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 Services and Information Services in Korea's LIS Field

한국 문헌정보학에서 참고봉사와 정보봉사의 의미

  • Published : 2007.12.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both arbitrariness and misrepresentation in the terminology of Korea's LIS field with an example of the term 'information services.' The focus is on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the Term's history and theoretical base between American LIS field and Korea's. Discussed in details are the popularity and usage of the Term in Korea's LIS field and libraries. The ultimate intention of this study is to motivate the Korea's LIS scholars to endeavor for theoretical accomplishments with regard to 'information services,' which can justify the change of term from 'reference services' to 'information services.'

이 글은 '정보봉사'라는 용어의 사용을 사례로 하여 우리 문헌정보학계의 전문용어 사용과 관련된 개념적 모호성과 허구성을 드러내 보이고 있다. 구체적으로 우리 학계가 참고봉사를 대체하는 용어로 사용하고 있는 '정보봉사'의 역사를 추적하면서, 우리의 정보봉사가 사용 당위성의 근거로 삼고 있는 미국의 'information services'와 실질적으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각자의 역사와 이론적 기반을 비교하면서 분석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현재 우리 강단에서는 정보봉사라는 용어가 어느 정도 사용되고 있으며 지적 토대가 되는 이론적 영역을 무엇이라고 판단하고 있는지, 더불어 우리 도서관에서는 정보봉사를 어떠한 의미로 이해하면서 관련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지 등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이 글의 궁극적인 목적은 '정보봉사'라는 용어의 사용이 단순한 외양의 모방이 아닌 속내의 변혁을 동반하는 실질적인 패러다임의 변환으로 이어지도록 우리 학계의 노력을 촉구하는데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제환, 디지털 시대의 도서관정보정책(서울 : 한울아카데미, 2003), pp.22-26
  2. 우리 학문의 명칭이 도서관학에서 문헌정보학으로 공식적으로 개칭된 것은 1992년이었다
  3. ALA의 Standards Manual에서 REFERENCE SERVICES 항목을 찾아보면 See INFORMATION SERVICES로 되어 있는데, 이처럼 information services라는 용어의 사용을 공식화 하고 있다. ALA Home page, [cited 2007. 10. 2]
  4. Samuel Green, 'Personal Relations between librarian and readers,' American Library Journal, Vol.1(1876), pp.74-81
  5. ALA, Committee on Library Terminology, A.L.A. Glossory of library terms, with a selection of terms in related fields(Chicago: ALA, 1943)
  6. James Wyer, Reference work: a text-book for librarians and students of library work(Chicago: ALA, 1927); E. Guerrier, 'The measurement of reference service,' Library Journal, No.61(1937), pp.529-531
