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지사면에 있어서 퇴사량에 의한 사방댐의 시공적지 예측

Suitable Site Prediction of Erosion Control Dam by Sediment

  • 마호섭 (경상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농업생명과학연구원)) ;
  • 정원옥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 Ma, Ho-Seop (Division of Forest Science, Gyeongsang Nat'l Univ.(Insti. of Agri. Life Science)) ;
  • Jeong, Won-Ok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 투고 : 2007.03.12
  • 심사 : 2007.04.19
  • 발행 : 2007.06.30

초록

본 연구는 산지사면에 시공되어 있는 사방댐내의 퇴사량에 영향을 미치는 산림환경 및 하천형태학적 인자를 분석하고 수량화이론(I)을 이용하여 예방적인 측면에서 사방댐의 시공 적지를 선정하고 예측하였다. 각 인자의 category별 상대점수를 262개 사방댐의 각종 인자에 반응시켜 사방댐의 시공적지를 예측할 수 있는 판정표를 개발하였고 또한 판정표를 이용하여 시공적지를 I급지(Very suitable site), II급지(Suitable site), III급지(Poor suitable site)로 구분하였다. 따라서 각종 산지재해로부터 예방적인 차원의 사방사업인 사방댐을 건설하고자 할 때 객관적인 지표가 될 수 있는 판정표를 이용하여 시공에 따른 타당성과 시공적지를 예측함으로서 주관적 판단에 의한 불합리성과 시공 후 적지로 판정되지 못할 경우 발생하는 막대한 예산낭비를 막을 수 있고 사방댐에 의한 토사조절을 극대화함으로서 산지사면에서 발생하는 각종 재해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어 산림유역 관리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forest environmental and stream morphological factors by using the quantification theory (I) for prediction of the suitable dam site.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selection of suitable site for erosion control dam was estimated by normalized score of each category. And the prediction method of suitable site for erosion control dam divided into class I (Very suitable site), II (Suitable site), and III (Poor suitable site) for the convenience of use. In conclusion, if we select the suitable site for construction of erosion control dam for disaster prevention, we could save the loss of tremendous budget, avoid the poor suitable site due to subjective judgment, and it would promote the functions of erosion control dam.

키워드

참고문헌

  1. 姜渭平, 村井宏, 大村寞, 鎬燮. 1986. 數量化(II)에 의한 山 沙汰斜面의 危險度 判別. 韓國林學會誌. 75: 32-37
  2. 建設交通部. 1999. 河川 工事計劃과 砂防計劃과 設計施工. pp. 14
  3. 麻鎬燮. 1994. 山地斜面의 崩壊危險度 豫測모델의 開發 및 實用化方案. 韓國林學會誌. 83(2): 175-190
  4. 산림청. 1999. 산사태로 인한 수해 예방을 위한 사방댐 준설작업. 보도자료 1-5
  5. 楊根泰. 1991. 콘크리트砂防댐의 效果的인 施工方案. '91 實演砂防結果報告書 217-225
  6. 尹龍男. 1972. 貯水池內 堆砂量의 空問的分布 豫測에 關하여. 大韓土木學會 創立20年 論文集 177-186
  7. 尹豪重. 1989. 砂防댐의 施工構造에 關한 硏究-京㡬 및 忠化地域의 施工事例를 中心으로-. 서울大學校 碩士學位論文. pp. 39
  8. 尹熈彬. 1990. 콘크리트砂防댐 龜裂防止에 對한 效果的인 施工方案. 第21回 全國砂防實務敎育 및 세미나 73-90
  9. 趙喜勲. 1987. 레미콘에 의한 사방댐의 시공효과. 第18回 全國砂防實務敎育 및 세미나 185-225
  10. 정원옥. 2001. 임도 절토 비탈면의 안정과 식생활착에 미치는 환경인자의 영향.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4(2): 74-83
  11. 崔 敬. 1986. 韓國의 山沙汰 發生要因과 務知에 關한 硏究. 江原大學校 博士學位論文
  12.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4. 경기도 산사태 위험지 예측진단 연구용역. pp. 183
  13. 岩元賢. 1981. 治山ダムによる溪床の變動持性. 日林誌 63(5): 182-186
  14. 梶原規弘, 堟本次郞, 入田愼太郞. 1999. ヒノキ人工林における下層植生のタイプと土壤侵蝕危險度との關係. 日林誌 81(1): 42-50
  15. 水山高久, 石川芳治, 福澤誠. 1991. 流木の運動堆積機構と對策施工 に關する硏究. 土木硏究報告書 183 : 91-134
  16. 陶山正寭, 眞島征夫, 大谷義一. 1980. 治山ダムクラックの擧動におよぼす堤體溫度影 . 日本林學會大會 發表論文集 91: 451-452
  17. 陶山正寭. 1985. 治山ダムクラックの分類擧動に關する實用實驗. 林試硏報 333: 1-24
  18. 堟本良側. 1991. 森林は斜面の抑止にどれだけ役立ちているか. 森林科學 3: 45-51
  19. Carroll C., Merton L. and Burger P. 2000. Impact of vegetative cover and slope on runoff, erosion and water quality for field plots on a range of soil and spoil materials on central Queensland coal mines. Austrlian journal of soil research 38(2): 313-327 https://doi.org/10.1071/SR99052
  20. Chaplot V. and Le Bissonnais Y. 2000. Field measurements of interrill erosion under different slopes and plot sizes. Earth surface processes and landforms 25(2): 145-153 https://doi.org/10.1002/(SICI)1096-9837(200002)25:2<145::AID-ESP51>3.0.CO;2-3
  21. Wilson, D. 1985. Subjective techniques for identification and hazard assessment of unstable terrain. U.S.D.A. Forest Service Pacific Northwest Forest and Range Experiment Station General Technical Report PNW-180: Proceedings of a Workshop on Slope Stability: Problems and Solutions in Forest Management 36-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