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ment Magnitude Determination Using P wave of Broadband Data

광대역 지진자료의 P파를 이용한 모멘트 규모 결정

  • Hwang, Eui-Hong (Marine Meteorology & Earthquake Research Lab, Meteorological Research Institute/KMA) ;
  • Lee, Woo-Dong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Jo, Bong-Gon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Jo, Beom-Jun (Marine Meteorology & Earthquake Research Lab, Meteorological Research Institute/KMA)
  • 황의봉 (기상청 기상연구소 해양기상지진연구실) ;
  • 이우동 (전북대학교 과학기술학부 지구환경과학과) ;
  • 조봉곤 (전북대학교 과학기술학부 지구환경과학과) ;
  • 조범준 (기상청 기상연구소 해양기상지진연구실)
  • Published : 2007.03.30

Abstract

A method to quickly estimate broadband moment magnitudes (Mwp) to warn regional and teleseismic tsunamigenic earthquakes is tested for application of the method to the different seismic observation environment. In this study, the Mwp is calculated by integrating far-field P-wave or pP-wave of vertical component of displacement seismograms in time domain from earthquakes, having magnitude greater than 5.0 and occurred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from 2000 to 2006. We carefully set up the size of the time window for the computations to exclude S wave phases and other phases following after the P wave phase. The P wave velocities and the densities from the averaged Korean crustal model are used in the computations. Instrumental correction was performed to remove dependency on the seismograph. The Mwp after the instrumental correction is about 0.1 greater than the Mwp before the correction. The comparison of our results to the those of foreign agencies such as JMA and Havard CMT catalogues shows a higher degree of similarity. Thus our results provide an effective tool to estimate the earthquake size, as well as to issue the necessary information to a tsunami warning system when the effective earthquake occurs around the peninsula.

지진해일을 발생 시킬 수 있는 중거리, 원거리 지진 대해서 광대역 자료를 이용한 모멘트 규모(Mwp)를 신속하게 추정하는 방법을 기존 연구와 다른 관측환경을 가지고 있는 한반도에 적용가능한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2000년부터 2006년까지 한반도 주변에서 발생한 규모 5이상의 지진을 대상으로 테스트를 실시하였으며, 시간 영역에서 수직성분의 변위자료를 적분한 후 P파 구간에서 최댓값을 이용해 모멘트 규모를 계산할 수 있다. P파 도달 후 S파를 포함한 다른 파를 제외하기 위해서 자료처리를 위한 시간창의 크기를 설정하였다. 계산에 필요한 입력 자료로 한반도의 지각속도구조에서 제시된 P파의 속도, 밀도를 사용하였다. 서로 다른 관측 환경에 의한 영향을 보기 위해 계기 보정에 의한 효과를 비교하였다. 관측 장비에 의한 영향을 제거하기 위해 계기보정을 실시하였으며 계기보정 후에 계산된 평균 모멘트 규모가 보정 전 보다 약 0.1정도 크게 나왔다. 하지만 그 결과는 일본 기상청과 Havard CMT 목록에서 제시된 모멘트 규모와 매우 유사하였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 테스트한 Mwp 모멘트 규모는 한반도 주변에서 발생한 대규모 지진이 국내에 영향을 줄 가능성에 대비해 빠르게 지진의 규모를 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양에서 발생한 지진일경우 지진해일 경보 시스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기상연구소, 2006,지진해일 예측 및 지진전조 탐지기술개발, 기상 지진기술개발사업 연구보고서
  2. 김성균, 1995,한반도의 지각구조에 관한 연구, 대한지질학회지, 31 권 4호, 393-403
  3. 지헌철, 1999, 지진관측 원리 및 관측망 현황, 한국지진공학회 춘계 학술대회 논문집, 3-15
  4. Allen, R. M., Kanamori, H., 2003, The Potential for Earthquake Early Warning in Southern California, Science, Vol 300, 786-789 https://doi.org/10.1126/science.1080912
  5. Kanamori, H., 1977, The energy release in great earthquakes, J. Geophys. Res. Vol. 82, NO. 20, 2981-2987 https://doi.org/10.1029/JA082i001p00001
  6. Kanamori, H., 1978, Quantification of Earthquakes, Nature, 411-414
  7. Kanamoru, H., Given, J. W., 1983, Use of Long-period seismic waves for rapid evaluation of tsunami potential of large earthquakes, Tsunamis-Their Science and Engineering, edited by K. Iida and T. Iwasaki, 37-49
  8. Kanamori, H., 1993, W phase, Geophys. Res. Lett., 20, 1691- 1694 https://doi.org/10.1029/92GL03012
  9. Kikuchi M., Ishida M., 1993, Source retrieval for deep local earthquakes with broadband records, Bull. Seism. Soc. Am., Vol 93, No 6, 1855-1870
  10. Lay, T., Wallace, T. C., 1995, Modern Global Seismology, Academic Press, USA
  11. Lomax, A, Michelini, A., Piatanesi, A, 2006, An energy- duration procedure for rapid and accurate determination of erthquake magnitude and tsunamigenic potential, Poster AGU 2006, S21A-0131
  12. Okal, E. A. and J. Talandier, 1989,$ M_ m$: a variable-period mantle magnitude, J. Geophys. Res., 94, 4169-4193 https://doi.org/10.1029/JB094iB04p04169
  13. Tsuboi, S., Abe, K., Takano, K. and Yamanaka, Y., 1995, Rapid determination of Mw from broadband P waveforms, Bull. Seism. Soc. Am., Vol. 85, No. 2, 606-613
  14. Tsuboi, S., Whitmore, P. M., Sokolowski, T. J., 1999, Application of Mwp to Deep and Teleseismic Earthquake, Bull. Seism. Soc. Am., Vol 89, No 5, 1345-1351
  15. Tsuboi, S., 2000, Application of Mwp to tsunami earthquake, Geophys. Res. Lett., Vol 27, No. 19, 3105-3108 https://doi.org/10.1029/2000GL011735
  16. 宇津德治, 1987, Encyclopedia of earthquake, 朝倉書店, Japan
  17. http://www.fnet.bosai.go.jp/freesia/event/hypo/joho.html Japan Earthquake Mechanism Information
  18. http://www.globalcmt.org/CMTsearch.html Harvard CMT Catalo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