  7. Samuel Rothstein, The Development of reference services through academic traditions, public practice, and special librarianship(Chicago: ACRL, 1955)
  8. ALA, RASD, Standards Committee, 'A Commitment to Information Services: Developmental Guidelines 1979,' RQ(1979). pp.275-278
  9. D. Lilley and R. Rice, A History of Information Science 1945-1985(San Diego, CA: Academic Press, 1989), pp.43-70
  10. Thomas Galvin, 'The Education of the New Reference Librarian,' Library Journal, No.100(1975), p.730
  11. C. Bunge, 'Reference Services,' In: ALA World Encyclopedia of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Chicaeo : ALA, 1980)
  12. Samuel Green, 'Personal Relations between librarian and readers,' Amencan Library Journal. Vol.1(1876), pp.76-79
  13. H. Young and T. Belanger, ed., The ALA Glossary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Chicago : ALA, 1983). p.118, 189
  14. 이 문서는 RUSA의 Access to Information Committee에 의해 개정되었다. ALA RUSA Home page [Cited 2007. 9. 29]
  15. 이 문서는 RUSA의 Access to Information Committee에 의해 개정되었다. ALA RUSA Home page [Cited 2007. 9. 29], p.1
  16. 가령, 이 문서에서 information services는 다음과 같이 설명되어 있다: 'Information services in libraries take a variety of forms including direct personal assistance, directories, signs, exchange of information culled from a reference source, reader's advisory service,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in anticipation of user needs or interests, and access to electronic information.' 주지하다시피, 이 내용은 reference services의 기능에 대한 설명과 다를 바 없다. 이처럼 기존하던 문서들의 reference란 단어를 information이란 단어로 바꾸어 놓았을 뿐 'information'의 의미와 차이에 대한 이론적 설명을 결여하고 있다敮琠捨慮来猠楮祳䥮瑥牧牡瑩湧⁴桥⁁牣桩瑥捴畲攠呲䥮瑲慧敮潭楣⁨整敲潧敮敩瑹映䑎䥮癥獴楧慴楯渠潦⁨畭慮⁩湦散瑩潮䥳潬慴楯渠慮搠䍨慲慣瑥物穡瑩潮䩯戠䥭灯牴慮捥⁡湤⁊潢⁓慴楳晡捴䭮潷汥摧攭扡獥搠浥瑨潤⁦潲⁳敧浥䱡灡牯獣潰楣⁰慲瑩慬数桲散瑯浹䱥晴⁶敮瑲楣畬慲⁲異瑵牥⁡獳潣楡䱩湫⁍慮慧敭敮琠偲潴潣潋䱍倩⁦潲䱯札扡獥搠牥捥楶敲⵲敬楡扬攠浵汴䱯眭摥湳楴礠汩灯灲潴敩渭扯畮搠慬䵒䤠晩湤楮杳映瑨潲慣潬畭扡爠獰䵡湡来浥湴映䕰楴桥汩慬⁏癡物慮䵡瑣桥搠捯浰慲楳潮映牡摩捡氠湥䵥慳畲楮朠周敲浡氠䍯湤畣瑩癩瑹䵥摩捩湡氠畳攠潦⁃潣桬潳灥牭畭⁴䵥瑨慮攭桹摲潧敮楸瑵牥猠慳⁦略䵩捲潫敲慴潭攠捯浰汩捡瑩潮猠潦䵩湩湧畬瑩灬攭汥癥氠獰慴楡氠慳䵯摥汩湧映桩杨⵳灥敤Ⱐ污牧攭獩䵯汥捵污爠慮搠捥汬畬慲⁣桡牡捴敲䵯牰桯汯杩捡氠捨慮来猠楮⁴桥⁤敮䵵汴楰汥⁆畮捴楯湳映䍡癥潬楮ⴱ䵹潴潮楡⁡湤敵牯浵獣汵慲⁢汯捫乡瑵牡汬礭潣捵牲楮朠坯汢慣桩愠楮乥畲潰牯瑥捴楶攠灨敮祬灲潰慮潩搠乩瑲慴攠牥摵捴楯渠批整慬汩挠楲乯湬楮敡爠捯汬畳楯渠慴瑡捫猠潮⁩乵浥物捡氠偲敤楣瑩潮猠潦⁗楮搠呵佢獥牢慴楯湳映据潩摡氠楮瑥牮慬佮⁡⁂整瑥爠䉵牮⵩渠偲潣敤畲攀佮⁴桥ⁱ略特⁲敦楮敭敮琠楮⁴桥
