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the Activities of Public Libraries for Closing the Information Divide in Korea

국내 공공도서관의 정보격차해소 활동에 대한 분석

  • 조용완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Published : 2007.12.30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ctivities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about information divide issues. To do this, the web sites of 58 public libraries in Korea were investigated. On the basis of analysis,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activities of public libraries did not assist information have-nots, for example, people with disabilities, older adults, immigrants, rural residents and low income brackets and were insufficient to related guidelines of library services.

정보격차 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장애인, 노인, 이주민, 농어촌 거주자, 도시 저소득층 등 정보취약계층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해 국내 공공도서관들이 어떠한 활동을 벌이고 있는지 그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국내 58개 공공도서관을 표본으로 하여 홈페이지 게시물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공공도서관의 정보격차해소 활동은 양적으로나 질적으로나 상당히 빈약하였으며 국외 정보취약 계층 서비스 관련 지침 등에 비해 크게 미치지 못하였다. 향후 공공도서관들이 정보취약계층의 정보복지 실현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사서들의 인식 개선과 특별한 유형의 자료와 정보접근기기의 효율적 구입 방안 등에 있어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영숙, '국립장애인도서관지원센터 설립 및 운영.' 도서관문화, 제48권 제4호(2007. 4), p.32
  2. 표본 선정과정에서 분관, 어린이 도서관, 기적의 도서관, 학생문화회관 등과 같이 이용대상이 제한적인 공공도서관이나 홈페이지가 구축되어 있지 않은 일부 공공도서관이 표본으로 선정된 경우에는 도서관 이름 가나다 순서에서 다음 순서에 해당하는 도서관을 선정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3. 한국도서관협회, 2006 한국도서관연감(서울 : 한국도서관협회, 2006)
  4. Phillips J. Tichenor, et al., 'Mass Media Flow and Differential Growth in Knowledge,' Public Opinion Quaterly, Vol.30(1970), pp.159-170
  5. 강흥렬 외, 정보격차에 대한 사회적 함의(서울 :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2), p.35
  6. NTIA, Falling thmugh the net: Defining the digital divide(NTIA, 1999), p.xiii ; OECD, Understanding the dtgital dwde(OECD, 2001), p.5
  7. 한국정보문화연구원, 2006 정보격차 지수 및 실태조사(서울 : 한국정보문화연구원, 2006). pp.41-45
  8. 강휘원, '정보빈곤과 민주공동체, 보편적 서비스,' 한국행정학보, 제33권, 제2호(1999), pp.57-73; 김문조.김종길, '정보격차의 이론적.정책적 재고.' 한국사회학, 제36집 제4호(2002), pp.123-15; 강흥렬 외, 정보격차에 대한 사회적 함의(서울 : 정보통신정책연구원,2002); 박혜광,'정보격차의 새로운 경향,' 경제와 사회, 제59권(2003), pp.78-102
  9. 이연옥, 한국 공공도서관 운동사(서울 : 한국도서관협회, 2002), pp.247-251
  10. 이 법률은 국내 거주 외국인들에게 도서관과 같은 기관에서 정보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명시하고 있는 긍정적인 측면과 함께 공공도서관의 이념과 충돌하는 부정적인 측면도 함께 내포하고 있다. IFLA 공공도서관 선언이나 다문화 도서관 서비스 관련 지침 등에는 불법 체류자라고 해서 도서관 서비스를 막아서는 안된다는 항목들과 합법 체류자에 정보제공을 명시한 이 법률은 상충된다. 또한 도서관을 통해 새로운 사회 정착에 필요한 정보제공, 모국 언어와 문화 보존, 문화간의 이해와 공존을 규정한 국내외 도서관계 지침 등의 항목들과 달리 이 법률은 결혼이민자와 그 자녀에게 교육과 정보제공을 통해 한국사회에 빨리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것만 규정하는 등 이주민의 일방적인 동화만을 언급하고 있어 서로 상충될 수 있다
