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Legibility Distance Model for VMS Messages using In-Vehicle DGPS Data

DGPS를 이용한 VMS 메시지 판독거리 모형개발

  • 오철 (한양대학교 교통시스템공학과) ;
  • 김원기 (한양대학교 교통시스템공학과) ;
  • 이수범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 이청원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 김정완 (건설교통부 교통정보기획팀)
  • Published : 2007.10.30

Abstract

Variable message sign (VMS), which is used for providing real-time information on traffic conditions and incidents, is one of the important components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VMS messages need to meet the requirements with the consideration of human factors that messages should be readable and understandable while driving. This study developed a legibility distance model for VMS messages using in-vehicle 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data (DGPS). Traffic conditions, highway geometric conditions, and VMS message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for establishing the legibility model based on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height of VMS characters, speed, and the number of lanes were identified as dominant factors affecting the variation of legibility distances.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model would play a significant role in designing VMS messages for providing more effective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도로전광표지(VMS: Variable Message Signs)는 지능형교통체계(ITS: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를 구성하는 주요 서브시스템 중의 하나로서,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실시간 교통소통 및 돌발상황 정보를 제공해 주는 유용한 기능을 수행한다. VMS에서 표출되는 교통정보는 운전자가 보다 쉽게 이해하고, 눈에 잘 띄고, 적정거리 내에서 판독하기 쉬워야 하는 조건을 만족 시켜야 한다. VMS 판독거리 (Legibility Distance)는 운전자가 VMS 메시지의 문자를 읽기 시작할 수 있는 지점에서 해당 VMS의 설치지점간의 거리를 의미하는데, 도로 및 교통여건, 운전자 특성 등을 고려한 적정 판독거리의 산정은 차량의 주행속도, VMS 메시지 정보량 등과 함께 효과적인 VMS 메시지의 설계 및 운영을 위한 필수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실제 도로교통환경에 노출된 운전자의 작업부하를 고려한 보다 현실적인 판독거리 추정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 도시고속도로, 영동 및 경부고속도로에 설치된 27개 VMS에 대한 운전자의 판독거리, VMS 메시지 특성, 운전자 특성, 도로기하구조 및 교통특성 등의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실제 주행환경에서 운전자의 판독위치 수집을 위해서는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장비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물인 판독거리 모형은 VMS 메시지 설계 및 운영을 위한 기본도구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2000), '도로의 구조.시설 기준에 관 한 규칙', 건설교통부
  2. 김은영.이청원.김용진(2006), DGPS 수신장치를 활용한 차량추종 모형 파라미터 정산, 대한교통학회 지, 제24권 제3호, 대한교통학회, pp.17-27
  3. 최기주.최병운(2001), 도로표지 시인거리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19권 제4호, 대한교통학회, pp.123-137
  4. 한국건설기술연구원(1999), '도로가변정보 안내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 제정연구'
  5. Armstrong J. D, Upchurch J. E (1994), Human Factors design considerations for Variable Message Freeway Signs, Journal of Transportation Engineering 120, pp.264-282
  6. Brooke R. Ullman, Gerald L. Ullman, Conrad L. Dudek and Elizabeth A. Ramirez(2005), Legibility Distances of Smaller Letters in Changeable Message Signs with Light-Emitting Diode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918, pp56-62
  7. Jonathan Upchurch, Jeffery D. Armstrong, M. Hadi Baaj and Gary B. Thomas(1992), Evaluation of Variable Message Signs : Target Value, Legibility, and Viewing Comfort,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376, pp.35-44
  8. Paul J. Carlson and Gene Hawkins(2003), Legibility of Overhead Guide Signs with Encapsulated Versus Microprismatic Retroreflective Sheeting,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844, pp.59-66
  9. Queensland Government (2004), 'Variable Message Signs-Use and Operation, Australia' (http://www.mainroads.qld.gov.au/MRWEB/prod/CONTENT.NSF/0/e515389715203b364 a256f6a001dbd0e/$FILE/Volume%202-2.9.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