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easonal Distribution of Wildlife in An Urban Stream -The Case of Gongji Stream in Chuncheon-

도시하천의 계절별 야생동물 서식 연구 - 춘천시 공지천을 대상으로 -

  • Jo, Hyun-Kil (Division of Forest Management and Landscape Architectur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Han, Gab-Soo (Departmen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Kangnung National University) ;
  • Choi, Jae-Suk (Department of Bi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Park, Jeong-Ho (Dongrim P&D, DR-CNE) ;
  • Lee, Joon-Suk (Center for Insect Systematic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조현길 (강원대학교 산림경영.조경학부) ;
  • 한갑수 (강릉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 최재석 (강원대학교 생물학과) ;
  • 박정호 ((주)동림 피엔디 부설 자연환경연구센터) ;
  • 이준석 (강원대학교 곤충분류연구센터)
  • Published : 2007.03.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easonal distribution of insects, birds, fishes, and benthos for Gongji stream in Chuncheon and to explore some strategies towards creating a desirable close-to-nature stream. The number of species occurred in the study stream was 23 for butterflies and 149 for other insects, 23 for birds, 15 for fishes, and 47 for benthos. The study stream was dominated by Artogenia rapae, Polygonia caureum, Cyntia cardui for butterflies, and Passer montanus, Anas crecca, Anas platyrhynchos for birds. The dominant species were Rhynchocypris oxycephalus, Zacco plutypus, Carassius auratus for fishes, and Limnodrilus sp. 2, Chiranumus sp. 2, Hydropsyche KUb for benthos. Attracting insect species of higher density requires planting of host plant species and stabilization of plant coverage against disturbances. To enhance species diversify and density of birds, it is desirable to provide diverse habitats including preservation of downstream wetland and natural vegetation, creation of sand bars and islands with sand and gravel, and restriction or traffic passing and parking. Restoring fish and benthos habitats needs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layout of gravels and stones on sand-dominant streambed, and use of close-to-nature revetment techniques.

Keywords

References

  1. 土木學會, 1995,みずべの景觀設計, 技報堂出版, 228pp
  2. 최정권, 1997, 도시하천에서 자연형 저수로 호안 공업의 작용과 식생복원 모니터링-서울시 양재천의 학여울 구간을 사례지역-,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1(2), 201-213
  3. 신동훈, 노태성, 오휘영, 이규석, 2003, 자연형 하천공사 후 도시하천의 식물상 변화, 한국조경학회지, 31(4), 67-73
  4. 최송현, 이경재, 류창희, 황성현, 1995, 한강지천의 생태계 구조와 관리 -수입천과 안양천을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3(3), 132-143
  5. 명현, 2002, 하천의 생태적 복원을 위한 식생학적 진단, 한국조경학회지, 30(5), 98-106
  6. 이광우, 김태균, 심우경, 2002, 하천의 지형학적 인자와 식생종수의 관계 한강수계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0(3), 73-85
  7. 한봉호, 김정호, 홍석환, 2003, 서울시 둔촌동 습지 생태계보전지역 모니터링 및 생태적 복원구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7(3), 242-257
  8. 최준길, 신현선, 최재석, 2005, 원주천의 어류 군집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9(1), 46-54
  9. 이창복, 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990pp
  10. 박수현, 2001,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일조각, 178pp
  11. 조현길, 2003, 공지천의 자연친화형 하천조성 및 수질개선에 관한 연구, 강원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 174pp
  12. 이우신, 구태회, 박진영, 2000, 야외원색도감 한국의 새, LG상록재단, 320pp
  13. 김익수, 강언종, 1993, 원색한국어류도감, 아카데미서적, 478pp
  14. 김익수, 1997, 한국동식물도감, 담수어류편, 교육부
  15. 윤일병, 1988, 한국동식물도감(수서곤충류), 문교부
  16. 윤일병, 1995, 수서곤충검색도설, 정행사, 262pp
  17. 춘천시, 1998, 춘천시 하수종말처리시설(2단계) 증설공사 기본설계보고서
  18. 신혜숙, 신용건, 오근찬, 이건호, 허인량, 신정철, 최지용, 최규열, 정의호, 1999, 공지천 유역의 수질 및 오염부하량 분포에 관한 연구, 강원도보건환경연구원보, 10, 56-67
  19. 안영희, 송종석, 2003, 경기도 오산천 주변의 잡초 군락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12(6), 1207-1213
  20. 이유미, 박수현, 정승선, 2002, 서울 중랑천의 식생구성과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6(3), 271-286
  21. 권영대, 이형근, 김복균, 김호식, 1998, 수리산 일대의 나비목 곤충상, 한국생물상연구지, 3, 379-400
  22. 김성수, 박해철, 김미애, 1999, 주금산일대 나비분포와 밀도 모니터링, 한국나비학회지, 12, 7-15
  23. 허위행, 박성진, 임신재, 박용수, 최서윤, 이장배, 이우신, 2003, 한강 유역에서 서식환경에 따른 조류군집의 특성 차이,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7(1), 83-91
  24. 최재석, 2005, 의암호의 어류균집, 한국어류학회지, 17(1), 73-83

Cited by

  1. Ecological diagnosis of the Gongjicheon water system using length-weight relationship and condition factor(K) of population of the Zacco platypus vol.23, pp.2, 2014, https://doi.org/10.14249/eia.2014.23.2.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