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Influence of Courtesy of Avoidance of the Opposite Sex on Costume -Focused on Costumes of Man and Woman in the Late Chosun Dynasty-

남녀유별 예(禮)의식 [내외법(內外法)] 이 복식생활에 미친 영향 -조선후기 남녀 복식생활을 중심으로-

  • Published : 2007.01.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the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in the costumes of men and women throughout the overall acceptance process of 'Naewaebub' in the late 'Chosun Dynasty' in which the notion of 'Naewae' is more prosperous than any other period in Korean history. Originally the distinction between man and woman was not intended to display the high and the low but to show the mutual respect according to each duty. As time goes on, that ideal became gradually changed to heighten the man and lower the women especially in 'Han' period of China. There was the ideal of distinction in the ancient times in Korea. Until 'Koryo Dinasty' the community has the system of blood-tied that put together maternal and paternal. 'Karye' was introduced in the late 'Koryo Dynasty' and accepted to the stereotype of morale in the 'Chosun Dynasty' and there seemed to be 'Samgang' and 'Oryun' at once. Many restrictions was imposed to behavior in women like rules of prohibition in attending the temple and concealment of woman's face and was recognized to rule of distinction between man and woman. Confucian life custom has been settled to Korean society throughout the late 16th century and 17th century and there were some appearances in the housing construction which divide the residences of man and woman. The characteristics in the costume from the avoidance of opposite sexes are clear in the structure of clothes changed from similar style to different style. The examples of those characteristics are as fellows. The costume in man was developed to advanced 'Pyoun-bokkwan' and 'Pyounbokpo' as social action of man prospered. Meanwhile the trousers which had been the same in the man and woman were separated to different trousers between man and woman. The costume life style of woman was changed to using the a hair whirl, hiding the face in the street and overlapping the innerwear under the skirt which was extension of woman's closed life style in late 'Chosun Dynasty'.

