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ressions of Gender Images According to Sex in Editorial Fashion Photography

에디토리얼 패션사진에 나타난 성별에 따른 젠더 이미지 표현

  • Choi, Na-Ry (Dept. of Clothing & Textiles INHA University) ;
  • Woo, Ju-Hyung (Dept. of Fashion Design & Textiles, INHA University)
  • Published : 2007.03.02

Abstract

This study's purpose is how express gender image according to sex in editorial fashion photography. This study's objectives are the women's magazine Vogue, Harper's Bazaar and man's magazine GQ, Esquire published 2000-2005 within the country. The photography was classified with established a standard based on the precede studies. The photo is classified Gender image according to dress and its ornaments, model character and atmosphere by Sex Expression of femininity woman has exposure of body parts and emphasizing thin eyebrows and red lips, soft and mild image, modest and static pose. Man expressed femininity used ladylike color and pattern, erotic exposure of body and long hair style. Commonly emphasizing red lips, natural background of flower plant, S-line. For expression of masculinity man and woman are used masculinity item, short hair-style and thick eyebrows. And also emphasize square like chin and shoulder. Specially, woman used direct silhouette to conceal soft body curved line. The expressions of androgynous woman and man are colorful dress and make-up. Woman emphasized male face to show and man expressed soft image through hull of abundant material of fur. All two sex selected method that conceal body curved line and face to express sexless. Hiding characteristics of body and face make indistinct of sex. The gender is affected by atmosphere such as model and illumination background as much as clothes because of the editorial fashion photography.

Keywords

References

  1. 이정민. Fashionbiz. 2006 년 2월호. p. 64
  2. 채수진, 김혜연 (1999). 페미니즘적 시각에서 본 현대복식의 앤드로지너스 현상에 관한 연구. 복식, 43, p. 203
  3. 조세현 (2000). 조세현 패션사진. 서울: 김영사. pp. 10-11
  4. 윤가현 (1998). 성문화와 심리. 서울: 학지사. p. 17
  5. 정세희 (2000). 영화의상에 나타난 젠더 (Gender)정체성)-193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p. 10
  6. 정세희 (2000). 영화의상에 나타난 젠더 (Gender)정체성)-193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p. 8
  7. 이민선 (1993). 복식에서 성의 가시적 불일치에 관한 사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1
  8. 김명자 (1991). 의상학총론. 서울: 학문사. p. 297
  9. 정흥숙 (2002). 서양복식문화사(개정판). 서울: 교문사, p. 359
  10. 정흥숙 (2002). 서양복식문화사(개정판). 서울: 교문사, p. 363
  11. 채수진, 김혜연 (1999). 페미니즘적 시각에서 본 현대복식의 앤드로지너스 현상에 관한 연구. 복식, 43, p. 210
  12. 현대패션 100년편찬위원회 (2003). 현대 패션 100년. 서울 : 교문사. pp. 297-299
  13. 김희정 (2003). 현대 패션사진에 나타난 성적 일탈 연구 - 196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p. 29
  14. 조세현 (2000). 조세현 패션사진. 서울: 김영사. pp. 20-21
  15. 김성민 (2005). 대중 잡지의 에디토리얼 패션사진이 독자들의 '몸' 이미지와 수용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한국사진학회지, 12, p. 157
  16. 홍주표 (2002). 에디토리얼 패션사진의 구성요소와 표현형식에 관한 연구. 현대 사진영상학회논문집 5, pp. 64-65
  17. 이민선 (1993). 복식에서 성의 가시적 불일치에 관한 사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3
  18. 지그문트 프로이트. 김정일 역 (1996). 성욕에 관한 세 편의 에세이. 서울: 열린 책들. p. 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