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 남해안 해역별 어류의 출현 종 및 양적변동

Species and Abundance Variation of Fish by a Gill Net in Coastal Waters of Southern Sea, Korea, 2006

  • 차병열 (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 ;
  • 김대권 (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 ;
  • 서성호 (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
  • Cha, Byung Yul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 Kim, Dae Kwon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 Seo, Seong Ho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투고 : 2007.04.30
  • 심사 : 2007.06.12
  • 발행 : 2007.09.30

초록

조사기간 동안 남해안 4개 해역에서 자망에 의한 어류의 총 어획량은 577,422.9 g, 어획종수는 총 68종이었다. 전체 어획 종에서 양태가 차지하는 어획량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숭어, 개서대 그리고 보구치의 순이었다. 상대서식량 지수 면에서는 양태, 보구치, 개서대 그리고 숭어가 전체의 63.1%를 점유하였다. 해역별에서는 경남 통영 도남해역이 어획량과 어획종수에서 53,148.8 g, 18종 그리고 우점종은 문치가자미, 양태, 쥐노래미 등이었고, 전남 여수 계동해역이 123,926.9 g, 44종의 어획량과 어획종수 그리고 우점종은 양태, 갯장어, 문치가자미 등이었으며, 전남 장흥 수문해역에서 228,920.9 g, 28종의 어획량과 어획종수, 우점종은 숭어, 양태, 개서대 그리고 전남 진도 모도해역에서는 어획량과 어획종수가 171,426.3 g, 32종 그리고 우점종은 양태, 보구치, 개서대이었다. 따라서, 본 조사에서 남해안의 어류군집은 어획량과 어획종수 그리고 어획 종들에서 해역 간에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남해안 해역별 해양환경 조건과 생산성 그리고 어종별 생태습성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남해안 연안의 어류는 수온이 상승하고, 염분값이 낮아지는 봄철이후에 점차 증가하는 경향에 있었다.

Fish community study by a gill net in four coastal waters of Southern Sea, Korea were simultaneously conducted to determine seasonal variation of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from March to November, 2006. A total of 68 species and 577,422.9 g by four study waters were caught during the survey period. The dominant species were Platycephalus indicus, Mugil cephalus, Cynoglossus robustus and Argyrosomus argentatus of 58.2% in total catch and they occupied 63.1% in IRD (index of relative distribution). By regional community, fishes that compromised 18 species and 53,148.8 g in Tongyeong Donam were caught and the dominant species were Platycephalus indicus, Hexagrammos otakii, Liparis tessellatus, Paralichthys olivaceus. In Yeosu Gyedong, fishes of 44species and 123,926.9 g were caught and the dominant species were Platycephalus indicus, Muraenesox cinereus. In Jangheung Sumoon, fishes of 44 species and 123,926.9 g were caught and the dominant species were Mugil cephalus, Platycephalus indicus, Cynoglossus robustus, Liparis tessellatus. And in Jindo Modo, fishes of 32 species and 171,426.3 g were caught and the dominant species were Platycephalus indicus, Argyrosomus argentatus, Cynoglossus robustus. Therefore, the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fish by region were very different. These results seem to be related to differences of regional environmental condition, productivity, and fish ecological habits. And the fish catch in four study waters were high from April to July, and the number of fish species and diversity index had a tendency to increased from March to November. The ranges of environmental factors caught fish were $8.3{\sim}28.5^{\circ}C$ in temperature, 26.59~34.92 in salinity and also these factors were correlated to seasonal variation of fish.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국립수산과학원