  17. Joan M. Reitz가 편찬한 online dictionary인 ODLIS(Online Dictionar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에서 reference services는 다음과 같이 정의되고 있다: 'All the functions performed by a trained librarian employed in the reference section of a library to meet the information needs of patrons(in person, by telephone, or electronically),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answering substantive questions, instructing users in the selection and use of appropriate tools and techniques for finding information, conducting searches on behalf of the patron, directing users to the location of library resources, assisting in the evaluation of information, referring patrons to resources outside the library when appropriate, keeping reference statistics,and participating in the development of the reference collection.' 비록 짧지만 이 내용에는 앞서 인용한 ALA에서 생산된 여러 문서와 자료에 등장하는 information service(s)에 대한 애매모호한 설명에 비해 보다 명확하고 체계적인 설명이 담겨있다
  18. W. Katz, Introduction to Reference Work(Vol.Ⅰ&Ⅱ)(Boston : McGraw Hill, 2002). Vol.Ⅰ, pp.3-38
  19. Richard Bopp and Linda Smith, Reference and Information Services: An Introduction(Englewood, CO : Libraries Unlimited, 2001). pp.3-25. & 265-278
  20. 이들 교재의 내용을 상세히 읽어보면 information은 reference에 비해 오히려 부차적이며 보조적인 기능의 용어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1. 여기서는 비록 20개 대학의 교육프로그램과 교과목명만을 요약해 놓았지만 ALA의 인증을 받은 교육프로그램전체를 살펴보아도 유사한 경향을 발견할 수 있다. ALA Home page, , [cited 2007. 9. 14]
  22. University of Washington, School of Information Home page, , [cited 2007. 9. 12]
  23. University of Texas(Austin), School of Information Home page, , [cited 2007. 9. 12]
  24. Rutgers University, SCILS Home page, , [cited 2007. 9. 12]
  25. 1970년대 초반 '정보학'에 관심을 가진 일단의 도서관학자들이 '정보관리연구회'를 만들어 정보학의 이론과 기법을 우리 도서관학계에 소개하는 글을 발표하면서부터 우리 학문과 도서관(특히, 정보센터라는 명칭의 전문도서관) 현장에서 '정보'라는 단어의 사용이 늘기 시작하였다. '정보봉사'의 경우도 당시의 이러한 경향을 보여주는데,초기에는 기존하던 참고봉사를 대체하는 개념으로서 가 아니라 정보학에서 강조하던 current awareness service나 SDI 같은 정보제공 기능을 지칭하는 의미로 사용하였다. 가령, 윤영이 1973년 제1회 정보관리연구회 모임에서 발표한 '대학도서관에 있어서 정보봉사체계'라는 논문은 당시의 그러한 경향을 잘 보여주고 있다
  26. '참고조사', '참고업무' 또는 '참고조사업무'와 같은 용어들이 관련 교과목이나 관련 업무를 지칭하기 위해 병용되기도 하였으나 대표적 용어는 '참고봉사'였다. 다음의 논문이나 저서는 당시의 이러한 경향을 잘 보여 준다: 이춘희, '현대도서관과 참고업무: 그 기능을 중심으로,' 도서관, 제21권(1966), pp.28-31; 이한용, '한국에 있어서의 참고봉사에 관한 고찰,' 도서관학회지, 제3권(1968), pp.15-24; 손정표,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에 있어서 참고봉사의 개선점,' 국회도서관보 제6권, 제5호(1969), pp.5-12; 김세익, '대학도서관의 참고봉사에 대하여,'도협월보, 제11호(1970), pp.205-207; 노옥순, '참고봉사의 영역과 내용상의 변화요인에 관한 고찰,' 한국문화연구원논총, 제28권(1976), pp.83-100; 박준식, 참고봉사론(서울 : 한국도서관협회,1979); 박준식, 참고조사론(대구 : 계명대학교출판부, 1983); 노옥순, 대학도서관 참고사서의 자격요건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4)Ā颼⨀ꠈ?⨀É⨀琅?⨀฀考憺Ȁ憺Ȁ̀￿￿￿￿頯?⨀Āऀ฀錃憺Ȁ憺Ȁ̀￿￿Ā琅?⨀ᓀ?倀₪舀肴﾿缀舀磈⨀￿￿￿㼂฀黙㠀賀?Ȁ䙰蔃Ȁ䙰蔃Ȁ฀考憺Ȁ憺Ȁ̀￿￿磈⨀聰㘂悻﾿缀Ā炽?⨀蠍⨀怮⨀Ȁ栮⨀䠮⨀甀Ā ꠯⨀ᠰ⨀ᔁĀ⨀뀯?⨀ᤀ뀯?⨀᠀ĀĀ琅?⨀฀椂考熺Ȁ熺Ȁ̀￿￿琅?⨀憺Ȁ젰?⨀࠱?⨀⣍⨀᠈?⨀飏⨀꣎⨀ᘀ 
