, 김영환, 이인규. 1998. 충주호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동태Algae 13: 339-354
- 김호섭, 황순진 , 고재만 . 2002 . 도심의 얕은 인공호의 일감호의 수 질변화특성과 퇴적환경의 평가. 한국육수학회지 36: 161-171
- 박혜경 , 정원화. 권오상. 류재근. 2000 . 팔당호에서 남조류 및 남조 류생산 독성물질의 계절변동 Algae 15: 29-35
- 서동일 . 1998 . 대청호의 성층현상에 의한부영양화특성과수질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환경공학회지 20: 1219-1234
- 서정관, 유재정, 이재정 , 양상용, 정익교 . 2003 . 운문호의 식물플랑 크톤 군집동태와 영양단계 평가. Algae 18: 135-143 https://doi.org/10.4490/ALGAE.2003.18.2.135
- 신재기 . 조주래 . 황순진 조경제 2000. 경안천 -팔당호의 부영양화 와수질오염 특성 . 한국육수학회지 33: 387-394
- 신재기 , 황순진, 강창근, 김호섭 2003. 하천형 저수지 팔당호의 육 수학적 특성 : 수문과 수환경 요인 . 한국육수학회지 36: 242-256
- 오희목, 이석준, 김성빈, 박미경, 윤병대, 김도한 . 1998. Algal bioassay에 의한 조류생장 제한영양염류 결정. 한국육수학회 지 31: 150-157
- 이경락, 최재신, 김한순. 2003 . 박실지와 정양지의 식물플랑크톤 군 집의 계절 변동 Algae 18:273-280 https://doi.org/10.4490/ALGAE.2003.18.4.273
- 이용운, 이학영 . 2003 . 주암호에서 수질과 식물플랑크톤 군집에 미 치는 광 차단효과 . 한국육수학회지 36: 150-160
- 이은주, 김범철, 조규송. 1998 . 소양호 지류에서의(상걸리) 식 물플 랑크톤 군집구조. 한국육수학회지 31: 119-128
- 이정준, 이정호. 박종근 . 2003 . 대청호의 남조류 수화 발달과 환경 요인 변화와의 상관 관계 . 한국육수학회지 36:267-276
- 이정호. 1995. 낙동강 수계의 6개 다목적 댐호의 규조군집 및 LTSI(Lake Trophic State Index) 에 의한 영양단계의 평가. 인제 대학교 환경연구소 발표논문집
- 이정호. 1998. 댐저수지의 조류 수화 발생의 동태와 제어 대책 한국수자원공사보고서
- 이정호 . 2000 식물플랑크톤 분포도에 따른 운문호의 선택취수 수심 결정 . 한국육수학회지 33: 311-318
- 이진환, 오희목, 맹주선 . 2000 . 대청호의 수질과 식물플랑크톤 현존 량 . 한국환경생물학회지 18: 355-365
- 장윤경 , 전예숙. 1996 . 팔당댐 심수수역의 식물 플랑크톤에 관한 연 구 II. 식물 플랑크톤 종 조성의 변화. Algae 11:217-229
- 정미희 , 김호섭, 최청일 . 황순진 .2004 . 화옹호의 식물플랑크톤과 환경 요인 . 한국육수학회지 37: 193-204
- 정상옥, 오창준. 1997 . 운문댐 하류 논지역에서의 냉수피해 조사연 구 慶北大農誌. 15: 39-46
- 정 준 1993 . 한국담수조류도감 아카데미서적, 서울
- 최광현, 황순진, 김호섭 , 한명수 2003. 팔당호 식물플랑크톤의 제 한영양염과 성장률의 경시적 변화. 한국육수학회지 36: 139-149
- 최상호, 하경 , 주윤희 , 김현우, 주기재 1998. 우포 습지의 이화학적 특성 . 한국육수학회지 31:273-281
- 최영길 , 한명수, 안태영 , 곽노태 . 1995 . 담수의 부영양화 . 신광문화 사
- 한국수자원공사 . 2000 . 운문댐의 성층특성과 홍수기 밀도류가 수질 에 미치는 영향. 운문댐관리단
- APHA AWWAWEF. 1995.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18th ed.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Washington,DC USA
- Carlson R.E. 1977. A trophic state index for lakes. Limnol. Oceanogr. 22:361-379 https://doi.org/10.4319/lo.1977.22.2.0361
- Hargesheimer E.E. and Watson S.B. 1996. Drinking water treatment options for taste and odor control. Wat. Res. 30: 1423-1430 https://doi.org/10.1016/0043-1354(96)00027-9
- Horne S.E. and Goldman C R. 1994. Limnology. mcGraw-Hill Inc., New York
- Jeffrey S.W. and Humphrey G.F. 1976. New spectrophotometric equation for determining chlorophylls a, b, c1+ c2in higher plant algae and natural phytoplankton. Biochim. Physiol. 167: 191-194
- John D.M., Whitton B.A. and Brook A.J. 2002. The freshwater algal flora of the British Isles (An indentification guide to freshwater and terrestrial algae) . Cambridge Univ. Press,Cambridge
- Kenefick S.L., Hruday S.E., Prepas E.E., Motkosky N. and Peterson G. 1992. Ororous substance and cyanobacterial toxins in prairie drinking water sources. Wat. Sci. Tech. 25: 147-154
- Kim Y.J., Choi J.S. and Kiin H.S. 1997 . Structure of phytoplankton communitηy in Lake Imha .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0: 307-324
- Komarek J. and Fott B. 1983. Das Phytoplankton des Sbwasser systematik und Biologie. Teil. 7. Chlorophyceae (Grunalgen Ordung: Chlorococcales). E. Schweiz. Verl. Stuttgart
- McNaughton S.J. 1967 . Relationship among functional properties of California Glassland. Nature216: 144-168
- Prescott G.W., Croasdale H.T., Vinyard W.C and Bicudo de M. 1977. A Synopsis of North American Desmids. Part II Desmidiaceae: Placodermae, Section 3. Lincoln, Univ. of Nebraska press
- Young W.E., Horth H., Crane R., Ogden T. and Arnott M. 1996. Taste and odour threshold concentrations of potential potable water contaminants. Wat. Res. 30: 331-340 https://doi.org/10.1016/0043-1354(95)0017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