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규 교양과목으로 도서관이용교육을 5주간 실시한 후, 대학생의 도서관불안에 대한 사전과 사후의 차이와 도서관이용빈도에 따른 교육 효과의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서관이용교육의 활성화 방안에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H대학의 1학년 교양필수교과를 수강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도서관이용교육 내용은 도서관의 조직 및 기능 이해, 도서관 자료의 조직, 학술정보의 종류 및 이용방법, 자료의 인용 및 참고문헌 기술, 도서관에서의 저작권 등으로 이루어졌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2차례의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1차 조사는 교육 첫주인 2006년 9월 4일부터 8일까지 실시하였으며, 2차 조사는 10월 30일부터 11월 3일까지로 교육 마지막 주에 실시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자료 수는 92건이었다. 측정도구는 한국형 도서관불안척도(K-LAS)를 사용하였다. 분석도구는 대응표본 T-검정과 독립표본 T-검정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들의 불안도는 도서관불안의 6요소 중에서 4개 요소가 교육이전보다 교육이후에 완화된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도서관이용빈도에 따른 교육 효과는 도서관불안의 6요소 모두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his study Performed five weeks' education on library use as a regular cultural subject at the target on university students and analyzed the difference in their library anxiety between Pre-education and Post-education as well as the difference in educational effectiveness based on the frequency of library use. The result intends to Present the result for basic materials which aye necessary for promoting the education on library use. The object of study selected the university freshmen. located in Gyeonggi-do, taking a lessen of cultural essential subjects. The education contents on library use were the understanding of library organization and function, the structure of library materials, the kind and use of academic information, the citation of materials, the description of bibliography, and the copyright in a library. The study methods applied in the study, were literature researches and two-times' questionnaire surveys in the first week of the education and the last week of that. Total 92 materials were applied for this study. This study performed faired t-test and independent t-test. As a result, four factors of six ones on library anxiety were selected in the verification of hypotheses after performing an education on university students' library use.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education effectiveness based on university students' library use frequency was excluded in the course of hypothesis verification on six factors or library anx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