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환경위생정화구역에 관한 인지도 조사 연구

A Survey on Recognition of School Environment Hygiene Purification Zones

  • 김은주 (협성대학교 보건관리학과)
  • Kim, Eun-Joo (Department of health management, Hyupsung University)
  • 발행 : 2007.12.01

초록

Purpose: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harmful business places around schools and to survey and analyze how much middle school students know about school environment hygiene purification zones, which have not been much effective. Methods: In addition, this study clarified the problem of harmful environment around schools by inquiring into students' value and perception on worsening harmful environment around schools and provided basic materials necessary for making policies on school education and the protection of educational environment. For these purposes,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1,000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gi-do on their perception on harmful environment around their schools, and drew conclusions as follows. Result: Students' knowledge about the School Health Act was low, and they generally thought that the law does not play its role substantially and efficiently in purifying and regulating harmful environment and regulations are superficial and temporary. To the question of whether harmful businesses observe laws for purifying environment around schools, most of the students replied negatively. In actuality, as most of harmful businesses running at school environment hygiene purification zones are stationeries with game rooms, comic book stores, PC rooms, etc., which are highly accessible to students, they become serious problems in school environment. Conclusion: As it is required to make continuous and systematic surveys and researches on the school environment hygiene purification zones, we need to manage school environment efficiently through cooperation among the government, education offices and individual school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대근(1984). 청소년의 사회 문화적 환경,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청년연구, 제7장, 42-45
  2. 교육인적자원부(2005). 교육통계연감, 1-32, 교육인적 자원부
  3. 김상욱(1996). 학교주변유해환경 정화를 위한 법과 행정기반, 한국학교보건학회지 9(2), 127-138
  4. 김준호(1987). 청소년주변유해환경과 비행 선도 방안, 37-52, 서울:청소년지도육성회
  5. 김은주(2007). 서울특별시 소재 초등학교의 학교환경 위생정화구역 위반사례 실태조사 연구,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지 8(1), 30-42
  6. 김흥주(1997). 학교환경위생정화구역에 관한 연구: 금지행위 및 시설에 대한 기준 개선을 중심으로, 청소년연구 8(2), 47-61
  7. 도종수(1990). 청소년 유해환경의 실태와 대책에 관 한 연구, 1-17, 서울:한국청소년연구원
  8. 문화체육부(1997). 청소년백서, 24-51, 문화체육부
  9. 문화체육부(2003). 청소년백서, 78-94, 문화체육부
  10. 박재윤(1992). 법규면에서 본 교육환경, 교육월보, 129(29-30)
  11. 박순희(1993). 학교주변유해업소의 실태와 대책을 위 한 기초연구: 서울시내의 중학교를 중심으로, 이화 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41, 서울
  12. 박주현(1991). 청소년유해환경에 따른 교육환경개선 방안,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47, 서울
  13. 박진곤(1998). 학교주변 유해환경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울산광역시 중학생을 중심으로,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2-57
  14. 박찬수(2006). 학교환경위생정화구역 제도에 관한 연 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41, 서울
  15. 박태은(2003). 학교주변 유해환경 개선:학교보건법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21
  16. 손애리(2000). 학교환경위생정화구역 제도에 관한 연 구, 보건복지부 건강증진사업단, 46-65
  17. 양명숙(1993). 대구지역 학교주변 환경에 대한 교사 의 인식과 유해업소 실시조사, 경북대학교. 석사학 위 논문, 29-38
  18. 이화여자대학교(2000). 학교환경위생정화구역 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보건복지부 건강증진사 업단, 7-82
  19. 이정란, 안숙희(2005). 학교주변의 유해환경 실태와 교육적 과제, 한국학교보건학회지, 18(1), 43-58
  20. 전건주(2006). 학교환경위생정화구역 제도에 관한 연 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1, 서울
  21. 한국형사정책연구원(1994). 학교주변 유해환경의 실 태 및 비행과의 관계,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정책보 고서, 37-49
  22. 한준상(1991). 청소년문제와 학교교육, 23-44, 서울: 연대출판부
  23. 홍제성(2005). '학교주변의 유해환경 실태와 교육적 과제', 교육월보, 117-123
  24. 통계청(2000). 사회통계조사 보고서, 통계청, 4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