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logical Changes of Seunghwanglim -Natural Monument No. 93- Wonju Seungnamri

원주 성남리 성황림-천연기념물 제 93호-의 생태적 변화

  • 김갑태 (상지대학교 산림과학과)
  • Published : 2007.12.31

Abstract

This research is aimed at finding out the ecological change of Seunghwanglim through the examination of vegetational change of tree seedlings of old giant trees growing at Seunghwanglim [Seunghwang Forest designated as a Natural Monument No.93] after the installation of protective iron fence. The surve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keeping out people by installing a protective iron fence in 1989, soil hardness of the plane forest was greatly improved except the area used as roads. The seedlings of the plane forest, whose damage index is 2,3,4, were found to have the highest 1,202 $individuals/400m^2$, and those of the plane forest, whose damage index is 1, were revealed to have 565 $individuals/400m^2$, and those of the slope forest were found to have 403 $individuals/400m^2$. The number of the young sapling[taller than 2 meters] individuals of the plane forest whose damage index is 1 was found to be the most $48/400m^2$, and that of the plane forest whose damage index is 2, 3, 4- was $31/400m^2$, and that of the slope forest proved to be $14/400m^2$. In the plane forest whose damage index is 2, 3, 4, the saplings of the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and Acer triflorum are relatively much distributed, and in the plane forest whose damage index is 1, many saplings of the Prunus padus and Styrax obassia, were found to grow and in the slope forest, many saplings of the Acer pictum subsp. mono and Acer pseudo-sieboldianum. were found to grow. Many seedlings of Rubus spp. - R. oldhamii, R. coreanus and R. crataegifolius. - and Akebia quinata were growing vigorously on plane forest, but they might decrease in number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the tree saplings.

원주 성남리 성황림(척연기념물 제 93호)에서 보호철책의 설치 이후 노거수의 치수들이 어느 정도 생육하는가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성황림의 생태적 변화를 밝히고자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989년 보호철책의 설치로 사람들의 출입을 통제한 결과 평지림의 토양강도(토양견밀도)는 도로로 이용되었던 부분을 제외하고는 크게 완화되었다. 피해도 2, 3, 4로 지피식생이 없었던 평지림에서 1,202개체의 치수가 자라고 있어 가장 많았고, 피해도 1인 지역에서 565개체, 피해가 없었던 사면림에서는 403개체가 조사되었다. 수고 2m 이상의 유목단계인 치수들은 피해도 1인 지역에서 48개체로 가장 많았고, 피해도 2, 3, 4인 지역에서는 31개체, 피해가 없었던 사면림에서는 $400m^2$의 면적에 14개체로 조사되었다 교목의 치수들은 피해도 2, 3, 4로 지피식생이 거의 없었던 평지림에서 느릅나무, 복자기가 상대적으로 많았으며, 피해도 1인 평지림에서 귀룽나무, 쪽동백, 피해가 없었던 사면림에서 고로쇠와 당단풍나무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지피식생이 거의 없었던 평지림에서 줄딸기, 복분자딸기, 산딸기, 으름덩굴 등이 먼저 왕성하게 자라고 있으나 교목성 치수들의 생장에 따라 점차 개체수가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현경, 방광자, 이승제, 김학범(2004) 생육환경 분석을 통한 마을숲의 관리방안 -경상도와 강원도의 주요 마을숲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2): 63-74
  2. 김갑태(1994) 천연기념물의 가치. 산림 324: 92-99
  3. 김학범(1991) 한국의 마을원림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남연화, 윤영활(1999) 전통 마을숲의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원주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정원학회지 17(1): 17-27
  5. 남연화, 윤영활(2002) 시대적 배경을 통해 본 마을 숲의 변천과 보존 -성남리 성황림 지역을 대상으로-. 한국정원학회지 20(2): 23-32
  6. 박재철, 정경숙, 장혜화(2003) 진안 하초 마을숲의 온도 조절 기능 분석. 한국농촌계획학회지 9(4): 35-41
  7. 백길전(1998) 성황림(원주시)의 식생구조 및 관리대책에 관한 연구 -천연기념물 제93호-. 상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7쪽
  8. 이경재, 오구균, 김갑태(1987) 국도립공원의 삼림경관자원관리대책(2) 국립공원 치악산 성황림(원성군)-천연기념물 제93호-. 국립공원 36: 18-22
  9. Curtis, J. T. and R. R. Mclntosh(1951) An uplena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lon of Wisconsin. Ecology 32: 476-496 https://doi.org/10.2307/1931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