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iveness of the Long-term Group-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social Behavior in Preschooler

학령전기아동의 정서지능 및 친사회적 행동 증진을 위한 장기집단상담프로그램 효과연구

  • 이정숙 (한양대학교 대학원 아동심리치료학과) ;
  • 유정선 (한양대학교 대학원 아동심리치료학과)
  • Published : 2007.02.28

Abstract

Effectiveness of Long-term Group-counseling in Improving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social Behavior in Preschool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long-term group-counseling in preventing children's maladjustment at school. for this study, six children were selected for an experimental group and another six for a control group. They were tested using the Emotional Intelligence Rating System and the Prosocial Behavior Skill Situations Measure for Preschool Level. In addition to quantitative analysis, a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group processes and changes in each child.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socio-drama, group art therapy, and game play therapy whereas the control group did not receive any treatment. In order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intervention, pre-program tests and post-program tests were conduc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was improved with group counseling.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motional intellig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Second,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ability alsoimprove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ability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Keywords

References

  1. 권영임(2002). 게임놀이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권효정(2001). 저소득층 아동의 집단활동이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기은정(2006).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말숙(2002).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보육시설 청소년들의 정서함양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백영(1997). 분노통제프로그램이 부적응아동의 분노와 공격성감소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소연(2000). 사회극이 아동의 외로움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유광(1984). Psychodrama : J.L. Moreno기법을 중심으로. 정신의학보, 8(3), 70-85
  8. 김유광(1996). 싸이코드라마의 준비작업, 임상예술학회지, 2, 37-46
  9. 김유진(2006). 언어놀이를 통한 집단미술활동이 유아의 사회성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윤정(1996). 자폐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미술활동중심 집단상담효과.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김재원(2003). 학급중심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사회성 및 학급응집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원광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주영(2003). 놀이를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성 및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춘경 . 정여주(2000). 상호작용놀이를 통한 집단상담. 학지사
  14. 김현경(2006). 예방차원으로서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또래간 사회적지지, 친밀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동아일보(2006.5.8). 취학기준일 변경
  16. 류칠선(1993). 유아의 친사회적증진을 위한 토론수업프로그램의 효과검증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논문집. 216-318
  17. 명신영(1999). 집단정신치료에 따른 어머니의 가족지각, 부모효능감, 양육스트레스 변화에 대한 사례연구-집단미술치료와 집단정신치료를 통하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문용린(2001). 학교에서의 정서지능개발프로그램에 관한연구. 서울대학교사범대학 사대논집 제62집. 27-53
  19. 박지혜(2006). 집단게임놀이가 학령전기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 행동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백동영(2003). 부모-자녀 애착과 아동의 정서지능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석주영(2004). 집단게임놀이치료가 시설보호아동의 정서적지능과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2. 송미선(1998). 놀이개입상황에 있어서 유아의 또래지위에 따른 사회적행동과 의사소통 기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손정임(2002). 정서지능향상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송영혜 . 박진희(2000). 게임놀이치료가 시설아동의 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 놀이치료연구, 4(1), 103-117
  25. 송호영(2000). 방과 후 아동지도 집단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적, 정서적 발달에 미치는 효과:불교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불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신수정 . 성영혜(2003).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을 통한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정 증진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아동연구, 17(1), 29-60
