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lti-metric Index Assessments of Fish Model and Comparative Analysis of Community

남한강 상류 수계에서 어류의 다변수 모델 지수 산정 및 군집지수와의 비교평가

  • Lee, Jae-Hoon (School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Hong, Young-Pyo (Department of Natural History, National Science Museum) ;
  • An, Kwang-Guk (School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이재훈 (충남대학교 생명과학과) ;
  • 홍영표 (국립중앙과학관 자연사연구팀) ;
  • 안광국 (충남대학교 생명과학과)
  • Published : 2007.06.30

Abstract

This study assessed ecological health using a multi-metric fish model from 15 sites in the headwater watershed of southern Han River during June${\sim}$August 1999 and then compared the health with conventional community diversity index to figure out differences between health and diversity index. For the analysis, we adopted 10 metric IBI model for regional applications. During this survey, total number of species sampled were 24 (6 families) and varied depending on magnitude of ecological disturbance and stream order. In the mountainous streams, mean proportion of sensitive and insectivore species was composed of 91% and 56%, respectively, indicating a potential healthy conditions. However, tolerant species with 66% and omnivore species with 76% were sampled from the 2nd order stream, which was shown deterioration in the physical habitat quality. In the overall watershed, mean IBI value was 38, judging as "fair" condition by the health criteria. Values of Individual IBI were closely associated with stream order and this pattern was similar to other mountainous streams showing low chemical pollutions and disturbance. Our comparison between IBI and diversity index over the stream order showed a distinct difference; Shannon-Weaver diversity index overestimated the actual community conditions and the variation range in the 2nd order stream was greater in the diversity index. Overall data suggest that the multi-metric approach may to a useful tool for stream ecosystem management and the conventional diversity index may not effective unless the stream order is considered for the stream evaluation.

