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defined Access Routes for Quick Response to Disaster Areas

방재경로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지구단위 방재경로를 중심으로)

  • Published : 2007.12.30

Abstract

In this research, in order to more concre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previously vaguely defined fire road, the authors propose new terminology called disaster prevention routes. These are defined as predefined access routes for the quick response to disaster areas. For this, the authors suggest selection techniques for disaster prevention routes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fire trucks and selected areas. The paper also includes legally-based ideas for the executive departments with exclusive responsibility for continuous management and supervision of disaster response. In addition, a case study is performed with a virtual scenario including the outbreak of fire in one borough of Seoul. This case study shows that the damage can be decreased by prompt access of fire trucks. The establishment of predefined access routes to disaster areas can help to protect citizens with more rapid response by emergency crews. Indirect benefits also include reduced congestion of roads through the prohibition of parking and stopping on the chosen roads.

기존의 소방도로는 법적 용어가 아닌 편의상 지칭하는 명칭으로 도로교통법이나 지방경찰청장 고시 등에 의한 주 정차 단속구간이 아니다. 이러한 이유로 화재 등 긴급 상황 발생시 소방차량의 현장접근이 늦어져 재산 및 인명 피해가 확대되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애매했던 소방통로의 개념을 보완하고 새롭게 소방통로의 개념을 정립하고자 새로운 용어인 방재경로라는 개념을 도입하였다. 소방차량의 제원 및 지역 특성을 고려한 방재경로 선정기법을 제안하고,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법적 근거 및 지속적인 관리/감독을 위한 전담 관리 부서를 제안하였으며, 서울시 한개 동을 대상으로 한 화재발생 가상시나리오에서는 방재경로를 통한 소방차의 신속한 접근으로 피해가 감소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재경로 확보는 각종 재난으로부터 시민을 보다 신속하고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화재 등 긴급 상황 시 시민의 안전 확보뿐만 아니라, 해당 도로의 주 정차 금지로 인한 도로의 혼잡완화로 향후 시민의 큰 호응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이현영(2005), '다중이용시설의 소방안전대책' 소방안전, 제25권 제1호 통권137호, pp.14-18
  2. 이평강.최인창.김회서(2003), '건축물 화재안전을 위한 용도별 화재하중 적용에 관한 연구: 요구내화시간산정과 구획실내 화재온도예측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제19권 제9호 통권 제179호, pp.139-146
  3. 강영옥.박미라(2005), '서울시 화재위험지도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방재학회, 제5권 1호, pp.1-12
  4. 백동승(2004), '도시재난관리체계 운영실태 분석 연구: 소방을 중심으로', 한국방재학회, 제4권 4호, pp.7-12
  5. 최우혁(1999), 'GIS를 이용한 도시화재 연구: 강남구를 사례지역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6), '긴급상황발생시 인명 대피 및 구조를 위한 교통망제어'
  7.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2), '서울시 교통안전업무 추진체계정립에 관한 연구'
  8.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1), '대도시 교통안전체계 비교연구(서울과 뉴욕시를 중심으로)'
  9.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1-2005), 서울시재난사례집
  10.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세계도시동향
  11. 서울특별시(2004), 서울시방재관리계획
  12. 조선일보 (http://www.chosun.com)
  13. 동아일보 (http://www.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