  11. 주요 정보취약계층에는 각각 독자적으로 특징을 구분될 수 있는 하위 유형들이 존재하는데, 여러 기준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세분될 수 있다. 장애인 범주의 하위에는 시각장애인, 청각장애인, 지체장애인, 난독증을 포함한 학습장애인, 기타 장애인 등으로 세분할 수 있고, 이주민 범주는 이주노동자, 결혼이주여성, 북한이탈주민, 기타국내체류 외국인 등으로 세분할 수 있다. 각각의 하위유형들치 특징에 대해 잘 이해해야만 그들에게 적합한 도서관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12. IFLA/UNESCO Public Library Manifesto(http://www.ifla.org/VII/s8/unesco/eng.htm)
  13. The Public Library Service: The IFLA/UNESCO Guidelines for Development. (http://www.if1a.org/vII/ s8/proj/publ97.pdf)
  14. <2006 한국도서관연감>
  15. 기타 항목에서 금빛평생교육은 금빛평생교육봉사단을 의미한다. 이 단체는 교직, 공직, 민간전문직에서 퇴직한 장노년층을 대상으로 노후에 사회봉사와 자아실현을 위한 봉사단체로, 회원들은 공공도서관에서 한글교실, 노인컴퓨터 교육 등의 평생교육 프로그램에서 강사로 활동하는 경우가 많다. 이를 일반 노인층의 정보격차해소 활동으로 보기엔 적합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기타 항목에 포함하는 것이 낫다고 판단된다
  16. 6가지 정도의 정보격차해소 사업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전남의 한 공공도서관은 장애인을 위해 시각장애인 전용 홈페이지를 구축하고 도서관 내 장애인 편의시설 외에 '장애인 열람실'을 통해 점자도서와 오디오 도서, 확대독서기, 오디오 기기 등을 비치하고 있다. 지역의 결혼이주여성들을 위해 한글, 향토사, 컴퓨터 교육을 내용으로 하는 문화교실을 운영하고 있으며, 병원과 장애인 시설, 시 외곽지역 마을을 정기적으로 순회하는 이동도서관과 순회문고를 운영하는 등 지역 내의 정보취약계층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해 부단히 노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http: //www.najulib.or.kr)
  17. DAISY는 Digital Accessible Information System의 약자로, 국제표준방식의 디지털 녹음도서이다. 여기에는 오디오, 이미지, 동영상, 원문 text 파일, 점역파일 등이 내장되어 있고, 브라우징과 네비게이션, 책갈피 기능이 포함되어 있어 기존의 카셋트 테이프 등의 아날로그 녹음도서에 비해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DAISY 플레이어장비가 비교적 고가여서 아직 크게 활성화 되고 있지는 못한 실정이다
  18. 국립중앙도서관, 전국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현황조사(서울 : 국립중앙도서관, 2007). pp.132-133
  19. 국립중앙도서관, 전국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현황조사(서울 : 국립중앙도서관, 2007). pp.135-136
  20. 장애인의 정보활용능력과 정보의식 고취와 관련된 대표적 사례는 대구의 한 도서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독서회모임을 들 수 있다. 이 독서회는 시각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참여하는 모임으로 매월 1회 도서관에서 모여 지정된 도서를 읽고 토론하는 것을 주 활동으로 하고 있으며, 그 외에도 회원들의 다양한 관심사에 이야기하고 그 과정에서 활발한 정보교환을 하고 있다(http: //www.hyomok-lib.daegu.kr)
  21. 2007년 2학기에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에서는 3학년 전공선택과목으로 <정보복지론>이라는 과목이 처음으로 개설되어 정보취약계층의 정보빈곤 실태와 서비스 방안에 대한 수업이 진행되었다
  22. 한편, 장애인과 노인 등의 도서관 및 정보 이용에 필요한 보조공학기기는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산하 보조공학센터 홈페이지(http: //www.atc.or.kr)를 통해 국내외에서 시판되는 다양한 제품들을 접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