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k Factors for Falls in the Elderly Population in Korea: An Analysis of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들의 낙상사고 관련 요인 -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 Kim, Jong-Min (Department of Health & Management in Ewha Womans University) ;
  • Lee, Myung-Sun (Department of Health & Management in Ewha Womans University)
  • 김종민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보건관리학과) ;
  • 이명선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보건관리학과)
  • Published : 2007.10.30

Abstract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for falls among the Korean elderly population. Methods: We analyzed the data on 167 persons of 65 years of age or older who have experienced falls drawn from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e conducted a cross-tabulation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f the impact of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related behavior, mobility, and morbidity upon the frequencies of falls. Results: Among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p<0.001), marital status(p<0.1), and the type of medical insurance(<0.1)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the constraints on mobility, the severity of walking problems, (p<0.001) and depression(p<0.05) proved to be significant, As for variables related to health-related behavior, the level of routine physical activities (p<0.001) was found significant, Finally, rheumatism(p<0.1), osteoporosis(p<0.05), diabetes(p<0.1), urinary incontinence(p<0.01) were also significant.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f the incidence of falls revealed that urinary incontinence was the most important risk factor with an odds ratio of 2.7. Conclusion: Although a variety of factors affect the frequencies of falls in the elderly population, urinary incontinence proved to be the single most important risk factor. This finding implies that education for fall prevention is crucial for those with urinary incontinence.

