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nalysis on Traditional Housing Characteristics Preferred by Apartment Residents

전통주택의 특성에 대한 아파트 거주자의 선호분석

  • 장미선 (연세대학교 밀레니엄환경디자인연구소) ;
  • 이연숙 (연세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Published : 2007.02.28

Abstract

The identity of Korean housing culture has been the subject of discussion in the past several decades. Recently construction company is using the expression of Korean Identity based on traditional housing as a strategic concept. There, however, has yet been found a concrete solution despite the ambitions intent to modernize Korean tradition. In this circumstances, this research was intend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housing preferred by consumers, in order to embody the scheme in which Korean tradition can be modernized. The main conceptual characteristics and concrete examples were included in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housing. In result, Environment-Friendliness, Visual Openness, Human-Centeredness have been turned out to be the most preferred attributes amongst the major concept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housing. In concrete case of Environment-Friendliness, the use of healthy natural materials such as timber or yellow mud was preferred the most. Consumers were also especially fond of open passage through connecting front and back balcony as for Visual Openness, and spaces created based on human body measurements regarding Human-Centeredness. The Savored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housing varied by gender, age, family type, income, and scale of residenc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ill be useful for housing construction company in planning Korean style apartments and also exploring preferred qualities according to the type of consumer.

Keywords

References

  1. 강순주 외, 우리옛집 이야기: 한국전통주택의 실내공간, 서울: 열화당, 1998
  2. 강순주 외, 한옥의 공간문화, 서울: 교문사, 2004
  3. 권영걸, 공간디자인 16講, 서울: 도서출판 국제, 2001
  4. 김경재, 한국현대건축에 표현된 한국성의 특성에 관한 연구: 90년대를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1, 1999
  5. 김국선 외, 현대실내건축 디자인의 한국성 구현 방법에 관한 연구: 1995년 이후 국내 정기간행물을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 표대회 논문집, 5(5), 2003
  6. 김도연, 전통주택과 공동주택의 단위 평면 비교 연구: 공간구성적인 특 성을 중심으로, 연세대 석사논문, 2001
  7. 김미경, 현대 공동주거 계획에 나타난 한국 전통성 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13(4), 2004
  8. 김연정, 동서양 전통적인 주택 양식의 실내 공간 특성 비교분석 연구: 한국.중국.일본.로마.이집트.이탈리아의 사례주택을 중심으로, 연세대 석사논문, 2000
  9. 모정현.이연숙, 가변형 주택에서 실내공간 요소의 가변방식 유형 분 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14(1), 2005
  10. 신영훈, 안동 하회마을, 서울: 조선 일보사, 1999
  11. 신영훈, 한옥의 조형의식, 서울: 주식회사 대원사, 2001
  12. 심은주.권영걸, 조선시대 반가에 나타난 영역성과 사밀성 구축 방법 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14(5), 2005
  13. 안경은, 전통주거공간 분석을 통한 한국형 아파트 개발에 관한 연구, 동덕여대 석사논문, 1998
  14. 연태경, 관계성 측면에서 본 경복궁의 미학특성 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38, 2003
  15. 유영희, 실내건축공간에 '한국성'적용을 위한 디자인 개념 추출,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14(5), 2005
  16. 이연숙, 미래주택과 공유공간, 서울: 경춘사, 1995
  17. 이연숙, 실내환경 심리행태론: 실내건축 및 디자인을 위한 행동과학 이론과 실제,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8
  18. 이연숙, 한국인의 삶과 미래주택,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3
  19. 이연숙, 한국인의 창의성과 디자인,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4
  20. 이연숙, 미래공간 디자인,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5
  21. 이연숙.이성미, 건강주택,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6
  22. 이양경.오찬옥, 아파트 모델하우스에 나타난 한국 전통 주거의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4(4), 2002
  23. 이주혜, 현대 실내디자인에 나타나는 한국성의 공간적 표현특성에 관 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34, 2002
  24. 임봉식, 한국 현대건축에서 전통성 표현의 수용과 계승에 관한 연구, 한양대 석사논문, 1991
  25. 임은영, 전통주택 계획요소를 응용한 아파트 단위 평면계획에 관한 연 구, 연세대 석사논문, 1997
  26. 전경희.남경숙, 현대실내공간에서의 전통의장요소의 활용에 관한 연 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7(1), 2005
  27. 한경희, 한국현대가구에 있어서 전통성에 입각한 한국적 이미지의 적 용과 방법론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13, 1997
  28. Jang Miseon & Lee Yeunsook, Traditional Housing Characteristics Applied in Modern Apartment,AIDIA Journel, 6,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