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이산가족의 적응에 관한 질적 고찰 : 남한 거주 이산가족을 중심으로

A Qualitative Study on the Adjustment of Separated Families in South and North Korea : Focusing on Separated Families Living in South Korea

  • 발행 : 2007.02.28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essential experience of Separated Families in South and North Korea in a socio-cultural context and to explore their post-separation adjustment proces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amilies. Major findings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an' was the central phenomenon that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following their separation. Second, the core issue in the process of post-separation adjustment was 'accepting the separation and rearrangement of reality for reunion', and over time the participants went through four stages in their adjustment process: the stage of being overwhelmed, the stage of conflict, the stage of awareness, and the stage of acceptance. Third, the main factors affecting the participants' adjustment were supportive systems, available resources(individual variables) and interaction with other separated families. fourth, four types were observed in the typology of adjustment and reunion of the participant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정구(1992). 해방 후 월남인의 월남 동기와 계급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쟁과 한국사회 변동. 서울:풀빛
  2. 강정구(2002). 분단과 전쟁의 상흔. 민족의 생명권과 통일. 서울:당대
  3. 김광억(1984). 이산가족의 생활상: 가난과 소외의 종교적 수용을 중심으로. 분단한국의 가족문제: 이산가족.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학술연찬 자료집. 미간행
  4. 김귀옥(1999). 월남민의 생활경험과 정체성: 밑으로부터의 월남민 연구.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5. 김귀옥(2004). 이산가족, '반공전사'도 '빨갱이'도 아닌...:이산가족 문제를 보는 새로운 시각. 서울: 역사비평사
  6. 김덕(1989). 통일논의와 이산가족 재회문제. 통일로, 14(9), 69-80
  7. 김명기(1993). 남북이산가족의 재결합: 법적 의무를 중심으로. 인도법논총, 13(11), 167-176
  8. 김명혜(1988). 분단을 직접 경험한 가족연구. 가족주의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석사학위 논문
  9. 김문조(1985). 이산가족연구 1: 가족이산의 현실과 가족재결합 운동의 효과분석을 중심으로. 아세아연구, 73(1), 155-173
  10. 김성은(1995). 북한출신 월남인들의 경제적 정착과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농가정학과 석사학위 논문
  11. 김재용(1998). 이산가족 문제의 정치성과 인도주의. 역사비평, 44, 83-94
  12. 김형재(1988). 속초시의 월남 난민 취락의 형성과정과 구조적 특색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사회교육학과 석사학위논문
  13. 남상준(1982). 전북 김제지방의 북한난민 개척촌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교육학과 석사학위 논문
  14. 대한적십자사(1976). 이산가족백서. 서울: 대한적십자사
  15. 대한적십자사(2001). 이산의 아픔을 겨레의 품에 안고. 서울: 대한적십자사
  16. 도준호(2000). 단발성 이산상봉의 문제점. 한국논단, 132(10), 80-87
  17. 류재철(2001). 통일 후 예상되는 가족법상의 문제점과 대책. 통일문제연구, 36, 201-223
  18. 박명선(1983). 북한출신 월남인의 사회경제적 배경 및 사회이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석사학위 논문
  19. 박명선(1991). 월남한 가족의 경제생활사: 1950년대를 중심으로. 여성한국사회연구회(편). 여성 . 가족 . 사회(84-112). 서울:열음사
  20. 박한샘(2004). 이혼가족 자녀의 적응과정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박사학위 논문
  21. 배성인(2001). 이산가족 문제의 현황과 새로운 모색. 극동문제, 12, 15-41
  22. 신율(1997). 남 . 북한 이산가족 문제에 대한 정책적 한계와 그 개선방안. 이산가족 교류의 문제점과 실천방안. 서울:한국미래정치연구회
  23. 신율(2001). 남북정상회담 이후 이산가족 정책의 중간평가와 그 정례화를 대비한 개선방안의 실증적 연구. 국제정치논총, 41(2), 45-71
  24. 안병영(1984). 민족이산과 남북한관계. 서울대 사회과학과정책연구, 6(1), 67-99
  25. 엄명용(2000). 남북한 이산가족의 상봉과 사회사업의 과제. 한국 사회복지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미간행
  26. 윤종주(1984). 이산가족의 형성배경과 그 분포 분단한국의 가족문제: 이산가족.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학술연찬 자료집. 미간행
  27. 이동원 . 조성남(1997). 미군정기의 사회이동. 서울: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8. 이문웅(1984). 이산가족의 가족생활. 분단한국의 가족문제: 이산가족.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학술연찬 자료집. 미간행
  29. 이북5도위원회(1981). 이북5도 30년사. 서울: 이북5도위원회
  30. 이북5도청(1998). 월남인 추정인구비율 조사 자료. 서울:이북5도청
  31. 이성희 . 김태현(1993). 월남이산가족의 가족주의와 사회적 지원망. 대한가정학회지, 31(4), 95-113
  32. 이용기(1998). 이산가족 연구 어디까지 왔나. 역사비평, 44, 252-270
