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기록관리기준 조사 및 작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records management criteria

  • 발행 : 2007.04.30

초록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면서 업무과정에 기반을 둔 기록관리체계 도입 기관은 기록관리기준표를 운영해야 한다. 기록물관리기준표는 정부기능분류체계에 기반을 두고 업무설명, 보존기간, 보존기간 책정사유, 비치기록물 해당 여부와 공개여부 및 접근권한 등의 관리기준을 포함하고 있다. 과거에도 이런 기준들은 분산적으로 존재했었지만, 전자기록환경에서 '기록관리기준'이라는 범주로 묶여 더욱 체계적이고 합리적으로 운영되어야 할 필요성이 커졌다. 이 연구에서는 이미 기록관리기준을 도입 운영했던 사례를 살펴보고, 각각의 관리기준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어떤 내용과 방법으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제시하였다. 기록관리기준표를 운영하는 목적과 목표에 따라 제대로 관리기준조사가 이루어지고, 그 결과들이 시스템으로 운영되어야만 기록관리의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다이내믹하게 업무와 기록가치의 변화를 반영할 수 있을 것이다.

With the reform of records management law, the organization should manage a new criteria scheme of record management based on business task and process. The new criteria scheme includes business explanation, preservation period, cause of setting up preservation period and opening information, access authority, keeping records or not. In the past, there were also some regulations and criteria but, records management criteria should be managed systematically and rationally than past in electronic environment. In this study, some previous cases about records management criteria constructing and operating were introduced first. And various characters about records management criteria were reviewed after that, process sample and methodology were proposed for construction of each criteria. If the records management criteria were constructed properly according to goals and objectives of records management and the results were managed through electronic system, the consistency of records management will be kept well and value changes of business and records will be reflected dynamically.

키워드

피인용 문헌

  1. BRM 정비를 통한 기록관리기준표 개선사례 서울시 BRM 및 기록관리기준표 정비사례를 중심으로 vol.50, pp.None, 2007, https://doi.org/10.20923/kjas.2016.50.273
  2. 정부산하공공기관의 분류체계관리시스템 기능 설계 연구 vol.53, pp.None, 2007, https://doi.org/10.20923/kjas.2017.53.201
  3. 왜 다시 기록관리 혁신인가? 소통, 기술, 협치를 향해 vol.55, pp.None, 2007, https://doi.org/10.20923/kjas.2018.55.165
  4. 공공기관 '비공개 세부 기준' 개발 전략 vol.21, pp.1, 2007, https://doi.org/10.14404/jksarm.2021.21.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