  27. 한상완, 대학도서관 정보서비스론(서울 : 구미무역출판부, 1986).; 한상완, 대학도서관 참고/정보업무에 있어서 주제전문가의 기능에 관한 연구(서울 : 연세대학교 도서관학과, 1976); 한상완, '주제열람실제도와 참고/정보활동론,' 국회도서관보, 제16권, 제6호(1979), pp.5-12
  28. 구체적으로 한상완이 인용하고 있는 문서에서 H. Young은 reference service를 information service로 대체할것을 주장하고 있지만, 한상완은 마치 저자가 reference services를 information services로 대체하자고 주장하고 있는 것처럼 잘못 해석하고 있다. 이들 단수와 복수의 개념적 차이에 대해서는 이 글의 4장(우리 정보봉사의 외양과 속내)을 참조하라
  29. 최성진, 조인숙. 정보봉사론(서울 : 아세아문화사, 1992)
  30. 최성진, 조인숙. 정보봉사론(서울 : 아세아문화사, 1992), p.iii
  31. 가령, 최성진은 자료대출, 자료복사, 질의응답, 최근동향 속보, 선정 정보제공, 소급탐색, 온라인 정보검색,종합목록, 외국어 문헌의 번역, 현장기술정보봉사, 색인지.초록지.비평지의 제작 등을 정보봉사의 종류로 열거하고 있는데, 주지하다시피 이러한 기능의 대부분은 당시에 이미 대학과 전문도서관 등에서 참고봉사의 주요 기능으로 실천되고 있었던 것들이다
  32. Mary Jo Pugh, Providing Reference Services for Archives and manuscripts(Chicago : The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1992)
  33. 노옥순, 참고봉사와 참고정보원(서울 : 이화여대출판부, 1994)
  34. 그녀는 책의 서문에서 '참고.정보봉사'라는 용어를 참고봉사와 혼용함으로써 본인 또한 시대적 변화를 의식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이는 그녀가 서문에서 밝힌 바대로 그녀의 책이 미국에서 참고봉사의 교과서로 독보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던 William Katz의 Introduction to Reference Work(1992)와 Richard Bopp & Linda Smith의 Reference and Information Services: An Introduction(1991)을 '크게' 참고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특히 Bopp & Smith가 그의 책에서 사용한 'reference and information services'라는 용어를 우리말로 충실하게 옮기는 과정에서 '참고.정보봉사'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으로 추측된다
  35. 한상완, 정보조사제공론(서울 : 구미무역출판부, 1995)
  36. 이렇듯 납득할 수 없는 일이 우리의 학계에서는 일어났다. 명색이 '문헌정보'를 다루는 학문에서 학문의 주요 영역을 지칭하는 전문 용어의 사용과 관련된 자의적 판단과 독선이 도를 넘어버렸다. 그러나 추종자들이 있어 이때부터 '정보조사제공'은 참고봉사를 대체하는 교과목으로 우리 학계와 강단의 한구석에 둥지를 틀었다
  37. 사공철, 김태승, 김태수, 윤영, 이두영, 이용남, 정영미, 최석두, 조인숙, 한상완 등이 이 용어사전의 편찬 작업에 참가하였다
  38. "정보봉사론"의 공저자인 조인숙이 "문헌정보학 용어사전"을 편찬한 13인 중의 1인임에도 불구하고 '정보봉사'가 이 사전에 수록되지 않았다는 점은 의문으로 남는다
  39. 사공철 등 편. 문헌정보학 용어사전. pp.325-326
  40. 주지하다시피 당시 reference services를 주제로 출판된 미국의 주요 교재(가령, 앞서 소개한 Katz나 Bopp & Smith의 저서)나 우리나라의 교재(앞서 소개한 노옥순의 저서)의 내용을 참조하면 정보제공(information providing 혹은 imformation) 기능은 guidance, instruction등의 기능과 함께 reference services의 핵심 기능으로 소개되어있다
