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Background: Even though cervical cancer poses a significant global cancer burden, successful implementations for early detection offer an opportunity to prevent deaths and reduce the cancer burden. In Korea, cervical cancer is the most prevalent type of cancer among adult women, but it is one of the few cancers in which a consensus-approved screening test exists for early diagnosis, Pap test, that can be combined with highly efficacious treatment regimens for early-stage disease. Purpos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cognitive-behavioral factors associated with cervical cancer screening behavior among adult women, aged 40 to 59, and to develop tailored messages an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stage-matched educational program. Method: A total of 283 women who aged 40 years or older was recruited in Seoul, from September, 1st to November, 14th, 2003. The intervention group (N=162) and the control group (N=121) were selected from five sub-districts in Seocho-gu, Seoul. Building on the TTM, a quasi-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stages-matched intervention addressed at the five stages of cervical cancer screening behavior. Women in the intervention group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wo conditions, internet or postal services. Results: In our results, 88.9% of participants had received a Pap test at least once in their life-time, and 65.4% had got it in the past two years. With regard to cognitive-behavioral factors, the stages-matched educational program increased attitude and process of change for cervical cancer screening. The percentage changed was the largest in maintenance stage. With regard to delivery methods for tailored messages, the print materials were more effective at increasing screening adherence than the e-mail. Whereas the postal service group showed remarkable the change of behavior stage, the internet service group did not. Also it was not shown any difference of the satisfaction with stages-matched educational program between internet and postal service group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cervical cancer screening behavior could be changed by tailored messages which had developed with cognitive-behavioral factors. The stages-matched educational program was effective to promote the screening adherence for cervical cancer.
연구 배경: 자궁경부암은 조기검진을 통해 사망률과 의료비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는 질환으로,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자궁경부암이 여성암 중 높은 발생률을 보이고 있으나, Pap test를 통해 자궁경부암을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자궁경부암 조기검진 수검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행동적 요인을 고려하여 행동변화단계별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이를 40세 이상의 여성 주민에게 적용해봄으로써 행동변화단계별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이 연구는 서울시 서초구에 거주하는 40세$\sim$59세 사이의 여성 주민을 대상으로 2003년 9월 1일부터 11월 14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서초구의 5개 지역(동)에서 교육 중재군(162명)과 대조군(121명)을 선정하였다. 또한 행동변화단계별 교육 프로그램은 범이론적모형(TTM)을 활용하여 개발되었고, 교육 중재군의 교육내용 전달방법으로 인터넷 서비스와 우편 서비스가 활용되었다. 연구 결과: 조사대상자중 88.9%가 일생 중 1번 이상, 65.4%가 최근 2년 동안 1번 이상 자궁경부암 조기검진을 수검한 것으로 나타났다. 행동변화단계별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보면, 교육 후 인지 행동적 요인 중 태도와 변화의 과정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졌고, 행동변화단계 중 유지단계가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교육내용 전달 방법은 인쇄된 교육자료를 활용한 우편 서비스가 인터넷 서비스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행동변화단계별 전환 양상에서도 우편 서비스 중재군이 인터넷 서비스 중재 군보다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내었다. 한편 행동변화단계별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만족도 평가에서는 전달방법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 연구는 지역사회 여성 주민의 자궁경부암 조기검진에 관한 수검 행동을 증진시키기 위해 행동변화단계에 따른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였고, 그 결과, 행동변화단계별 교육 프로그램이 자궁경부암 조기검진의 수검 행동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