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Photosynthetic Rates of Panax ginseng in the Different Age and Provinces

지역별, 연령별 산양삼의 광합성특성에 관한 연구

  • Seo, Se Myung (Department of Environmental Horticulture, University of Seoul) ;
  • Woo, Su-Young (Department of Environmental Horticulture, University of Seoul) ;
  • Lee, Dong-Sup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and Environment, Sangju National University)
  • 서세명 (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
  • 우수영 (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
  • 이동섭 (상주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 Received : 2007.04.26
  • Accepted : 2007.05.30
  • Published : 2007.06.30

Abstract

Six research areas - Hongcheon, Sangju, Jinan, Punggi, Hamyang and aricultural ginseng field near Sangju- were selected to compare microenvironments and photosynthetic capacity. Monthly mean temperature, precipitation and number of hours of clean days have to be identified because these factors are strongly related to the growth and photosynthesis of forest ginseng. Generally, monthly mean temperature in Sangju was highest at June. Monthly mean precipitation in Hongcheon was higher than other areas. In addition, numbers of clean days in Punggi were highest on May and June. Obviously, photosynthetic capacity of younger age class of forest ginseng grown in every 5 places are getting decreasing when forest ginseng becoming olds.

연구지는 6지역의 우수재배지역을 선정하여 기존에 재배활동을 하던 곳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홍천, 상주, 진안, 풍기, 함양 그리고 상주인근의 밭인삼 재배지역을 조사지역으로 선정하였다. 각 지역별로 $20m{\times}20m$의 방형구를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월평균 기온은 산지인삼이 생육을 시작하는 5, 6월에는 상주지역의 온도가 가장 높았다. 그러나 7월과 8월의 온도는 함양과 홍천지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홍천지역의 강수량은 생육과 관련 있는 6, 7월 무렵에도 다른 지역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풍기지역의 일사량은 5월과 6월이 다른 지역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모든 지역에서 광합성능력은 연령이 낮을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기상청. 2007. http://www.kma.go.kr/
  2. 농림부. 1998. 인삼임간 청정재배 경영모델개발. 166p
  3. 산림청 임업연구원. 1997. 산림유용식물 대량재배 경영 모델개발. 75p
  4. 산림청 임업연구원. 1996. 단기인산 신소득원 개발에 관한 연구(III). 202p
  5. 산림청 임업연구원. 1995a. 단기임산 신소득원 개발에 관한 연구(II). 291p
  6. 산림청 임업연구원. 1995b. 산주를 위한 새로운 임업 기술. p227-230
  7. 산림청 임업연구원. 1993. 새로운 단기임업소득. p27-31
  8. 우수영, 이동섭. 2002. 임상별 林間入蔘의 生育과 最適環境에 관한 硏究(I). 한국농림기상학회지 4(2): 65-71
  9. 우수영, 이동섭, 민재기. 2002. 入蔘의 山地栽培時 林相別 生育과 環境에 關 한 硏究(II). 한국임학회지 91(3): 304-312
  10. 임병옥, 손의동, 고성권. 2006. 해외산삼의 동향. 한국산삼학회지 2(1): 8-20
  11. 최명섭. 2006. 한국산양삼 재배현황과 전망. 한국산삼학회지 2(1): 8-20
  12. 한상섭, 전성렬. 2006. 산양삼엽의 생리방응특성. 한국산삼학회지 2(1): 1-7
  13. 한영채. 1981. 인삼과 산삼. 서울, 창조사. 416p
  14. Kimmins, J.P. 2004. Forest Ecology,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New York, 3rd edition, 611pp
  15. Kozlowski, T. T. and S. G. Pallardy, 1997. Physiology of Woody Plants(2nd Eds.), Academic Press, London, 411 pp
  16. Oliver, C.D. and B.C. Larson. 1996. Forest Stand Dynamics. John Wiley and Sons. Inc. New York. 520pp
  17. Woo S.Y., D.S. Lee and P.G. Kim. 2004. Growth and Eco-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Panax ginseng Grown under Three Different Forest Types. Journal of Plant Biology 47(3): 230-235 https://doi.org/10.1007/BF0303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