  41. 사공철 등 편."문헌정보학 용어사전". p.358
  42. 사공철 등 편. "문헌정보학 용어사전". pp.132-133
  43. 여담이지만 후일 도서관의 명칭 변경 문제가 도서관 안팎의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던 시절에도 명칭 변경의 대상으로 '학술정보관(혹은 학술정보원)'은 한 때 유력한 후보였지만 '문헌정보관'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자는 제언은 어떤 문헌정보학자의 입에서도 나오지 않았던 것으로 기억된다. 그만큼, 문헌정보의 문패를 가진 집에서 살고있으면서도 문헌정보에 대한 이질감은 우리 모두에게 남아있다
  44. 저자가 서문에서 밝히고 있듯이, 이 교재는 저자가 1983년에 출판하고 1989년에 개정 출판한 "참고조사론" 의 내용을 모태로 하고 있다
  45. 박준식, 정보서비스론(대구 : 계명대학교 출판부, 1998), pp.15-16
  46. 2007년에 발행된 이 책의 개정판에는 '정보서비스 현장과 이론의 최신 경향을 반영하고자 하는' 저자의 의도와 노력이 반영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참고면담, 인터넷 정보서비스, 원문 서비스' 부분이 보강되고, '정보서비스의 조직과 관리, 정보서비스의 평가, 참고사서, 참고정보원 등의 영역이 추가'되어 있다. 그러나 여전히 '정보서비스(information services)'라는 용어가 갖는 학문과 현장의 패러다임적 변화에 대한 수용과 반영에서 아쉬움을 주고 있다
  47. 이는 또한 우리 학문의 식민성이 얼마나 뿌리 깊은 지를 보여주는 안타까운 흔적이다. 나아가 이는 학문의 정체성과 관련하여 전문 용어의 사용에 있어 남다른 세심함이 요구되는 문헌정보학 분야에서 용어의 왜곡과 오류가 얼마나 심각한지를 보여주는 씁쓸한 사례 중의 하나이다
  48. 후에 상술하겠지만 일부는 '정보조사제공'을 고집하고 있다
  49. 사례로 인용한 20개 학교 중에서 여전히 'reference' 만을 사용하고 있는 곳이 4개교,'reference and information'을 병행하여 사용하고 있는 곳이 6개교 등, 모두 10개교의 교과목에 'reference' 자가 포함되어 있다. 인용 대상이 20개교에 제한되어 있어 이 비율이 미국 LIS 교육 분야의 전체를 대변한다고는 할 수 없으나 여전히 적지 않은 LIS 교육프로그램에서 'reference'를 관련 분야를 대표하는 주요한 개념이자 용어로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50. 32개 학과 중에서 여러 이유로 인해 수집이 어려웠던 9개 학과를 제외하고 23개 학과에서 강의계획서를 수집하여,<교과목표>와 <주별 강의내용> 그리고 <교재 및 참고문헌> 등의 내용을 강좌의 명칭과 비교해 가면서 하나하나씩 검토해 보았다
  51. 강의경력과 지역을 고려하여 수도권과 지방에서 각각 2명씩 모두 4명을 만나 의견을 나누었다
  52. 이제환 외, '문헌정보학 교육에 대한 현장 사서의 평가와 요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9권, 제4호(2005.12), pp.45-69
  53. 그래도 여기에 인용한 사례들은 사정이 나은 편이다. 얼굴이 불콰해질 정도로 부실한 내용의 '강의개요'들도 적지않았다
  54. 한상완, 이숙희, 정보조사제공론(서울 : 연세대학교출판부, 2007)
  55. 이들 국내 교재는 앞서 언급한 Katz, Bopp & Smith의 저서들과 최근에 출판된 K. Ann and U. Hiremath,의 Reference and Information Services in the 21st Century - An Intmduction(New York : Neal-Schuman, 2006), 그리고 ALA 등에서 발간한 문서와 관련 논문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56. Association of College and Research Libraries, Evaluating Bibliographic Instruction: A Handbook(Chicago : ALA, 1983); A. Clark and K. Jones eds. Teaching Librarians to Teach: On-the-Job Traiaing for Bibliographic Instruction Librarians(Metuchen, NJ : The