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k Assesment in the loaded works of muscular skeletal disorder for company attached to dining workers

기업체 식당종사자의 근골격계 부담 작업에 대한 위험성 평가

  • 이송권 (대구한의대학교 보건학부) ;
  • 유왕근 (대구한의대학교 보건학부) ;
  • 이정희 (대구한의대학교 보건학부) ;
  • 임무혁 (대구한의대학교 산업보건연구소) ;
  • 박만철 (삼성테크윈(주) 환경안전그룹) ;
  • 차상은 (오스렉) ;
  • 기윤호 (한양대학교 대학원)
  • Received : 2006.11.06
  • Accepted : 2007.05.08
  • Published : 2007.06.30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out hazardous factors in the loaded works of muscular skeletal disorders(MSDs) for four company attached to dining workers from October 2005 to June 2006.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42.5% of workers in study group were 40-50 years old, and females were higher than males, and the average of body weight was 70kg, 57kg in males and females, respectively. Working time per day was mostly 7-9hours, and the rate of worker who had never education and training was 46%. 2. The upper part and right part of body were higher than lower part and left part in symptoms of muscular skeletal disorders. Body parts which complained of symptoms were the order of right shoulder(55%), right arm(54%), right hand,(40%) waist(35%), leg(25%), and neck(24%). 3. The results of evaluation in the loaded works of muscular skeletal disorders to cooking, dish supply, preparing side dish, and washing the dishes and cleaning the floor of cooking room using RULA and OWAS checklists was action level 4(potential hazards, needs of change workplace), and the result of evaluation using back compressive force needed control measures as 779.27 lbs~1,274.04 lbs. In a view point of the result of this study, large dining rooms should be designed by ergonomic technology for the work surface height, width, and depth. The height of carrying car should be lower to 70cm, and repetitiveness and handling weight should be reduced by mechanical means, and education and training also should be performed for all of workers positively.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대구한의대학교

References

  1. 기도형. 작업 자세 평가 기법 OWAS, RULA, REBA 비교. 한국산업안전학회지 2005;20(2):127-132
  2. 기도형, 송영웅. 종합병원 종사자 업무의 인간공학적 평가 및 개선방안. 한국산업위생학회지 2006;16(2):161-171
  3. 근골격계부담작업유해요인조사지침. KOSHA CODE H-30- 2003
  4. 김강윤, 안선희, 최호준, 정경수, 박소연, 김현욱. 물리치료사 의 근골격계 부담작업 유해요인평가 - 운동치료를 중심 으로. 한국산업위생학회지 2004;14(2):144-154
  5. 김재호, 이종명. 상선 승무원들의 근골격계 증상 경험률과 관 련요인. 예방의학회지, 1998; 31:127-138
  6. 김철홍, 임상혁, 문명국, 손경일, 장안석. 국내 모 대형병원사 업장의 근골격계질환 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추계대한인간공학회논문집 ;2005
  7. 김혜란. 근골격계 자각증상과 업무 만족도 및 부담도의 관련 성, 인제대학교 보건학 석사학위논문. 2004
  8. 김영기. 자동차 엔진조립공에서 근골격계 증상에 미치는 위 험요인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2003
  9. 김창제. 전자조립업종에서 여자작업자들의 근골격계질환 특 성에 대한 연구, 동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10. 구정완, 정은희, 권정현, 유재혁, 김형렬, 김현욱. 병원종사자 의 근골격계 부담작업에 대한 자각증상율 비교. 추계대 한인간공학회논문집;2005
  11. 구정완, 이승한. 은행원의 VDT 작업에 따른 피로자각증상. 예방의학회지1991;24(3):305-313
  12. 노동부. 산업재해통계, 서울, 2004
  13. 노동부. 노동부령 제195호, 산업보건기준에관한 규칙개정령 산업보건기준에 관한규칙. 제9장 근골격계 부담 작업으 로 인한 건강장해의 예방, 2003
  14. 박정일, 조경환, 이승한. 여성 국제전화 교환원들에 있어서의 경견완장애. I .자각적 증상. 대한산업의학회지 1989;1(2):141- 150
  15. 박동현, 한상환. 범용 위험도 평가서를 이용한 조선업체 작업 에서의 누적외상성질환에 대한 인간공학적 분석. 한국산업위생학회지 1998;8:24-33
  16. 송미라, 한성현. 일부 여성 미용종사자들의 근골격계증상의 위험요인. 한국산업위생학회지 2005;15(3):250-260
  17. 이원진, 이은일, 차철환. 모 사업장 포장부서 근로자들에서 발생한 수근터널 증후군에 대한조사연구. 예방의학회지 1992;25(1):26-33
  18. 이윤근. 근골격계질환 위험요인에 대한 조선업 근로자 자기 평가와 건문가 관찰방법비교. 한국산업위생학회지 2005;15(2):83-89
  19. 이종민, 김수근, 김종민. 수근관 증후군의 진단 기준-일개 육류 가공업체근로자의 수근관증후군. 대한산업의학회지, 1999;11:407-414
  20. 이철갑. 직업성 근골격계질환 증상 호소와 관련된 사회심리 적요인,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21. 조권환. 병원종사자의 근골격계질환 증상유병율과 위험요 인, 인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22. 윤철수, 이세훈. 자동차 관련직종 근로자에서 상지 근골격계 증상호소율과 관련요인. 대한산업의학회지 1999;11:439- 448
  23. 홍윤철, 하은희, 박혜숙. 조선업 생산직 근로자의 요통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예방의학회지 1996;29:91-102
  24. 한국산업안전공단 산업재해 분석자료, 1996-2002 (www.kosha.go.kr)
  25. Bloswick, D.S. and Villnage, T. 'Ergonomics(chapt 54)', In Harris, RE.(ed), Patty's Industrial Hygiene and Toxicology 5th ed, Vol. 4,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2000
  26. Bork BE, Cook TM, Rosecrance JH, Engelhardt KA, Thomason ME J, etal.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mong physical therapists. Physical Therapy 1996;76:827-835 https://doi.org/10.1093/ptj/76.8.827
  27. Chaffin BD, Andersson GBJ, Matin BJ. Occupational biomechanics, 3rd ed. John wiley & Sons, 1999
  28. Cromie JE, Roberston VJ, Best MO.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physical therapists: prevalence, severity, risks and responses. PhysicalTherapy 2000;80(4):336-351 https://doi.org/10.1093/ptj/80.4.336
  29. Erdil M, Dickerson OB Cumulative trauma disorders, preventive, evaluation and treatment. Van Nostrand Reinhold;1997.pp.88- 89
  30. Eastman Kodak Company. Ergonomic design for people at work, Volume I, John Wiley & Sons, Ins., New York, 1983
  31. Karhu O, Knasi P, Kuorinka I. Correcting working postures in industry, a practical method for analysis. Appl Ergo 1977;8:199-201 https://doi.org/10.1016/0003-6870(77)90164-8
  32. MacLeod D. The ergonomics edge. Van Nostrand Reinhold, New York. 1995
  33. McAtamney L, Corlett EN. RULA: a survey method for the investigation of work-related upper limb disorders. Applied Ergonomics 1993;24(2):91-99 https://doi.org/10.1016/0003-6870(93)90080-S
  34.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Bureau of Labor Statistics (http://stats. bls.gov.oshhome.htm).2005
  35. Zenz C. Occupational Medicine, 3rd ed. st. Louise, mosey, 1994:48-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