참고문헌

  1. 곽석남.허성회. 2003. 낙동강 하구역 어류의 종조성 변화. 한국수산학회지, 36 : 129-135
  2. 곽석남.허성회.최창근. 2006. 진동만 잘피밭과 인근 잘피가 없는 해역의 어류군집 비교. 한어지, 18 : 119-128
  3. 김동수. 1993. 여수연안 정치망어장의 환경요인과 어황변동에 관한 연구. 한국어업기술학회지, 29 : 94-108
  4. 김동수.노홍길. 1993. 여수연안 정치망어장의 환경요인과 어황변동에 관한 연구. 1. 어장 주변 해역의 해황 특성. 한국어업기술학회지, 29 : 1-10
  5. 김동수.노홍길. 1995. 여수연안 정치망어장의 환경요인과 어황변동에 관한 연구. 3. 기초생산자의 출현과 어획량의 변동. 한국어업기술학회지, 31 : 15-23
  6. 김동수.노홍길. 1996. 여수연안 정치망어장의 환경요인과 어황변동에 관한 연구. 4. 수온.염분과 어획량의 변동. 한국어업기술학회지, 32 : 125-131
  7. 김동수.이조출.김대안.박용석. 1989. 여수해만의 어장학적 특성 - 정치망 어장을 중심으로 -. 한국어업기술학회지, 25 : 44-53
  8. 김동수.이조출.박용석. 1988. 여수연안 정치망어장의 해황과 어황에 관한연구. 한국어업기술학회지, 24 : 150-157
  9. 김영혜.전복순.강용주. 2000. 수영만에 분포하는 어류의 종조성과 계절변동. 한국수산학회지, 33 : 320-324
  10. 김종관.강용주. 1991. 삼중자망에 의한 삼천포 신수도연천해어류 군집의 구조. 한국수산학회지, 24 : 99-110
  11. 명정구.김병일.이선명.전길봉. 2005. 우리바다 어류도감. 다락원, 287 pp
  12. 백근욱.곽석남.허성회. 2005. 진동만 명주리 잘피밭에 서식하는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 한어지, 17 : 8-18
  13. 안용락.허성회. 2003. 가덕도 주변 해역 어류의 종조성과 계절변동. 4. 저층자망에 의해 채집된 어류. 한국수산학회지,36 : 686-694
  14. 이주희.염말구.김삼곤. 1988. 정치망어장의 어도형성에 관한 기초연구(2). - 해저지형과 해수유동 -. 한국어업기술학회지, 24 : 12-16
  15. 이태원.문형태.황학빈.허성회.김대지. 2000. 남해 안골만 잘피밭 어류 종조성의 계절변동. 한국수산학회지, 33 :439-447
  16. 정문기. 1977. 한국어도보. 일지사, 서울. 727 pp
  17. 차병열. 1999. 거제도 연안해역의 어류 종조성. 한어지, 11 :184-190
  18. 차병열.장대수.김병엽. 2004. 제주도 함덕 연안의 정치망 어획량 변동. 한국수산학회지, 37 : 65-72
  19. 차성식.박광재. 1997. 저인망에 채집된 광양만 어류의 종조성과 계절변동. 한어지, 9 : 235-243
  20. 한경호.양근석.진동수.유동재.오성현.황동식. 2001. 고흥반도 주변 해역에 분포하는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 한어지, 13 : 143-157
  21. 허성회.안용락. 2000. 가덕도 주변 해역 어류의 종조성과 계절 변동. 1. 소형 기선저인망에 의해 채집된 어류. 한국수산학회지, 33 : 288-301
  22. 황선도.김진영.김주일.김성태.서영일.김종빈.김영혜.허선정. 2006. 일일어획자료를 이용한 여수 해역의 정치망 어획물 종조성. 한어지, 18 : 223-233
  23. Appeldoon, R.S., Friedlander, A., Sladek Nowlis, J., Usseglio, P. and A. Mitchell-Chui. 2003. Habitat connectivity in reef fish communities and marine reserve design in Old Providence-Santa Catalina, Colombia. Gulf Caribb. Res., 14 : 61-77
  24. Boaden, P.J.S. 1985. An introduction to coastal ecology, Chapman and Hall. 218 pp
  25. Chou, W., K.S. Tew and L. Fang. 2002. Long-term monitoring of the demersal fish community in a steel-slag disposal area in the coastal waters of Kaohsiung, Taiwan. ICES J. Mar. Sci., 59 : 238-242 https://doi.org/10.1006/jmsc.2002.1227
  26. Jin, X. 2004. Long-term changes in fish community structure in the Bohai Sea, China. Estuar. Coast. Shelf Sci. J., 59 : 163-171 https://doi.org/10.1016/j.ecss.2003.08.005
  27. Khalaf, M.A. and M. Kochzius. 2002. Community structure and biogeography of shore fishes in the Gulf of Aqaba, Red Sea. Helgol. Mar. Res., 55 : 252-284 https://doi.org/10.1007/s10152-001-0090-y
  28. Masuda, H., K. Amaoka, C. Araga, T. Ueno and T. Yoshino. 1984. The fishes of the Japanese Archipelago. Tokai Univ. Press, Tokyo. Text and plates: 437 pp. +370 pls.
  29. Moyle, P.B. 1993. Fish. University of California, 272 pp
  30. Pinkas, L., M.S. Olipham, and I.L.K. Iversor. 1971. Food habits of albacore, bluefin tuna and bonito in California waters. Fish. Bull. Calif., 152, 1-105
  31. Shannon, D.E. 1948. A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Bell System Tech. J., 27 : 379-423, 623-656 https://doi.org/10.1002/j.1538-7305.1948.tb01338.x
  32. Svedaeng, H. 2003. The inshore demersal fish community on the Swedish Skagerrak coast: regulation by recruitment from offshore sources. ICES J. Mar. Sci., 60 : 23-31 https://doi.org/10.1006/jmsc.2002.1329
  33. Wilber, D.H., D.G. Clarke., M.H. Burlas., H. Ruben, and R.J. Will. 2003.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in surf zone fish assemblages on the coast of northern New Jersey. Estuar. Coast. Shelf Sci. J., 56 : 291-304 https://doi.org/10.1016/S0272-7714(02)00163-4
  34. Wootton, R.J. 1998. Fish Ecology. Kluwer Academic Publishers, 386 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