본 연구는 1999년 6월과 8월에 남한강 상류수계의 15개 조사지점으로부터 어류의 다변수 모델을 이용하여 생태건강성을 평가하였고, 전통적인 군집분석에 의한 지수와 서로 비교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우리나라의 생태적 특성에 맞게 보완된 10-메트릭 건강성 평가 모델을 적용하였다. 어류조사에 따르면, 총 6과 24종이 출현하였고, 생태적인 교란정도와 하천차수에 따라 일부 변이를 보였다. 생태길드분석에 따르면, 민감종과 충식종은 각각 91%, 56%로서 생태적으로 수환경이 건강한 상태로 나타났다. 그러나 S1과 S2의 2차 하천에서는 내성종이 66%, 잡식종이 76%가 채집되어 물리적 서식지의 질적 저하가 영향을 나타낸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수계에서 생태건강도의 평균 모델값은 38로서 양호상태를 보였고, 개별적 IBI 값의 패턴은 다른 산간계류형 하천들과 유사하여 비교적 이화학적 오염에 의한 영향이 적은 것으로 사료되었다. 하천차수에 따른 IBI 값과 종다양성 지수와의 비교에 따르면, 두 변수 값은 분명한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Shannon-Weaver의 종다양성 지수는 실제 군집상태를 잘 반영하지 못했으며, 특히 2차 하천에서의 종다양성 지수 변이의 폭은 IBI 값으로 산정한 생태 건강도에 비해 훨씬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다변수 메트릭에 의한 연구 접근방식은 수생태계 관리에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으나, 기존의 종 다양도 지수와 같은 군집 분석법은 하천차수를 고려하지 않을 경우 비효율적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영수, 안광국. 2006. 금호강 수계에서 생물학적 하천 건강도 및 이화학적 특성, 육수지 39(2): 145-156
  2. 김재원, 이평기. 1975. 남한강 상류의 어류상과 수생곤충상, 육수지 8(3-4): 39-49
  3. 김익수, 강언종. 1993. 원색 한국어류도감 아카데미서적, 서울
  4. 남명모. 1996. 한국산 담수어류의 현황, 한국육수학회심포지움 p.31-45
  5. 송호복, 손영목. 2002. 남한강 상류에 서식하는 연준모치, Phoxinus phoxinus의 성숙 및 생식생태, 한국어류학회지 14(4): 262-268
  6. 안광국, 염동혁, 이성규. 2001a. 생물보전지수(Index of Biological Integrity)의 신속한 생물평가 기법을 이용한 갑천수계의 평가, 환경생물 19(4): 261-269
  7. 안광국, 이재연, 배대열, 김자현, 황순진, 원두희,이재관, 김창수. 2006. 우리나라 주요하천 수계에서 다변수모델을 이용한 생태학적 수환경 평가, 한국물환경학회지 22(5): 796-804
  8. 안광국, 이재연, 장하나. 2005. 유등천에서의 생태학적 건강성 평가 및 수질양상, 육수지 38(3): 341-351
  9. 안광국, 정승현, 최신석. 2001b. 생물보전지수(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및 서식지 평가지수(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를 이용한 평창강의 수환경 평가, 육수지 34(3): 153-165
  10. 원두희, 전영철, 권순직, 황순진, 안광국, 이재관. 2006.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한 한국오수생물지수의 개발과 생물학적 하천환경평가 적용, 한국물환경학회지 22(5): 768-783
  11. 전상린. 1980. 한국산 담수어의 분포에 관하여. 중앙대박사학위논문,서울
  12. 최재석, 변화근, 석형근. 2000. 원주천의 어류군집동태, 육수지 33(3): 274-281
  13. 최재석, 장영수, 이광열, 권오길. 2004. 꾸구리(Gobiobotia macrocephala)의 식성, 한국어류학회지 16(2): 165-172
  14. 허인량, 박상균, 최규열, 정의호. 1995. 송천 상류수계의 수질 및 오염부하량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수질보전학회지 11(3): 175-181
  15. 홍사옥, 라규환. 1978. 남한강의 수질, 육수지 11(1): 1-5
  16. 황순진, 김난영, 원두희, 안광국, 이재관, 김창수. 2006. 돌말 (Epilithic Diatom) 지수를 이용한 국내 주요 하천(금강, 영산강, 섬진강)의 생물학적 수질평가, 한국물환경학회지 22(5): 784-794
  17. Barbour, M.T., J. Gerritsen, B.D. Snyder and J.B. Stribling. 1999. Rapid bioassessment protocols for use in streams and wadeable rivers: periphyton,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fish, 2nd Ed, EPA 841-B-99-002. US EPA Office of Water, Washington, D.C., USA
  18. Huguency, B., S. Camara, B. Samoura and M. Magassouba. 1996. Applying an index of biotic integrity based on com unities in a west African river. Hydrobiologia 331: 71-78 https://doi.org/10.1007/BF00025409
  19. Karr, J.R. 1981. Assessment of biotic integrity using fish communities. Fisheries 6: 21-27 https://doi.org/10.1577/1548-8446(1981)006<0021:AOBIUF>2.0.CO;2
  20. Margalef, 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 Syst. 3: 36-71
  21. Oberdorff, T. and R.M. Hughes. 1992. Modification of an index of biotic integrity based on fish assemblages to characterize rivers of the Seine Basin, France. Hydrobiologia 228: 117-130 https://doi.org/10.1007/BF00006200
  22. Ohio EPA. 1989. Biological criteria for the protection of aquatic life. Vol.III, Standardized biological field sampling and laboratory method for assessing fish and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23. Pielou, E.C. 1975. Ecological diversity. Wiley. New York. 165pp
  24. Shannon, C.E. and W. Weaver.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25. Simpson, E.H. 1949. Measurement of diversity. Nature 163: 688pp https://doi.org/10.1038/163688a0
  26. Strahler, A.N. 1957. Quantitative analysis of watershed geomorphology. American Geophysical Union Transactions 38: 913-920 https://doi.org/10.1029/TR038i006p00913
  27. US EPA. 1991. Technical support document for water quality-based toxic control. EPA 505-2-90-001. US EPA, Office of Water, Washington D.C., USA
  28. US EPA. 1993. Fish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evaluating the biological integrity of surface waters. EPA 600-R-92-111.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s Laboratory-Cincinnati office of Modeling, Monitoring systems, and quality assurance Office of Research Development, US. EPA, Cincinnati, Ohio 45268, U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