Keywords

References

  1. 김득중 (1997). 실천예절개론. 서울. 교문사. p. 46
  2. 정옥자 (1990), 17세기 전반 禮書의 성립과정-金長生을 중심으로 . 동양문화 11. p. 407
  3. 柳粛 저, 洪熹 옮김 (1994). 禮의 精神 서울: 동문선, p 26
  4. 조선왕조실록 CD ROM 간행위원회 (1995) 國譯朝鮮王朝實錄 서울시스템주식회사, 세조실록 권3 세조2년 3월 정유조
  5. naver 사전
  6. 이순구 (1988). 朝鮮初期 內外法의 成立과 展開. 청계 사학 5. p. 115
  7. 김시황 (2000). 夫婦有別과 同尊卑- 동양예학. P. 262
  8. 김승혜 (1998). '夫歸有別'의 해석학적 역사와 현대적 전망. 공자학 4호. p. 55
  9. 人之有道也 飽食媛衣 逸居而無敎 則近於禽獣 聖人 有 憂之 使契 篤司徒 敎以人倫 父子有親 君臣有義 夫婦有別 長幼有序 朋友有信.. 車柱環 (2002). 孟子. 서울:명문당
  10. 김승혜 (1998). '夫歸有別'의 해석학적 역사와 현대적 전망. 공자학 4호., pp. 57-28
  11. 신정근 옮김 (2006). 동중서의 春秋緊露, 춘추-역사해석학 경기도 태학사. PP. 564-565
  12. 반고 저. 신정근 역주 (2005). 백호통의 29편 三鋼六 紀, 제40편 據聚 참조
  13. 김승혜 (1998). '夫歸有別'의 해석학적 역사와 현대적 전망. 공자학 4호. pp. 66-68
  14. 이범준 (2004). 朝蘇時代 禮學硏究 국학자료원. 유교 이념과 가족윤리 참조
  15. 이범준 (2004). 朝蘇時代 禮學硏究 국학자료원. 유교 이념과 가족윤리 참조, P. 410
  16. 정정남 (2004). 屑巌日記를 통해 본 16세기 사대부 주택의 客廳.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대회논문집, p. 133
  17. 신복룡 (2002). 신복룡 교수의 이방인이 본 조선 다시 읽기 서울. 풀빛, pp. 100-101
  18. 세종실록, 세종 11년 2월 신사조
  19. 유수경 (1991) . 한국여성양장변천사. 서울. 일지사. P. 49에서 재인용
  20. 이순구 (1988). 朝鮮初期 內外法의 成立과 展開. 청계 사학 5. pp. 131 -132
  21. 이범준 (2004). 朝蘇時代 禮學硏究 국학자료원. 유교 이념과 가족윤리 참조, p. 407
  22. 고영진 (1991). 16세기 말 四禮書의 성립과 禮學의 발 달. 한국문화 12. p. 470
  23. 정옥자 (1990). 17세기 전반 禮書의 성립과정-金長生을 중심으로 . 동양문화 11.p 424
  24. 정정남 (2004). 16세기 사대부의 개인거처마련과 相宅, 한국 건축역사학회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 182
  25. 정정남 (2004). 16세기 사대부의 개인거처마련과 相宅, 한국 건축역사학회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 179
  26. 이호열 (2003). 한국건축사 연구1- 분야와 시대와 발언. 반가편, p. 211
  27. 박선희 (1992). 조선시대 班家의 주생활과 공간사용에 대한 연구. 건축사연구 1(2), P. 44
  28. 박희영, 이희봉 (2003). 상류 전통주거 居昌 동계(桐溪) 정온(鄭聽) 종택의 공간과 생활의 복원을 통한 해석. 건축역사연구, 12(3), pp. 140-141
  29. 이능화 (1926). 朝鮮女倚考. 婦女內外法 편
  30. 윤일이 (2005), 儒敎 愛用에 따른 傳統佳宅 男性空間의 變遭에 관한 比較硏究-中 韓 日 上流住宅을 중심으로. 건축역사연구, 14(1), p. 128
  31. 정정남 (2004. 11), 16세기 사대부의 개인거처마련과 相宅, 한국 건축역사학회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 132-133
  32. 정정남 (2004. 5) 16세기 사대부의 개인거처마련과 相宅, 한국 건축역사학회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 139
  33. 김종헌 (2002). 안채, 사랑채의 재해석을 통한 職住統 合型 住居 類型 開發에 관한 硏究. 건축역사연구, 11(29), P. 24
  34. 김기주. 김성우 (1995). 冠婚禮를 중심으로 본 朝解時代 班家에서의 行禮規範과 空間使用. 건축역사연구 3(2), p. 57
  35. 김기주, 김성우 (1995).冠婚禮를 중심으로 본 朝解時代 班家에서의 行禮規範과 空間使用. 건축역사연구 3(2), pp. 6-9
  36. 김기주, 김성우 (1995). 冠婚禮를 중심으로 본 朝解時代 班家에서의 行禮規範과 空間使用. 건축역사연구 3(2),p. 62
  37. 장인우 (1999). 충북대학교 박물관 소장 조선시대 복식연구. pp. 48-50
  38. 이은주 (1998). 판결사 김흠조선생 합장묘 발굴조사보고서. p. 218. 영주시
  39. 이은주 (2000). 안동정상동 일선문씨와 이응태묘 발굴조사 보고서 안동대박물관. p. 241
  40. 이은주 (2003). 동래정씨 홍곡공 일가 남자 묘에서 줄토된 복식류 경기도 박물관, pp. 172-174
  41. 구남옥 (2002). 조선시대 남자바지에 관한 연구. 복식 학회지 52(7)
  42. 구남옥 (2002). 조선시대 남자바지에 관한 연구. 복식 학회지 52(7) p. 46
  43. 세종13년 8월 戊午 本國之袴 寬大故多費 上國之袴 三幅可縫
  44. 이긍익. 練裵室記述. 古者男女皆潤袴 今男則窄袴 此於 宣朝之世 學層人而變者也
  45. 장인우 (1999). 충북대학교 박물관 소장 조선시대 복식연구.,p. 42
  46. 세조실록 권3 세조2년 3월 정유조
  47. 성종실록 권13 성종2년 12월 임진
  48. 박성실 (1992). 조선 전기 출토복식 연구- 임진왜란 이전 시기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444-445
  49. 태조실록 권2 태조1년 9월 기해조 대사헌 남재의 상소문
  50. 태종실록, 태종4년 5월 25일 예조의 건의
  51. 태종실록 권28 태종14년 11월 병진조
  52. '태종실록, 태종16년 8월 20일 사간원 상소문
  53. '세종실록, 세종11년 2월 5일
  54. 세종실록. 세종12년 8월 15일 예조의 건의
  55. 유득공. 京都雜誌, 関巷婦女綠桂衣在街上男用一衣幕首
  56. 안동대학교박물관. 사진으로 보는 조선 1892년, pp. 82-83
  57. 부산근대역사관. 사진엽서로 떠나는 근대기행 p. 307: 서문당, 사진으로 보는 조선시대-생활과 풍속. p. 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