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logical Water Quality Assessments in Wastewater-impacted and Non-impacted Streams

폐수처리 시설의 영향에 따른 영산강 수계의 생물학적 수질 평가

  • An, Kwang-Guk (School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Kang-Il (School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Ja-Hyun (School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7.03.30

Abstract

In 2003, we evaluated biological water quality at twelve sites of Youngsan River using community analysis, fish compositions, and the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IBI). Of the twelve, four sites were the controls, which have no point sources in the upstream and the remaining eight sites were the impacted sites, which are influenced by wastewater treatment plant (WTP) and agro-industrial complex. Model values of the IBI, based on 12 sites data, averaged 28 (n=12, range: $18{\sim}44$), indicating fair poor condition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US EP A (1993). In the mean time, mean IBI in the control sites (S3, S5, S6, S11) was 42 (n=4, range: $38{\sim}44$), indicating a good condition, whereas mean IBI in the impacted sites was 21, indicating a poor condition. Mean IBI value in the control, thus, was greater by 2 fold than that in the WTP sites. The spatial pattern of IBI values was similar to the patterns of species diversity index and species richness index, except for Site 11, which was 1st order stream. Similarity analysis indicated that three groups were divided at the similarity level of 80%. One group was the streams influenced by wastewater and the other two groups were the pristine streams as the control, indicating that the stream health conditions are directly influenced by presence or absence of the point sources. Also,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IBI values had negative correlation (r=0.899, p<0.001) with relative abundance of tolerance species, and had positive relation (r=0.890, p<0.001) with sensitive species. Overall, outcomes suggest that the point sources of the WTP might impact the species composition and ecological health, resulting in degradation of biological water quality.

