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Most Recent Dream Content Korean Early Adolescents by Hall/Van de Castle System

Hall/Van de Castle System에 의한 한국 초기 청소년의 최근 꿈 분석

  • Song, Hyoung-Seok (Department of Psychiat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ang, Sok-Ha (Department of Psychiat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ang, Seung-Gul (Department of Psychiat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Park, Young-Min (Department of Psychiatry,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Heon-Jeong (Department of Psychiat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Leen (Department of Psychiat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송형석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장석하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강승걸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박영민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이헌정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김린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Published : 2007.06.30

Abstract

Objectives: It has been known that the contents of dreams change according to neuro-developmental differences in sex, progression of age and various environments, unlike the established psychoanalytic theory. To investigate the changes, we collected "most recent dream report" and analyzed the contents of dreams by using Hall/Van de Castle System. Method: Most recent dream reports were gathered from age 12-14 years old, 2,673 middle school students (1,544 male 1,129 female) and analyzed those reports using Hall/Van de Castle System. The data were sorted in SAS and dream SAT. Result: There were promine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in Male/Female Percentage (male/ female;56%/35%), Familiarity Percentage (57%/69%), Aggression/Friendliness Percentage (79%/65%), Befriender Percentage (50%/33%), Physical Aggression Percentage (90%/70%), Indoor Setting Percentage (40%/55%), Negative Emotion Percentage (56%/68%) and Torso/Anatomy Percentage (51%/36%).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le/Female Percentage (65%/44%), Friendliness, Physical Aggression and Self Negativity Percentage in male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riendliness, Familiarity and Friends Percent in female between 1st and 2nd grade. But, it showed much similar dream patterns between 2nd and 3rd grade in both gender. In male, Aggression/Character Index with male character is significantly increased by 2nd grade (1st/ 2nd/ 3rd;0.48/ 1.04/0.98), In female, Friendliness/Character Index with male character had significantly decreased by 2nd grade (0.38/ 0.19/0.20). Conclusion: There were apparent differences between age 12-14 years old male and female. Male adolescents have differences mostly in categories related with aggression, but female adolescents have differences in categories related with environment or character. It shows that developmental level of male are slower than female as of yet and male needs more ac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to find identity. Otherwise, the influences of passive attitude and actual circumferential environment are reflected in female's dream. There are no prominent differences among ages, but age 12-13 years old adolescents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eracting with the other gender. It means that circumferential environmen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ffect the contents of dreams and also the cognitive development related to age and sex. Afterwards, the development of dreams could be better understood through the neurocognitive study and dream analysis between other ages and nations.

목 적:기존의 정신분석 이론과 달리 꿈의 내용은 남녀의 신경 발달적 차이, 나이에 따른 변화, 환경의 변화 등에 따라 변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가장 최근 꿈 보고서"를 수거, Hall/Van de Castle System을 사용하여 꿈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방 법:만 $12{\sim}14$세에 해당하는 중학생 $1{\sim}3$학년 2,673명(남자 1,544명, 여자 1,129명)의 가장 최근 꿈을 수집하였고, 이의 내용은 Hall/Van de Castle System을 사용하여서 분석되었고, SAS와 Dream SAT를 사용하여 통계처리하였다. 결 과:남학생과 여학생 간에는 남성/여성 비율(남학생/여학생;56%/35%), 친숙도 비율(57%/69%), 공격/우호비율(79%/65%), 적극적 우호성 비율(50%/33%), 물리적 공격 비율(90%/70%), 실내 장면 비율(40%/55%), 부정적 정서 비율(56%/68%), 몸통/해부 비율(51%/36%) 등에서 두드러진 차이를 나타내었다. 남성에서는 1학년과 2학년 간에 남성/여성 비율(65%/44%)에서 두드러진 차이를 보인 것을 비롯하여, 우호성, 물리적 공격 비율, 부정적 자기 비율 등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여주었고, 여성에서도 1학년과 2학년 간에 우호성, 친숙도, 친구비율 등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여주었으나, 남녀 모두 2학년과 3학년 간에는 거의 유사한 꿈 내용을 나타냈다. 또한, 남성의 경우 남성 등장인물에 대한 공격 지수가 2학년이 되면서 두드러지게 증가하였으며(1학년/2학년/3학년;0.48/1.04/0.98), 여성의 경우 남성 등장인물에 대한 우호지수가 2학년이 되면서 두드러지게 감소하였다(1학년/2학년/3학년;0.38/0.19/0.20). 결 론:$12{\sim}14$세에서 남녀 차는 뚜렷하여 거의 모든 항목에서 차이를 보였다. 남성은 주로 대인관계의 공격성과 통합성에 관련된 항목에서, 여성은 주로 환경이나 등장인물 비율에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는 남성이 초기 청소년기에 여성에 비해 발달이 늦으며, 상대적으로 더 감정적인 대인 관계를 하는 것과 관련된 것으로 보이며, 여성은 주변의 실제 환경과 덜 활동적인 대인관계가 꿈에 반영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같은 성별 내에서는 연령 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12{\sim}13$세 간에 주로 이성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항목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여주었다. 이는 성별과 관련된 차이 및 주변 환경, 대인 관계의 변화가 꿈 내용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의미한다. 추후 다른 나이 혹은 국가간의 꿈 분석 비교와 신경 인지적 연구를 통하여 꿈의 발달 과정이 파악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