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the classic Sijo(時調) concerning the productive life

생활 표현의 고시조 연구

  • Published : 2007.01.31

Abstract

The main industry of the Chosun dynasty was farming, which was related to the people's lives in every respect. By the end of the Chosun dynasty commerce was a new industry becoming increasingly more beneficial. I study how these two industries were being expressed in the classic Sijo. The classic Sijo is a main literary genre created by the upper-class. Even though industry was very important for sustaining the Chosun dynasty, Confucian scholars and government officials(members of the upper class) didn't actually work in the industries of farming and commerce. But sometimes they returned to their rural hometowns, because they owed large amounts of land which they let the servants farm for themselves. As the main composers of Sijo were these Confucian scholars and government officials, I study a collection of their Sijo which expresses the life of industry.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I analyze several sides of the classic Sijo : for example, its writers(along with their personalities) throughout different periods: the point of view of persona; and the specific life of industry and the way it is expressed in the Sijo. First, I look at the writers of the different periods and their personalities. During the fourteenth century to the seventeenth century, the main writers of Sijo on the life of farming were Confucian scholars and government officials. During the eighteenth century to the nineteenth century, the main writers of Sijo on the life of farming were Confucian scholars, government officials, and also commoner singers-the unnamed writers. Second, I look at the point of view of persona. During the fourteenth century to the seventeenth century, the personas were the country man(one's lord and master) and the farmer, who was of two kinds of people : i.e., those trying to work together and those really working together. During the eighteenth century to the nineteenth century, the personas were the country man, who was satisfied with his rural life as overseer to farming, and two kinds of farmers : those who farmed very hard by themselves, or those who criticized the failed tax system. Third, I discuss the specific life of industry and the way it is expressed in the Sijo. During the fourteenth century to the seventeenth century, the writers of Sijo expressed, in a general way together in one Sijo, different kinds of work for example, plowing a dry field and a rice field, picking wild vegetables, and cutting rice and weed. During the eighteenth century to the nineteenth century, the writer of Sijo expressed different kinds of work in a more specific way, each in its own Sijo : for example, buying and selling, bringing land under cultivation for farming. weaving, digging for water, and heavy taxation. I look at three aspects of Sijo concerning industry, but there still remain several aspects of Sijo to study, such as those concerning worship of the king, and those concerning high officials, the common people, and the being of things.

사대부 계층이 중심이 되어 이루어진 시조에 삶의 물적 토대인 구체적 생산의 현실이 어떻게 투영되어 있는가를 살피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생산 관련 생활은 사회 체제의 필연적 근거인데, 생산 활동과 무관한 것으로 보이는 시조를 이런 관점에서 논의하는 일은 시조 작품과 작가를 이해하는 또 다른 방법이다. 생활을 다룬 시조의 작가는 크게 유명씨와 무명씨로 나누어진다. 유명씨는 사대부와 평민 가객, 무명씨는 사대부와 평민 가객, 시정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대적으로 14-17세기에는 사대부 작가가 중심이고 18-19세기에는 평민 가객이 새로운 작가층으로 부상하여 사대부 작가와 같은 비중을 차지하다가 평민 가객이 우위를 점하고 무명씨가 대거 참여한다. 다음으로 시적 자아의 입장에서 유명씨의 14-17세기 작품에 나타난 시적 자아는 촌부, 일을 함께 하려는 농부, 일을 시키는 상전, 실제 일하는 농부 등으로 되어 있고 18-19세기 작품에는 전원인, 구경꾼, 일을 하거나 원망하는 농민 등이 중심이다. 이는 구체적 생산 활동이 점차 사실적으로 표현돼 가던 추세의 반영이다. 무명씨의 작품은 유명씨와 유사한 점이 있으면서도 상업 활동을 하는 시적 자아의 등장이 특이하다. 생활의 내용과 그 표현 방식에서 14-17세기 작품에는 논밭갈이, 산나물 캐기, 벼베기, 풀베기 등 여러 생활을 한 작품 안에 포괄하여 표현하는 작품이 많이 나타나며 관념적 용어에서 구체적 생활을 구어로 표현하는 작품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문장은 평서문, 의문문, 감탄문, 명령문, 청유문의 순서로 많이 사용된다. 18-19세기 작품에 나타난 생활은 물건 매매. 산전과 수전의 개간, 베짜기, 물푸기, 가렴주구 등 매우 구체적인 일들을, 하나씩 각각 한 작품 내에 집중적으로 구체적 생활에서 쓰는 구어를 더 많이 사용하여 주로 평서문과 의문문으로 표현한다. 무명씨 작품에 표현된 생활의 종류 유명씨 작품의 경우와 비슷하나 논밭갈이, 김매기, 벼 베기 등의 전통적 일반 생활에 옷 만들기, 물건 장수와 같은 구체적 생활이 부가적으로 더 표현된 점이 다르다. 표현 방법은 유명씨 작품의 전대 선례에서 점차 후대의 선례를 더 많이 수용하는 방향으로 바뀌며 문장 형태에서는 명령문, 명령문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