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도시 초등학교 비만 아동의 신체조성, 비만도, 식습관, 스트레스에 미치는 비만관리 프로그램 효과

Effects of Obesity Management Program on Body Composition, Obesity, Food Habit and Stress of Obese Children at a Urban Elementary School

  • 박광혜 (광주광역시 첨단초등학교) ;
  • 강혜영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전남간호과학연구소)
  • 발행 : 2007.12.01

초록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obesity management program for obese children at a urban elementary school.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fifty five 4th-6th graders (experimental = 29, control = 26) whose obesity indices were 120% or over fiunr two schools in a urban area. Obesity management program was conducted weekly 12 sessions with 60-day morning group exercises. Study instruments were Imbody 310 (BIOSPACE, 2005) and summated scales.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6 to June 22, 2006 and analysed by descriptive statistics, X2-test and ANCOVA using SPSS/PC+ 14.0 program. Results: 1. Obesity management program was effective to reduce body weight (t = -2.54, p = .014), fat mass percent (t = -2.37, p = .021) and to increase muscle mass (t = 2.36, p = .022). And all these were also significant statistically in ANCOVA 2. Obesity management program were also effective to decrease level of obesity (t = -3.28, p = .002), and that of stress (t = -2.19, p = .033) and to improve food habit (t = 2.52, p = .016). And all these were also significant statistically in ANCOVA. Conclusion: School-based obesity management program for obese children was effective to reduce weight, fat mass percent, obesity, and stress; increase muscle mass; and improve food habit. School-based obesity management program, therefore, can be recommended as a health promotion measure in elementary school as curricular basi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나연 (2001). 부산지역 중학교 비만학생과 정상체 중 학생의 자기효능감과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비교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42, 부산
  2. 김영희 (2003). 일 소도시 초등학교 비만아동의 비만 도 감소를 위한 간호중재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82, 광주
  3. 김이순, 김영혜 (2001). 한국 비만 청소년의 스트레스 와 대처방법에 관한 측정도구 개발연구. 보건교육, 건강증진학회지, 18(3), 117-131
  4. 대한 비만학회 (2001). 임상비만학. 348, 서울 ; 고려 의학
  5. 대한소아과학회(1998).한국 소아의 신장별표준체중 표[Online]. Available: http://www.kspendo.or.kr (대한소아과내분비학회)
  6. 박영신 (2004). 23년간 서울지역 초.중.고등학생의 비만추이. 대한소아과학회지, 47(3), 247-256
  7. 박정현 (2004). 초등학교 비만아동을 위한 놀이중심 비만관리 프로그램의 효과분석. 전북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14-44, 전주
  8. 박종표 (2001). 맨발 걷기운동이 비만 여중학생의 신 체구성과 혈중 지질에 미치는 영향. 창원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33, 창원
  9. 박지현, 오경옥 (2000). 정상아동과 비만아동의 일상 생활 스트레스와 대처, 사회적 지지의 비교연구. 충남대간호학술지, 3(1), 1-14
  10. 양경희, 김영희 (2004). 일 도시 초등학교 고학년 아 동들의 비만도와 관련된 특성.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1(2), 133-146
  11. 오대성, 안옥희, 정진혁, 윤신중 (1998). 유산소 운동 과 무산소 운동이 신체구성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37(3), 242-255
  12. 오영도, 서봉한, 이탁우 (2000). 웨이트트레이닝이 비 만 여고생의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울산과학대학 연구논문집 27(2), 507-526
  13. 윤미수 (2004). 12주간의 유산소성 운동이 비만 초등 학생의 신체조성과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15(5), 2707-2716
  14. 전미숙 (2003). 초등학교 비만아동을 위한 비만관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33, 전주
  15. 최주연 (2000). 행동수정 프로그램을 통한 비만아동 의 체중감소효과.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78, 서울
  16. 허윤종 (2003). 지속적인 줄넘기 운동이 비만 초등학 생들의 체지방율과 혈청지질 및 체력향상에 미치는 영향. 전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44, 전주
  17. Campbell M.K., Waters E., Omeara S.,& Summerbell C.(2000). Interventions of preventing obesity in childhood. A systemic review. Obes Rev, 2(3), 149-157 https://doi.org/10.1046/j.1467-789x.2001.00035.x
  18. Everett L., Karen S., David J. & William S.(2000). Obesity management in primary care: Assessment of readiness to change among 284 family practice patients. J Am Board Fam Pract , 13(3), 164-171 https://doi.org/10.3122/15572625-13-3-164
  19. Muller M.J., Mast M., Asbeck I., Langnas K.,& Grund A. (2000). Prevention of obesity- is it possible?. Obes Rev, 2, 15-18 https://doi.org/10.1046/j.1467-789x.2001.00012.x
  20. Ogden C.L., Troiano R.P., Briefel R.R., Kuczmarski R.J., Flegal K.M., Johnson C.L.. (1997). Prevalence of overweight among preschool children in the United States, 1971 through 1994. Pediatrics. 99(4), E1 https://doi.org/10.1542/peds.99.1.1
  21. Tremblay, M.S., & Willms, J.D.(2000). Secular trends in the body mass index of Canadian children. CMAJ. 163(11), 1429-1433 https://doi.org/10.1016/S1381-1169(00)0039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