  33. 이은영(2001). 이산가족의 화합을 위한 법적 정비. 정책포럼, 29, 172-200
  34. 이인희(1986). 8.15와 6.25를 전후한 통한 출신 피난민의 월남이동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지리학과 석사학위 논문
  35. 이장희(1993). 이산가족의 재결합과 분단독일의 사례. 이산가족의 재결합. 대한적십자사 . 대한국제법학회 국제인도법세미나 자료집
  36. 이장희(2001). '인도주의'만 강조 말고 실천적 접근해야: 이산가족문제 해결의 조건과 과제. 통일한국, 216(12), 16-18
  37. 이효재(1985). 분단시대의 가족문제. 분단시대의 사회학. 서울: 한길사
  38. 일천만이산가족추진위원회(1996). 단절의 벽을 넘어서(증보판). 서울: 일천만이산가족재회추진위원회
  39. 임순희(1998). 남북한 이산가족 재결합 시 문제점과 대책. 서울:민족통일연구원
  40. 임순희(2001a). 남북이산가족문제 해결을 위한 주요과제. 통일로, 159, 54-63
  41. 임순희(2001b). 남북이산가족문제의 현황과 과제, 통일문제연구, 36, 101-119
  42. 전병재(1984). 민족이산과 이산가족찾기운동의 사회적 함의. 서울대 사회과학과정책연구, 6(1), 101-122
  43. 제성호(1998). 고령이산가족의 방문 및 상봉 활성화 방안. 통일연구논총, 7(1), 207-247
  44. 제성호(2002). 철저하게 탈정치화 해야 한다:이산가족상봉, 새로운 방안을 찾아. 통일한국, 219(3), 28-31
  45. 조성미(2002). 월북자 가족의 생활경험과 '월북'의 의미체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석사학위 논문
  46. 조용환(1999). 질적 연구방법과 사례. 서울:교육과학사
  47. 조형 . 박명선(1985). 북한출신 월남인의 정착과정을 통해서 본 남북한 사회구조의 변화. 분단시대와 한국사회. 서울:까치
  48. 최대석(1977). 남북이산가족 교류의 현황과 교류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안. 동국대 사회과학연구, 5(12), 219-249
  49. 최의철(2000). 남북정상회담과 이산가족문제 해결 전망. 통일정책연구, 9(1), 63-100
  50. 최정숙(2006). 여성의 이혼과정:분리의 혼돈에서 삶을 재구축해 나아가기.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4(1), 111-141
  51. 통일부(1999). 남북이산가족관련 기본통계. 보도참고자료
  52. 통일부(2001a). 남북이산가족관련 회담 개최상황 및 주요 합의내용. 이산가족정보통합센터 정책자료
  53. 통일부(2001b). 남북이산가족방문단 교환 신문기사집(1-3차). 서울:통일부 인도지원국
  54. 통일부(2001c). 남북이산가족의 실상과 재회의 당위성. 이산가족정보통합센터 정책자료
  55. 통일부(2001d). 통일백서
  56. 통일부(2005). 남북이산가족 상봉 행사 신문기사집. 서울:통일부
  57. 통일부(2006). 남북이산가족 교류를 위한 정부와 민간의 노력. 이산가족정보통합센터 정책자료
  58. 통일연구원(1999). 남북이산가족문제해결방향. 서울:통일연구원
  59. 한국방송공사(1984). 이산가족을 찾습니다:TV 특별생방송 138일의 기록. 서울:한국방송공사
  60. 홍두승(1984). 이산가족의 사회학:빈곤과 사회적 기회의 박탈을 중심으로. 분단한국의 가족문제:이산가족.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학술연찬 자료집 미간행
  61. 홍두승(1985). 전쟁 . 이산 . 빈곤:재회가족의 생활사를 통해 본 이산의 사회학적 일고찰. 한국사회의 변동과 발전. 서울: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62. Kwon, Tai-Whan(1977). Demography of Korea.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63. Creswell, J. W.(1998).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 Choosing among five traditions. Thousand Oaks, CA : Sage Publications
  64. Denzin, N. K. & Lincoln, Y. S.(2003a). Strategies of qualitative inquiry.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65. Denzin, N. K. & Lincoln, Y. S.(2003b). The landscape of qualitative research: Theories and issues.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66. Germain, C. B.(1987). Social work practice: People and environment. N. Y.: Columbia University
  67. Heshusius, L.(1990). Discussion on criteria. In E. G. Guba(Ed.), The paradigm dialog(pp. 198-201).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
  68. Lincoln, Y. S. & Guba, E. G.(1985).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Sage Publications
  69. Marshall, C.(1990). Goodness criteria: Are they objective or judgement calls? In E. G. Guba(Ed.), The paradigm dialog(pp. 188-197).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
  70. Samera, T. & Stolberg, A. L.(1993). Peer support, divorce, abd children's adjustment. Journal of Divorce and Remarriage, 20, 45-64
  71. Schreiber, R. S. & Stem, P. N.(2001). Using grounded theory in nursing.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72. Stern, P. N.(1994). Eroding grounded theory. Morse, J. M(ed.) In Critical issues in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pp. 213-223).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73. Strauss, A. & Corbin, J.(1990).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Newbury Park: Sage Publications
  74. Strauss, A. & Corbin, J.(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2nd ed.). Newbury Park: Sage Pub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