  27. 안양숙(1997). 역할놀이가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오연수(2003). 미술활동이 학교부적응아동의 사회정 발달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유민화(1996). 집단사회사업실천이 방과 후 탁아아동의 사회적 . 정서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이경미(1992). 유아의 인기도와 조망수용능력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이경화 . 손원경(2005). 아동의 학교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의 구조분석. 한국아동학회지, 26(4), 157-171
  32. 이병래(1997). 정서지능개념의 성립. 열린유아교육연구, 2(2), 195-214
  33. 이승희(1998). 자존감 낮은 아동의 구조화된 집단게임놀이 치료 효과. 놀이치료연구, 2(2), 87-109
  34. 이영미(2001). 게임놀이치료의 이론적 고찰과 적용사례. 놀이치료연구, 4(1), 71-82
  35. 이원영 . 박찬옥 . 노영희(1993). 유아의 사회성 발달 프로그램 개발 연구. 유아교육연구, 13(1), 65-91
  36. 이정숙(2005). 저소득아동 집단상담프로그램 효과연구. 북부교육청, 노원구청 사회복지과
  37. 이정숙 . 김희경(1995). 심리요법의 기술. 서울 : 교문사
  38. 이정숙 . 백지은(2004). 학교부적응아동의 집단놀이치료사례. 한양대학교 생활과학연구, 19권, 37-52
  39. 이정숙 . 유정선(2005). 저소득층 아동의 사회성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3), 127-136
  40. 이현 . 이정숙(2003). 집단활동프로그램이 어머니 . 자녀의 자존감과 우울감 변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회지, 34, 215-241
  41. 장정애(1998). 초등학생의 감성지능과 학업성취 . 학교적응 . 사회성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전미향(1997).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자기존중감과 사회적응력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3. 전숙영 . 이정숙(1999). 애착문제를 갖는 아동의 개인놀이치료 및 집단역할놀이에 대한 사례연구. 놀이치료학회지, 2, 59-74
  44. 정금자 (2001). 프로젝트활동에 따른 정신지체아의 사회정서발달 및 프로젝트수행능력. 정신지체연구, 3, 25-46
  45. 정지현(2004). 집단게임놀이치료요법이 학교부적응아동의 사회성향상에 미치는 효과.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최기영(2003). 협동적 집단게임을 통한 유아의 사회화 과정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3(2), 197-221
  47. 최영희(1999). 집단놀이학습 program이 아동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8. 최외선 . 전미향(1996). 미술기법을 이용한 집단상담이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효과와 동적가족화 반응특성. 한국미술치료학회, 3(2), 89-120
  49. 한경석(2003). 게임활동이 초등학생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0. 한국미술치료학회(199*4). 미술치료연구. 한국미술치료학회
  51. 한국어린이육영회 치료교육연구소(2003). 부모의 심리적 안정을 위한 집단치료 심포지움. 한국어린이육영회부설 치료교육연구소
  52. 한국일보(2006.2.8). 학교, 내년에 보낼래요
  53. 허강선(2005). 미술활동 집단상담이 고립아동의 자아개념 및 교유관계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4. 황재기(1999). 청소년 감정지능과 학업성취, 적응행동과의 관계.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5. 홍대식(1980). 타인과 대상에 대한 호악강도가 삼자관계의 지각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6. E. McGinnis & A. P. Goldstein(1990). Masked depres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merican Journal of Psychotherapy, 21, 565-574
  57. Gardner(1983). Resilience in preschoolers and toddlers from low-income families.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29(3), 155-159 https://doi.org/10.1023/A:1014580408103
  58. Gearheart & Weishan(1976). Children in Poverty: Resilience despite Risk. Psychiatry, 56(2), 127-136
  59. Goleman(1995). Resilienc in Preschoolers and Toddlers from Low-Income Families.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29(3), 155-159 https://doi.org/10.1023/A:1014580408103
  60. Kauffman(1993). Vulnerability and Resilience: A Study of High-Risk Adolescents. Child Development, 62, 600-616 https://doi.org/10.2307/1131134
  61. Kirt(1972). Vulnerability and Competence: A Review of Research on Resilience in Childhood.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61(1), 6-22 https://doi.org/10.1037/h0079218
  62. Moreno, Z. T., A Survey Psychodrama tic Technique(1974). In I.A. Greenberg(Ed). Psychodrama : Theory and Therapy(85-100). N. Y.: A Conder Book
  63. Salovey, P & Mayer, J. D.(1990).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9, 185-211 https://doi.org/10.2190/DUGG-P24E-52WK-6CDG
  64. Sarni(1990). The outcome of psychotherapy with children. Psychological Bulletin, 98, 388-400 https://doi.org/10.1037/0033-2909.98.2.388
  65. Schafer & O'Conner(1982). Handbook of play therapy. John Wiley & Sons, Inc
  66. Walsh(1980). Emotional Development. N. Y.: Wil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