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lassification of the Types of Seon Expressed in Costume of Worldly Figures Illustrated in Koryo Buddhist Paintings

고려불화를 통해 본 현실세계 인물의 복식에 표현된 선의 유형분류

  • Ok, Myung-Sun (Dept. of Fashion Design and Merchandising, Kyung Sung University) ;
  • Park, Ok-Lyun (Dept. of Fashion Design and Merchandising, Kyung Sung University) ;
  • Lee, Joo-Young (Dept. of Fashion Design, Tong Myong University)
  • Published : 2007.01.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 types of Seon which was expressed in costume of worldly figures illustrated in Koryo Buddhist paintings. The types of 'Seon' are largely classified into Standard and Application types. Among these types, standard type are reclassified into the types of same color and no pattern, different color and no pattern, same color and pattern and different color and pattern. And Application type is reclassified into the types of Buseon, wrinkle, feather and leaf, Regarding styles of Seon, most costumes for men and women used Seon of Standard style, especially that of different color and no pattern style. In addition, costumes for men more often used Seon of Standard style, especially that of different color and pattern style. While, costumes far women more often used Seon of application style, especially that of feather or wrinkle style. Seon was practically used to reinforce the edge of clothes, whether for men or women, and at the same time, and at the same time decorated the clothes brilliantly. In regard to aesthetic qualities of clothes in accordance with types of Seon, clothes having Seon of same color and no pattern type was natural and simple and different color and no pattern type, artificial and simple, same color and pattern type, natural and brilliant and different color and pattern type, artificial and brilliant. And costumes having Seon of Buseon type was decorative and simple, wrinkle type, sophisticated and dynamic, feather type, voluminous and dynamic and leaf type, brilliant and dynamic.

Keywords

References

  1. 옥명선, 박옥련, 이주영 (2005), 고려후기 阿鋼防如來圖 복식에 표현된 襈의 유형과 조형특성. 복식, 55(2), pp, 58-69
  2. 옥명선, 박옥련 (2006), 고려후기 水月觀音圖 복식에 표현된 襈의 유형과 조형특성, 복식, 56(1), pp 70-80
  3. 崔永順 ( 1992), 韓國의 菩薩服飾에 관한 硏究 - 6-8세기 菩薩像과 高麗佛畵를 중심으로 東國大學校 大學院 가정학과 석사학위논문
  4. 金眞熙 (1996). 高麗時代 地藏菩薩圖의 服飾에 관한 硏究. 東亞大 大學院 석사학위논문
  5. 지미령 (2001), 고려후기 . 조선전기 지장보살도의 복식 번천 연구. 전남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고승희 (2000). 高麗佛畵의 紋様 研究. 동국대 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林明子 (1984). 高麗佛畵에 나타나는 衣裳紋様 研究. 숙명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임영주 (1981). 高麗佛畵의 級樣. 韓國의 美 7 高麗佛畵-. 서울. 中央日報社,pp 217-229
  9. 박옥련 (1992) . 高麗時代 水月觀音圖의 衣裳에 나타난 文樣硏究. 한국의류학회지, 제16권 1호
  10. 정현주(1990). 高麗時代 水月觀音圖의 베일에 나타난 文樣 硏究.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蔡今錫 (1988), 高麗佛畵에 나타난 高麗服飾의 考察 형태와 구조를 중심으로. 淑明女大 大學院 석사학위논문
  12. 金眞成 (1993). 高麗佛畵에 나타난 女人 服飾 考察. 高麗大 大學院 석사학위논문
  13. 임명미 (1994). 고려시대 인물관련 제작물을 통해서 본 복식에 관한 연구(2). 복식, 22, .pp 205-224
  14. 임명미 (1994) . 고려시대 인물관련 제작물을 통해서 본 복식에 관한 연구(2). 복식, 23, pp. 211-223
  15. 임명미 (1995). 고려시대 인물관련 제작물을 통해서 본 복식제도에 관한 연구(2). 복식, 26,pp 221-232
  16. 김문숙 (2000). 고려시대 원간섭기 일반복식의 변천, 서울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김문자 (1998). 高麗時代 여인들의 橋 . 裳의 형태에 관 한 硏究. 복식, 38, pp. 73-82
  18. 김문숙, 이순원 (2001), 고려시대 일반복식의 명칭에 관한 연구. 복식, 51(2), .pp 65-78
  19. 강인구 (1975) 서산 문수사 금동여래좌상 복장유물. 국립박물관 미술자료 18호
  20. 안명숙 (1986). 文殊寺 遺物 抱와 織物類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24권 1호
  21. 유희경 (1991). 1302년 아미타불복장 복식의 양식과 특성 - 1302년 아미타불복장유물의 조사연구- 온양민속 박물관
  22. 권영숙, 이주영, 장현주 (1997) 해인사 금동비로자나불 복장복식과 고려후기 의복의 특성. 성보학술총서 1, 성보문화재연구원
  23. 홍윤식 (2002), 불화. 서울; 대원사. pp 57-58
  24. 곽철환 (2004). 불교사전 서울; 시공사. .p 527
  25. 김정희 (2002). 신장상. 서울: 대원사, P. 9
  26. 김정희 (2002). 신장상. 서울: 대원사, pp 28-29
  27. 문명대 (1977). 부석사 조사당의 벽화시론 불교미술 3. 동국대 학교박물관, p. 24
  28. 임영자 (1990). 한국의 종교복식 - 불교와 도교복식을 중심으로. 서울: 아세아문화사. pp. 93-94
  29. 김정회 (2002) 신장상. 서울: 대원사,pp 17-20
  30. 동국대학교박물관편 (2006) 동국대학교 國寶展-건학 100주년 기념 특별전. 동국대학교박물관 .. p 29
  31. 옥명선, 박옥련, 이주영 (2005). 고려후기 阿鋼防如來圖 복식에 표현된 襈의 유형과 조형특성. 복식, 55(2),pp 60-62
  32. 옥명선, 박옥련 (2006). 고려후기 水月觀音圖 복식에 표현된 襈의 유형과 조형특성, 복식, 56(1),pp 73-74
  33. 옥명선, 박옥련. 이주영 (2006) 宋代 복식에 표현된 襈의 유형과 조형특성. 복식, 56(3), .pp 116-128
  34. 옥명선, 박옥련, 이주영 (2005) 고려후기 阿鋼防如來圖 복식에 표현된 襈의 유형과 조형특성. 복식, 55(2),p 61
  35. 옥명선, 박옥련, 이주영 (2005) 고려후기 阿鋼防如來圖 복식에 표현된 襈의 유형과 조형특성. 복식, 55(2). p. 62
  36. 임명미 (1997). 한국의 복식문화(I ). 서울; 경춘사, p. 434
  37. 임명미 (1994) . 고려시대 인물관련 제작물을 통해서 본 복식에 관한 연구(2). 복식, 22. .p 216
  38. 韓国服飾圖鑑(2005).서울: KBS 아트비전, p. 245
  39. 沈従文(1992). 中國古代服飾研究. 臺北;商務印書館. p. 273
  40. 周錫保(2001). 中園古代服飾史. 北京: 中園戯劇出版社. p. 181
  41. 奈今錫(1988). 高麗佛畵에 나타난 高麗服飾의 考察 형태와 구조를 중심으로. 淑明女大 大學院 석사학위논문p 159
  42. 中華五千年文物集刊 편, 손경자역 (1995). 中園服飾5000 年(上).서울: 경춘사, p. 157
  43. 옥명선 (2004). 조선시대 복식에 표현된 襈의 유형과 조형특성 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