Scarecrow Press, 1986); J. Dilevko, and C. Magowan. Readers' Advisory Service in North American Public Libraries, 1870-2005: A History and Critical Analysis(Jeffeson, NC : McFarland & Company, Inc., 2007); B. Katz and R. Fraley eds.,Library Instruction and Reference Services(New York : The Haworth Press, 1984); C. Kirkendall ed., BMographic Instruction and the Learning Process: Theory, Style, and Motivation(Ann Arbor, MI: Pierian Press, 1984); L. Martin ed., Library Instruction Revisited: Bibliographic Instruction Comes of Age(New York : The Haworth Press, 1995); J. Siess, The Visible Librarian: Asserting Your Value with Marketing and Advocacy(Chicago : ALA, 2003)
  57. 수도권 지역 D공공도서관 사서 L과의 면담 자료에서
  58. 전남지역 J대학도서관 사서 K와의 면담 자료에서
  59.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정보봉사', '정보지원', '정보운영', '정보관리'와 같이 '정보'자를 명칭에 사용하는 부서가 늘고 있다. 2007년 현재, 서울대, 이화여대, 서강대, 성균관대, 한양대, 부산대, 전남대, 전북대 등의 도서관에서는 부서나 조직의 명칭에 '정보'를 사용하고 있다. 이에 더해 몇 년 전부터 사서공무원을 채용하는 시험에 '정보봉사론' 과목이 포합되었다
  60. 수도권 지역 S대학도서관 P와의 면담 자료에서
  61. 그들 중에는 물론 문헌정보학 교육을 통해 '이용자교육'이 참고봉사 업무의 주요 기능 중의 하나임을 알고 있는 사서들도 있다
  62. 부산지역 D대학도서관 Y사서와의 면담 자료에서
  63. 이와 관련하여 부산대학교 김정근 교수와 대학원생들이 결성한 <책읽기를 통한 정신치료 연구실>의 기여는 아무리 강조하여도 지나침이 없다. 그들은 학기논고 혹은 학위논문의 형태로 관련 자료를 생산하여 여러 권의 단행본으로 엮어냈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공공도서관에서 근무하는 <연구실> 회원들이 직접 '독서치료' 교실을 운영면서 겪은 경험담들은 '독서치료 강좌의 운영'에 관심을 가진 공공도서관 사서들에게 좋은 지침서로 기능하고 있다
  64. 대전지역 H공공도서관 R사서와의 면담 자료에서
  65. 대전지역 H공공도서관 R사서와의 면담 자료에서
  66. 어디 이뿐이랴? 학교도서관에서도 전문도서관에서도 아쉬움의 흔적은 진하게 묻어난다. 학생들에 대한 독서지도나 정보활용교육은 처음부터 사서교사의 몫이 아니었고, 고객들을 위한 컨설팅이나 리비유의 작성은 대부분의 전문도서관 사서들에겐 너무도 버거운 짐으로 남아있다
  67. 그런 가운데서도 비록 용어는 '정보서비스'로 바뀌어 있지만 reference services의 역사와 기능 그리고 '참고사서'의 철학과 의무에 대한 소개가 이 분야의 교재로 가장 널리 활용되고 있는 박준식의 "정보서비스론"에 수록되어 있다는 사실은 이 분야의 미래에 대한 전망에 있어 커다란 위안이자 희망으로 다가온다
  68. 이제환, '전환기 '한국' 문헌정보학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 도서관학논집, 제28집(1998 여름호), pp.313-353
  69. 적어도 medical services, legal services, worship services 등과 동등한 수준에서 이해되고 실천되어야 하는 전문가 집단의 고유 업무인 것이다
  70. 그렇게 되어서 제대로 된 '정보봉사' 교육을 받은 우리의 후학들이 도서관 현장의 주체가 되어 우리의 도서관을 진정으로 '경영'하는 그 날이 오면, 도서관 사람들의 진정한 '서비스 마인드'를 느끼게 하는 안내문을 우리는 마을어귀나 캠퍼스 곳곳에서 볼 수 있게 될 것이다. '골치가 아프십니까? 가슴이 허전하십니까? 도서관으로 오십시오. 도서관에는 여러분의 삶을 풍요롭게 하는 두뇌와 마음의 양식이 그득합니다.' 그 날이 어서 왔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