Keywords

References

  1.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06년 건강보험통계지표. 2006
  2. 권인각, 김경희. 노인입원환자의 낙상예측요인. 정신간호학회지. 2007;16(1):59-68
  3. 김동준. 일부 농촌지역 노인 낙상 위험요인 조사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4. 김민정, 조한규, 선우성, 조홍준, 김영식. 양로원노인에 있어서의 낙상의 발생률과 관련요인. 노인병. 1999;3(4):20-24
  5. 김진수, 배성일, 박일수, 구미경, 홍성욱. 고령화사회의 상병별 노인의료비 추이 분석-진료비상위50상병을 중심으로. 국민건강보험공단. 2003
  6. 김찬. 골다공증 노인을 위한 낙상위험인자 분석과 예방프로그램 개발. 을지의과대학. 2003
  7. 노진희. 노인요양시설과 노인전문병원의 낙상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8. 박화숙. 초등학교 안전생활 실태 및 아동의 안전생활에 대한 지식과 태도. 경북간호과학지. 2004;4(1):67-78
  9. 방순화. 노인 낙상 예방프로그램 참여의사와의 관련요인 분석. 포천중문의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10. 백현욱. 고위헌 노인을 위한 낙상예방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일산백병원. 2003
  11. 보건복지부. 국민영양조사 제3기(2005) 사고 및 중독. 2006
  12. 선우덕. 고령화 사회에서의 노인의료체계 구축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
  13. 손병권. 일개도시지역 재가노인의 낙상실태 및 관련요인 분석. 한림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4. 송경애, 문정순, 강성실, 최정현. 지역사회재가노인들의 낙상공포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001;15(2):324-333
  15. 송경애, 문정순. 서울․경기지역 재가노인의 활동능력과 낙상공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03;14(4):1-10
  16. 송경애, 문정순, 이광수. 파킨슨병 환자의 낙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간호학회지. 2004;34(6):1081-1091
  17. 송미순, 하향숙. 노인간호학. 서울대학출판부. 1995
  18. 엄지연. 낙상으로 입원한 노인환자에 대한 실태조사 연구. 여성건강. 2006;7(2):47-68
  19. 염태형, 김소연, 소예경, 박수연, 이주헌, 조항석, 심재용, 이혜리. 노인낙상의 위험인자. 가정의학회지. 2001;22(2):221-229
  20. 유명숙. 낙상으로 입원한 노인의 관련요인에 대한조사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21. 이명선. 건강증진을 위한 생애주기별 손상문제 및 손상위험요인 분석. 건강증진사업지원단. 2006
  22. 이은주, 김춘길. 일 병원 노인환자의 낙상요인 및 골절 부위에 대한 조사. 노인간호학회지. 2003;5(2):182-192
  23. 이호택, 장기정, 장인환, 이영진. 노인군에서 낙상에 의한 고관절 골절환자의 특성. 가정의학회지. 1994;15:273-279
  24. 임남구, 심규범, 김용범, 박주리, 김은영, 나백주, 김대경, 이무식. 일부농촌지역 노인의 낙상실태 및 관련요인. 노인병. 2002;6(3):183-196
  25. 전미양. 낙상예방프로그램이 양로원 여성 노인의 보행, 균형 및 근력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박사학위논문. 1999
  26. 전미양, 최명애. 낙상사고에 의한 골절로 입원한 노인환자에 대한 조사연구. 대한간호학회지. 2001;31(3):443-453
  27. 정낙수, 최규환. 노인낙상의 원인과 예방.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1;8(3):1-14
  28. 정영미, 이성은, 정길수. 재가노인의 건강상태에 따른 낙상실태 및 낙상관련요인. 한국노년학. 2006;26(2):291-303
  29. 조규찬. 일부지역 노인의 낙상과 관련된 요인에 관한 조사. 충남대학교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30. 조준필, 문혜원. 낙상 노인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실태 조사(제1차년도). 보건복지부. 2000
  31. 조준필, 백경원, 송현종, 정윤석, 문혜원. 지역사회재가 노인의 낙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예방의학회지. 2001; 34(1):47-54
  32. 황옥남. 노인의 안전사고와 관련된 요인에 대한조사연구. 성인간호학회지. 1998;10(2);337-352
  33. 질병관리본부. 국민영양조사 제3기(2005) 심층분석. 2007
  34. 통계청. 고령자 사망원인 분석결과. 2005
  35. 통계청. 2005년 주요사망원인통계. 2006
  36. Christoffel T, Gallagher SS. Injury Prevention and Public Health: Practical Knowledge, Skils, and Strtegies. Maryland: An ASPEN Publication 1999.1
  37. Clemson L, et., al., Case-Control Study of Hazards in the Home and Risk of Falls and Hip Fractures. Age Aging, 1996;(25):97-101
  38. Donmez Levent, Gokkoca Zuhal. Accident profile of older people in Antalya City Center, Turkey.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atrics. 2003;37: 99-108 https://doi.org/10.1016/S0167-4943(03)00024-4
  39. Fuller GF. Falls Elderly. American Academy of Family Physician. 2000; 61(7): 2159-2168
  40. Heinrich HW.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4th ed) New York McGraw-hill. 1959
  41. Hokby A., Reimers L., Laflmme L., Hip fractures among older people: do marital status and type of residence matter, Public Health 2003; 117:196-201 https://doi.org/10.1016/S0033-3506(03)00033-7
  42. Jenken JK. et al. Patient Falls in the Acute Care Setting, Identifying Risk Factors, Nursing Research.1986;35: 215-219
  43. Roach SS., Introductory Gerontological Nursing, Philadelphia. Lippincott. 2001
  44. Sechested P, Severin-Nielsen T. Falls by Hospitalized Elderly Patients, Causes prevention, Geriatris, 1977; 4:101-108
  45. Tibbitts G.M., Patient Who Falls: How to predic and Prevent Injuries. Geriatics, 1996;51(9):24-31
  46. Tinetti ME., Speechyley M., Ginter SF. Risk factors for Falls Among Ederly Persons Living in the Community.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1988;319:1701-1707 https://doi.org/10.1056/NEJM198812293192604
  47. Tinetti ME., Speechyley M., Ginter SF. Prevention of Falls Among the Elderly.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1989;320:1055-1059 https://doi.org/10.1056/NEJM198904203201606
  48. Unworth J. Falls in Older People, The Role Assessment in Prevention and Care. British Journal of Community Nurse. 2003;8(6): 256-262 https://doi.org/10.12968/bjcn.2003.8.6.115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