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il Properties of Chestnut (Castanea crenata) Stands by Regions in Gyeongnam Province

경상남도 밤나무임지의 지역별 토양특성

  • Kim, Choonsig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Jinju National University) ;
  • Lim, Jong-Taek (Gyeongsangnam-do Forest Environment Research Institute) ;
  • Cho, Hyun-Seo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Jinju National University) ;
  • Goo, Gwan-Hyo (Gyeongsangnam-do Forest Environment Research Institute)
  • 김춘식 (진주산업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임종택 (경상남도 산림환경연구원) ;
  • 조현서 (진주산업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구관효 (경상남도 산림환경연구원)
  • Received : 2007.01.02
  • Accepted : 2007.03.14
  • Published : 2007.03.3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soil properties by regions from chestnut (Castanea crenata Sieb. et Zucc) stands in Gyeongnam province. Soil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were measured from soil samples of top 20 em collected from three hillslopes (upper, middle, lower) of the chestnut stands in six regions (Jinjusi, Sacheonsi, Sancheonggun, Hadonggun, Goseonggun, Hapcheongun) where are major chestnut cultivation areas throughout the province. Soil propert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regions (p<0.05), whil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hillslopes (p>0.05). Soil bulk density, soil pore space, soil pH, organic matter content, total nitrogen, available phosphorus, and CEC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regions (p<0.05). Soil bulk density was significantly lower (p<0.05) in Hadonggun ($0.96g/cm^3$ than in other regions ($1.12{\sim}1.22g/cm^3$). Soil pH was below pH 5.03 in most regions and Sancheonggun showed the lowest soil pH value (pH 4.62), followed by Jinjusi, Hadonggun, Hapcheongtm, Goseonggun, and Sacheonsi. Organic matter content was highest in Hadonggun (6.46%), while other regions ranged between 2.93% and 3.47%. Total nitrogen content showed a similar trend like the organic matter content. Available phosphorus was above 100 ppm in Jinjusi, Hadonggun and Sancheonggun, but Sacheonsi showed the lowest concentration (15 ppm) among the regions. Cation Exchange Capacity (CEC) was above 10 cmolc/kg in Goseonggun and Hadonggun, but below 8.6 cmolc/kg in Jinjusi and Hapcheongtm. Potassium content ranged between 0.07 and 0.14 cmolc/kg, and magnesium was above 0.66 cmolc/kg in all regions. The results indicate that soil property in chestnut stands was different among regions in Gyeongnam province. This suggested that the chestnut stands should be managed by the fertilization application reflected in the variability of regional soil property in chestnut stands.

경상남도는 우리나라 최대 밤나무 재비지 중의 하나이나 밤나무 임지를 대상으로 토양특성과 관련한 체계적인 조사가 시도된 적이 없어 밤나무 재배관련 기술지도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경상남도 진주시, 산청군, 합천군, 하동군, 사천시, 고성군 등 6지역의 밤나무 임지를 대상으로 각 지형별 대표적인 지점을 선정하고 지형요건을 고려하여 한 사면을 중심으로 상단부, 중간부, 하단부로 구분한 후 토양깊이 20 cm까지의 토양시료를 채취하고 토성, 토양 pH, 유기물 함량, 전질소, 유효인산, 치환성 양이온함량 등을 분석하였다. 경남지역 밤나무임지의 토양특성은 지역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p<0.05), 지형 위치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토양특성 중 토양용적밀도, 공극율, 토양 pH, 유기물 함량, 전질소, 유효인산, 양이온치환용량, 붕소 같은 토양 화학적 특성은 지역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토양용적밀도의 경우 하동군의 $0.96g/cm^3$을 제외한 나머지 5개 시, 군의 토양용적밀도는 $1.12g/cm^3$에서 $1.22g/cm^3$까지 분포하고 있어서, 밤나무 임지의 경우 답압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 pH의 경우 대부분 지역이 평균 pH 5.03 이하로 토양산성화가 심하였고, 가장 낮은 토양 pH는 산청군의 4.62였으며, 진주시, 하동군, 합천군, 고성군, 사천시 순이었다. 유기물의 경우 하동군지역이 6.46%로 가장 높으며, 타 지역은 2.93~3.47%에 분포하였고, 전질소의 경우 하동지역이 높고 타 지역은 지역간 차이가 없었다. 유효인산의 경우 진주, 하동, 산청은 100 ppm 이상으로 밤나무 재배를 위해 비교적 양호한 수준이나 사천시의 경우 15 ppm으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양이온치환용량은 고성과 하동이 10 cmolc/kg 이상이었으며 진주, 합천은 8.6 cmolc/kg 정도였다. 칼륨함량은 0.07~0.14 cmolc/kg에 분포하였고 진주, 하동, 합천은 0.1 cmolc/kg이하였으며, 마그네슘의 경우 6지역 모두 0.66 cmolc/kg 이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경상남도 밤나무 임지는 지역간 토양 특성이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임지의 비배관리에 있어서도 지역간 임지의 토양 이화학적 특성이 반영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Acknowledgement