본 연구는 2003년 영산강 수계내 12개 조사지점에서 어류 군집분석, 개체 특성분석 및 생태 건강성 지수(IBI) 산정을 통해 하천의 생물학적 수질을 비교 분석하였다. 12개 조사정점 중 4개 지점은 오염의 영향이 없는 대조군 지점이었고, 나머지 8개 지점은 농공폐수 및 하수처리장 배출수의 영향을 받는 지점이었다. 본 조사수역 12개 지점에서 산정된 평균 생태 건강성 지수(IBI)는 28(n=12, 범위: $18{\sim}44$)로서 U.S. EPA(1993)의 기준에 의거할 때 악화${\sim}$보통상태$(Fair{\sim}poor)$를 보였다. 한편, 대조군 지점(S3, S5, S6, S11)의 평균 생태 건강성 지수는 42(n=4, 변이폭: $38{\sim}44$)로서 양호상태(Good)를 보인 반면, 농공 폐수 및 하수처리장 배출수의 영향을 받는 나머지 8개 지점에서 평균 건강성 지수는 21(n=8, $18{\sim}24$)로서 악화상태(Poor)를 보여 2배 정도의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이런 건강도 지수의 지점별 변이는 종 풍부도 지수 및 종 다양도 지수와 거의 일치하였으나,1차 하천인 S11은 불일치하였다. 즉, 하천차수가 낮은 상류의 1차 하천은 종 다양도 혹은 군집 풍부도 지수에 의해 생태건강도가 평가될 경우 하천의 크기를 고려하지 않아 상대적으로 과소평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군집 유사도 분석 결과에 따르면, 유사도 수준 80%(p<0.05)에서 지점은 3개 그룹으로 대별되었다. 하나의 그룹은 폐수에 의해 영향을 받는 지점이었고, 나머지 2개의 그룹은 오염에 의해 영향 받지 않는 2개 대조군 그룹으로 대별되었다. 상관도 분석에 따르면, 생물학적 건강성 지수는 내성종의 상대빈도와 역상관 관계(r=-0.899, p<0.001)를 보였으며, 민감종과는 정상관 관계(r=0.890, p<0.001)를 보였다. 이런 결과는 본 수역에서 농공폐수 및 하수처리장 배출수 방류는 하천의 생물학적 수질 악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 수자원의 보호를 위해서는 이러한 배출수와 같은 오염원의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는 것을 제시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선아, 안광국. 2006. 영산강 수계의 이화학적 수질에 관한 시공간적 변이 분석, 육수지 39: 73-84
  2. 공동수. 2002. 생물학적 수질기준 설정 필요성 및 접근방안, 환경생물 20: 38-49
  3. 교육부. 1997. 한국동식물도감. 제37권 동물편(담수어류). p 629
  4. 김용재. 2003. 영산강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동태, Algae 18: 207-215 https://doi.org/10.4490/ALGAE.2003.18.3.207
  5. 김익수. 1998. 자연속의 인간-어류편. 은빛여울에는 쉬리가 산다. p. 505. 중앙일보, 출판법인 중앙 M & B
  6. 김익수, 강종언. 1993. 원색 한국 어류도감. 아카데미서적, p 352
  7. 김종선, 함순아, 나철호. 1995. 수서곤충을 이용한 탐진강 수계의 수질평가, 한국환경학회지 13: 225-231
  8. 김주용, 정철환, 오강호, 고영구, 문정준, 유경아. 1999. 광주부근 영산강과 광주천의 하상퇴적물의 중금속 오염, 한국지구과학회지 20: 96-100
  9. 박미옥, 한상국. 2003. 영산강 방류수중의 유기화합물 분석. 대한환경공학회지 2003 춘계학술연구발표회 논문집. p. 1264-1268
  10. 박정원, 최재신, 김미경. 2004. 낙동강 중류 지역의 부착규조 군집의 변화와 유기오탁지수에 의한 수질평가, 육수지 37: 70-77
  11. 배경석, 유승성, 원두희, 김민영, 신재영. 2002. 한강 상류수계(가평)의 저서성 대형 무척추동물 군집분석 및 생물학적 수질평가, 한국환경위생학회지 28: 149-160
  12. 성치남, 백근식, 최지혁, 조현욱, 김종홍. 1997. 주암호 지천의 수질과 어류군집, 육수지 30: 107-118
  13. 안광국, 김자현. 2005. 물리적 서식지 평가법 및 어류 다변수 평가모델에 의거한 대전천의 생태학적 건강도 진단, 육수지 38: 361-371
  14. 안광국, 염동혁, 이성규, 김용화. 2003. 어류군 다변수 접근 방식에 의거한 생불보존지수 산정에 의한 생태학적 하천 건강성 평가. 대한환경공학회 2003 춘계학술연구발표회 논문집. p. 548-552
  15. 안광국, 이재연, 장하나. 2005. 유등천에서의 생태학적 건강도 평가 및 수질양상, 육수지 38: 341-351
  16. 안광국, 정승현, 최신석. 2001. 생물보전지수 및 서식지 평가지수를 이용한 평창강의 수환경 평가, 육수지 34: 153-165
  17. 양홍준, 채병수. 1994. 대도시 주변 하천수계의 수질환경과 육수생물학적 연구-금호강수계의 어류상과 어류군집구조(II), 육수지 27: 177-188
  18. 염동혁, 안광국, 홍영표, 이성규. 2000. 어류군집을 이용한 금호강의 생물보전지수(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IBI) 펑가, 환경생물 18: 215-226
  19. 이동규. 1994. 낙동강 하구의 수서곤충 군집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육수지 27: 109-126
  20. 조영길, 김주용. 1998. 영산강 하상퇴적물의 중금속 함량, 한국환경과학회지 7: 281-290
  21. 차진명, 신성의, 차규석. 1999. 영산강 수계의 비점오염원에 관한 연구1-토지이용 및 강우를 중심으로-,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지 8: 41-49
  22. 최기철. 1994. 우리민물고기 박가지. 현암사, p. 532
  23. 최기철, 전상린, 김익수, 손영목. 1990. 원색 한국 담수어 도감. 향문사, p. 277
  24. 최철만, 박연규, 문성기. 2004. 인공기질 부착조류에 의한 대천의 수질평가, 환경생물 22: 242-245
  25. Barbour, M.T., J. Gerritsen, B.D. Snyder and J.B. Stribling. 1999. Rapid Bioassessment Protocols for Use in Streams and Wadeable Rivers: Periphyton,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Fish, Second Edition. EPA 841-B-99-002.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Office of Water, Washington, D.C
  26. Ganasan, V. and R.M. Hughes. 1998. Application of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IBI) to fish assemblages of the river Khan and Kshipra (Madhya Pradesh), India. Freshwater Biology 40: 55-59
  27. Harris, J.H. 1995. The use of fish in ecological assessments. Australian Journal of Ecology 20: 65-80 https://doi.org/10.1111/j.1442-9993.1995.tb00523.x
  28. Judy, R.D. Jr., P.N. Seeley, T.M. Murray, S.C. Svirsky, M.R. Whitworth and L.S. Ischinger. 1984. National Fisheries Survey. Volume 1. Technical Report: initial findings. United States Fish and Wildlife Service. FWS/ OBS-84/06
  29. Karr, J.R. 1981. Assessment of biotic integrity using fish communities. Fishieries 6: 21-27 https://doi.org/10.1577/1548-8446(1981)006<0021:AOBIUF>2.0.CO;2
  30. Karr, J.R., K.D. Fausch, P.L. Angermeier, P.R. Yant and I.J. Schlosser. 1986. Assessing biological integrity in running water: A method and its rationale. p. 28, Illinois national History Survey, Special Publication 5, Champaign, IL
  31. Margalef, R. 1958. Temporal succession and spatial heterogenity in natural phytoplankton. In perspectives in marine biology. Univ. of California Press, p. 323-349
  32. Ohio EPA. 1987. Biological criteria for the protection of aquatic life. Vol. II, Users manual for biological field assessment of Ohio surface waters. Division of Water Quality Monitoring and Assessment, Surface Water Section, Columbus. OH
  33. Pielou, E.C. 1975. Ecological diversity. Wiley, New York, p. 165
  34. Shannon, C.E. and W. Weaver.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35. Simpson, E.H. 1949. Measurement of diversity. Nature 163: 688 https://doi.org/10.1038/163688a0
  36. U.S. EPA. 1993. Fish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evaluating the biological integrity of surface waters. EPA 600-R-92-111.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s Laboratory-Cincinnati office of Modeling, Monitoring systems, and quality assurance Office of Research Development, U.S. EPA, Cincinnati, Ohio 45268
  37. U.S. EPA. 2002. Summary of biological assessment programs and biocriteria development for states, tribes, territories, and interstate commissions: streams and wadable rivers. EPA-822-R-02-048. U.S. EPA, U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