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smetic Store Selection Differences Depending on Make-up Preference Image

화장추구이미지에 따른 화장품 구매점포 선택기준

  • Published : 2007.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cosmetic purchasing behavior influenced by make-up preference images, and the orders of importance in the cosmetic store selection. The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female residents in the ages between $20{\sim}45$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322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10.0 software with various techniques such a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reliability analysis, Paired t-test, ANOVA test and Duncan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After investigating how the make-up preference image influences the selection of the off-line cosmetic store, it was found out that the personal service, shopping convenience, and product composition had significant differences. 2. After investigating how the make-up preference image influences the selection of the on-line cosmetic store, it was found out that only the product composition had significant difference. 3. After study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off-line cosmetic store selection, it was found that the personal service was considered most important. After study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on-line cosmetic store selection, it was found that the price was considered most important.

Keywords

References

  1. 김수진, 한명숙. (1998). 1990년대의 패션과 메이크업 경향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6(1), 84-93
  2. 김영인. (1992). 패션이미지에 의한 남자대학생 의류시장 세분화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6(3), 299-314
  3. 김영인, 고애란, 홍희숙. (2000). 의복이미지 선호에 따른 20대 여성 정장시장 세분화 및 색채 선호도. 한국의류학회지, 24(1), 3-14
  4. 김윤희. (2000). 의류점포의 서비스 개념 체계와 쇼핑유형과의 관련성. 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김은숙, 김미영. (2003). 온라인 점포 속성 모형 제시. 경원대학교 생활과학연구지, 9, 1-15
  6. 김현희. (2001). 여고생의 화장행동과 화장품 구매불안간의 관계.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박정혜, 이선재. (2002). 추구의복이미지와 의복태도에 따른 색조화장품 색 선호도 연구. 복식, 52(7), 87-102
  8. 박철. (2002). 온라인과 오프라인 유통경로에서 소비자 구매행동에 대한 비교연구. 유통비지니스 리뷰, 2. 49-63
  9. 박효원, 김용숙. (2004). 신세대 여성의 소비성향에 따른 화장품 구매: 20-30대 여성을 중심으로. 복식, 54(6), 59-74
  10. 배정숙, 류현혜, 조은영. (2003). 성인 여성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메이크업제품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1(12), 133-146
  11. 선정희, 유태순. (2003). 대형할인점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화장품 구매행동. 복식, 53(6), 75-86
  12. 선정희, 유태순. (2004). 화장품 유통경로에 따른 소비자 쇼핑성향, 정보원, 점포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5), 559-569
  13. 손영철. (1999). 우리나라 여성의 화장품 구매행동에 관한 실증적 연구. 특히 화장품 소매점포선택 행동분석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송혜인. (2002). 20대 여성의 의복쇼핑성향에 따른 화장품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순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5. 이숙희, 임숙자. (2003). 선호의복이미지와 편익에 의한 시장세분화에 관한 연구(제1보). 한국의류학회지, 27(1), 100-110
  16. 이영주, 박경애, 허순임. (2002).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점포속성 비교. 한국의류학회지, 26(8), 1265-1273
  17. 이운현, 이화순. (2003). 한국과 태국 여대생들의 화장품 구매행동. 한국미용학회지, 9(3), 109-119
  18. 이지영, 김용숙. (1999). 여대생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화장품 소비행동. 복식, 45, 147-159
  19. 이현정, 김미영. (2004). 의복이미지와 화장이미지에 관한 기존 연구 분석. 복식, 54(7), 91-106
  20. 이현정, 김미영. (2005). 화장추구이미지의 명명척도와 등간척도 측정 결과 및 차이 분석. 한국복식학회 춘계학술대회, 121
  21. 이화순, 황춘섭. (2002). 화장의 사회.심리적 기대효과에 따른 화장이미지와 자의식에 관한 연구. 복식, 52(8), 137-149
  22. 이희숙. (1996). 청주지역 여대생의 화장품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5(1), 33-42
  23. 채정숙. (2001). 여대생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화장품 구매 및 사용행동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39(11), 107-127
  24. 통계청. (2006). 운영형태/상품군별 거래액. 통계쳥. 자료검색일 2006, 9. 23, 자료출처 http://www.nso.go.kr
  25. 한명숙, 선정희. (2001). 웨딩메이크업의 이미지 유형과 디자인 요소와의 관계. 한국미용학회지, 7(2), 73-85
  26. 홍강영. (2002). 화장품의 인터넷 구매시 위험지각과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7. 홍성순 오은정. (2001).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색조화장 표현도와 색조화장품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9(7), 85-100
  28. Assael, H. (1987). Consumer behavior and marketing action (3rd ed.). Boston: Kent Publishing Company
  29. Hutcheson, G. D. & Moutinho, L. (1998). Measuring preferred store satisfaction using consumer choice criteria as a mediating factor.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14(7), 705-720 https://doi.org/10.1362/026725798784867590
  30. Pessemier, E. A. (1980). Store image and positioning. Journal of Retailing, 56(1), 94-106
  31. Shim, S. Y. & Kotsiopulos, A. (1993). A typology of apparel shopping orientation segments among female consumer. Clothing and Textile Research Journal, 12(1), 73-85 https://doi.org/10.1177/0887302X930120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