Grant : 밤나무임지의 토양조사 분석

Supported by : 경산남도 산림환경연구원

References

  1. 구교상. 2003. 우리나라 밤나무 재배지 토양특성과 재배적지. 산림 459: 444-446
  2. 구교상,정진현,원형규,오정수. 2003. 토양개량제 살포에 따른 밤재배지 토양변화 및 밤수량변화. 한국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62-264
  3. 농업과학기술원. 2000. 토양 및 식물체 분석법. pp. 202
  4. 산림청. 1998. 산림입지조사요령. pp. 86
  5. 산림청. 2004. 밤산업종합대책. pp. 41
  6. 이윤영,원형규,이충화,정용호. 2006. 밤나무 재배지내 초생재배용 초종식물의 선발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74-77
  7. 정인구,박승걸. 1978. 밤보속다수확을 위한 밤나무 비배관리,가리연구회. pp. 295
  8. 정인구. 1979a. 밤나무 적지선정과 밤 다수확을 위한 시비. 산림 157: 45-51
  9. 정인구. 1979b. 월동 밤나무 토양관리와 낙과 방지 대책. 산림 165: 51-56
  10. 정인구,서호석,강창호,이송,홍성균. 1979. 밤나무 임지 토양양료로서의 제한인자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41: 53-54
  11. 정인구. 1980. 밤나무 시비시험(I) -밤나무생장과 밤생산을 위한 비종별 효과시험. 한국임학회지 50: 35-44
  12. 정인구,서호석,강창호 1981. 밤나무 생장 및 밤수량에 미치는 시비효과에 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51: 71-72
  13. 정인구. 1982. 밤나무 시비시험(II) -일조량 부족과 Mg의 시비효과. 한국임학회지 58: 17-22
  14. 정인구. 강신우,이명선. 1982 밤나무 시비시험(III) -밤 증수를 위한 MgO 및 $B_2O_3$의 시비효과- 한국 임학회 하계 학술발표요지: 54
  15. 정진현,구교상,이충화,김춘식. 2002. 우리나라 산림토양의 지역별 이화학적 특성. 한국임학회지 91(6): 694-700
  16. 정진현,김춘식,구교상,이충화,원형규,변재경. 2003. 한국산림토양의 모암별 이화학적 특성. 한국임학회지 92(3): 254-262
  17. Rhoades,C.C., Brosi,S.L.,Dattilo,A.J.,and Vincelli,P. 2003. Effect of soil compaction and moisture on incidence of phytophthora root rot on American chestnut (Castanea deηtata) seedling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84: 47-54 https://doi.org/10.1016/S0378-1127(03)00147-6
  18. SAS Institute. 1989. SAS/STAT User's Guide,Version 6,4th ed. Volume 2, Cary,NC U.S.A. pp. 16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