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tors of Success of the Clearance Policy for Slash-and-Burn Fields in the 1970s

1970년대 화전정리사업의 성공 요인

  • Lee, Ki-Bong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Bae, Jae-Soo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이기봉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 배재수 (국립산림과학원)
  • Received : 2007.04.02
  • Accepted : 2007.05.01
  • Published : 2007.06.30

Abstract

Illegal slash-and-bum fields and slash-and-bum farmers in Korea had increased in spite of Japanese Joseon Government's strong regulations and clearance measures, and land reform after the 1945 Liberation of Korea until 1970s.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th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to disappear entirely the matters from 1974 to 1979 that illegal slash-and-bum fields and slash-and-burn farmers continued long in existence until the early 1970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 population pressure to agricultural lands that main factor of generation of illegal slash-and-bum fields had decreased rapidly because the rural populations and less income farmers have decreased after 1967. Especially, the decrease of the rural populations had never seen to the 1970s. It is recognised that the social condition for the success in 1970s. Secondly, the continuous economic growth from the early 1960s enabled the Korean government to solve the matter through the sufficient financial investment from the Government. For example, the gross national product (GNP) and the government budget in 1974 increased around 25 times after 1960. It is recognised that the economic condition for the success in 1970s. Finally, it was enabled to remove the concealment from the slash-and-bum farmers and to monitor illegal re-cultivation thoroughly because the development of forest inventory technique using an aerial photograph and the expansion of road facilities. It is recognised that the technical condition for the success in the 1970s.

화전과 화전민은 일제의 강한 규제와 정리 계획, 해방 이후 토지개혁에도 불구하고 1970년대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본 논문에서는 강고하게 존재했던 화전과 화전민이 1974-1979년의 화전정리사업으로 완전히 사라지게 된 필요 충분조건을 살펴보고자 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제시대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던 농촌 인구와 최하층의 농가수가 1967년경을 정점으로 감소하면서 화전과 화전민 발생의 근본 원인이었던 토지에 대한 인구의 압력이 약화되었다(사회적 필요조건). 둘째, 1960년대 중반부터 본격화된 경제개발계획으로 1974년의 국민총생산과 정부예산이 1960년의 25배 수준이 되어 화전정리사업에 충분한 투자가 가능해졌다(경제적 충분조건). 셋째, 항공사진을 이용한 산림자원조사 기술의 발전과 도로 시설의 확대로 화전민의 은닉성이 제거되어 재모경(再冒耕)을 철저히 감시할 수 있게 되었다(기술적 충분조건).

Keywords

References

  1. 강만길. 1987. 日帝時代 貧民生活史 硏究. 創作社. pp.395
  2. 강원도 편집국. 1966. 화전정리사. pp,113
  3. 강원도. 1976. 화전정리사. pp.312
  4. 岡衞治著. 임경빈, 김창호, 배재수 역. 2000. 조선임업사(상). 산림청. pp.822
  5. 김경렬. 1993. 한국토지제도사. 경영문화원. pp.504
  6. 김동수. 1974 강원도 화전정리사업에 대한 소고. 한국임학회지 22: 7-17
  7. 내무부. 1980. 새마을운동 10년사. pp.708
  8. 배재수, 이기봉. 2006. 해방 이후 가저용 연료재의 대체가 산림녹화에 미친 영향. 한국임학회지 95(10): 60-72
  9. 산림청. 1980. 환전정리사. pp.607
  10. 신용하. 1982. 조선토지조사사업 연구. 지식산업사. pp.291
  11. 이기봉. 1996. 日帝時代 末技 都市化, 工業化에 대한 農村住民들의 適應 過程에 관한 硏究,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석사학위논문. pp.103
  12. 이해영, 권태환 편. 1978. 韓國社會 人口와 發展(I). 서울大學敎社會科學大學 人口 및 開發問題硏究所. pp.338
  13. 통계청. 1995. 통계로 본 한국의 발자취. pp.701
  14. 한갑준. 1999. 우리나라 산림자원조사 사업의 발자취, 한국산림측정학회지 2(2): 1-5
  15. 한갑준. 2007. 국내 최초 산림조사용 항공사진 촬영과 이용. 대한민국 산 세계는 기적이라 부른다. 산림청 발행. pp.544-551
  16. 한국임정연구회. 1975. 治山綠化 30年史. pp.715
  17. 호을영. 1975. 강원도 화전정리사업에 수반되는 문제점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28: 50-66
  18. 홍성찬 편. 2001. 농지개혁 연구. 연세대학교 출판부. pp.290
  19. 朝鮮總督府. 朝鮮國勢調査報告(1925, 1930, 1935, 1940, 1944)
  20. 朝鮮總督府. 朝鮮總督府統計年報(1925-19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