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titumor and Immuno-modulatory Effect Against Mouse Sarcoma 180 of Crude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Fruiting Body of Armillaria tabescens

뽕나무버섯부치(Armillaris tabescens)의 자실체에서 추출한 조다당류의 생쥐 Sarcoma 180에 대한 항암 및 면역증강 효과

  • Published : 2007.12.31

Abstract

Armillaria tabescens, one of edible and medicinal mushrooms belonging to Agaricales of Basidiomycota, has been known to have outstanding curative effects on chronic hepatitis and cholecystitis and inhibitory effects on the sarcoma 180 and Erhrlich carcinoma of mice. Neutral saline soluble (0.9% NaCl), hot water soluble and methanol soluble substances (hereinafter referred to Fr, NaCl, Fr. HW and Fr, MeOH, respectively) were extracted from fruiting body of the mushroom. In vitro cytotoxicity tests showed that crude polysaccharides were not cytotoxic against cancer cell lines such as NIH3T3 and Sarcoma 180 at the concentration of $2000\;{\mu}g/ml$. Intraperitoneal injection with crude polysaccharides exhibited life prolongation effect of $28.8{\sim}46.5%$ in mice inoculated with Sarcoma 180, respectively. Fr. NaCl improved the immunopotentiation activity of B lymphocyte by increasing the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by $1.8{\sim}2.1$ folds, respectively. In case of Fr, NaCl, the numbers of peritoneal exudate cells and circulating leukocytes were increased by 9 and 1.9 folds, respectively.

뽕나무버섯부치는 주름버섯목, 송이버섯과에 속하는 버섯으로 예로부터 만성간염, 담낭염 및 암의 치료에 널리 이용해온 맛이 좋은 식의약용 버섯이다. 뽕나무버섯부치의 자실체로부터 중성염용액, 열수 및 메탄올을 이용하여 조다당류를 추출하여 Sarcoma 180가 접종된 ICR mice에 주사하여 항암 및 면역증강 효과를 조사하였다. 세포독성 실험결과, 각각의 세포는 $10{\sim}2000\;{\mu}g/ml$ 추출물 농도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각각의 조다당류가 투여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수명이 각각 $28.8{\sim}46.5%$ 연장되었다. 중성염용액으로 추출한 조다당류는 B 임파구의 alkaline phosphatase 활성을 대조군에 비해 약 $1.8{\sim}2.1$배 내외의 증가율을 나타냈다. 중성염추출 조다당류를 투여한 생쥐의 총 복강 세포 수는 대조군에 비하여 최고 9배 정도 증가하였으며, 혈액 중 백혈구의 수도 대조군에 비하여 약 1.9배 증가하였다. 또한 면역에 관련된 장기인 간, 비장 및 흥선의 체중이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구현옥, 김인천, 박신자, 정상희, 박종명, 이재진, 유한상, 이영순. 1999. 신령버섯(Agaricus blazei Murill)에서 분리한 다당체의 Staphylococcus aureus 감염 및 마우스 Sarcoma 180 종양세포에 대한 방어효과. 한국실험동물학회지 15: 155-158
  2. 김상범, 이건우, 김혜영, 심미자, 노현수, 이현숙, 이민웅, 이우윤, 이태수. 2006. 뽕나무버섯(Armillaria mellea)의 자실체에서 추출한 조다당류가 생쥐의 Sarcoma 180에 미치는 억제효과. 한국균학회지 36: 98-104 https://doi.org/10.4489/KJM.2006.34.2.098
  3. 박상신, 이갑득, 민태진. 1995. 버섯 중 항균물질의 검색 및 개발에 관한 연구. 그람음성균 및 곰팡이에 대한 항균물질의 검색(2보). 한국균학회지 23: 176-189
  4. 박완희, 이호득. 1991. 한국의 버섯. 교학사
  5. 박완희, 이호득. 1999. 한국약용버섯도감. 교학사
  6. 심성미, 임경환, 이우윤, 김정완, 심미자, 이민웅, 이태수. 2003a. 매미눈꽃동충하초(Paecilomyces sindairii)에서 추출한 조다당류의 면역활성 및 항암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균학회지 31: 155-160
  7. 심성미, 임경환, 김정완, 이우윤, 김하원, 이민웅, 이태수. 2003b. 삼색도장버섯(Daedaleopsis tricolor)에서 추출한 조다당류의 면역활성 및 항암효과, 한국균학회지 31: 161-167
  8. 오윤희, 이우윤, 이민웅, 심미자, 이태수. 2004. 저령(Grifola umbellata)의 균핵에서 추출한 조다당류의 면역활성 및 항암효과. 한국균학회지 32: 23-30
  9. 오윤희, 김상범, 이건우, 김혜영, 심미자, 노현수, 이현숙, 이만웅, 이우윤, 이태수. 2006. 흰목이(Tremella fuciformis)에서 추출한 조다당류의 면역 활성 및 항암 효과. 한국균학회지 34: 105-111 https://doi.org/10.4489/KJM.2006.34.2.105
  10. 조수묵, 이재훈, 한상배, 김환묵, 유승헌, 유익동. 1995a. Fomitella fraxinea로부터 분리한 면역활성 다당류(I)-중성염 용액 추출 다당류의 특성. 한국균학회지 23: 332-339
  11. 조수묵, 이재훈, 한상배, 김환묵, 유승헌, 유익동. 1995b. Fomitella fraxinea로부터 분리한 면역활성 다당류(II)-열수추출 다당류의 분리 및 특성. 한국균학회지 23: 340-347
  12. 진미림. 1996. 잣버섯 성분의 면역세포 및 전사인자의 활성화 작용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논문집. Pp 1-121
  13. 水野 卓, 川合正允. 1992. キノコの化學 . 生物學. 學會出版セソタ. p.372
  14. Arthur, C. and Guyton, M. D. 1986. Textbook of medical physiology. 7th Ed. W. B. Saunder company. Pp 51-59
  15. Choi, S. H., Jun, C. D., Lee, B., S., Park, S. D., Oh, J. S. and Chung, H. T. 1993. Effect of various extrinsic and intrinsic factors on the nitric oxide production of murine macrophage. Kor. J. BRM 3: 15-22
  16. Denizot, F. and Lang, R. 1986.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 growth and survival modifications to the tetrazolium dye procedure giving improved sensitivity and reliability. J. Immunol. Methods 89: 271-277 https://doi.org/10.1016/0022-1759(86)90368-6
  17. Gross, R. L. and Newbeme, P. M. 1980. Role of nutrition in immunologic function. Physiol. Rev. 60: 188-302 https://doi.org/10.1152/physrev.1980.60.1.188
  18. Komatsu, N., Okubo, S., Kikumoto, S., Kimura, K. and Saito, G. 1969. Host-mediated antitumor action of schizophyllan, a glucan produced by Schizophyllum commune. Gann. 60: 137-144
  19. Stevens, J. A. 1960. Calvacine, a new antitumor agent. Science 132: 1987
  20. Sugihara, T., Yoshioka, Y. and Nishioka, K. 1972. Anticomplementary activity of antitumor polysacchrides. Nature New Biology 235: 59-60
  21. Suzuki, M., Arika, T., Amemiya, T. and Fujiwara, M. 1982. Cooperative role of T lymphocytes and macrophages in antitumor activity of mice pretreated with schizophyllan. Jpn. J. Exp. Med. 50: 59-65
  22. Weir, D. W., Herzenberg, L. A. and Blackwell, C. 1986. Handbook of experimental immunology. 4th ed.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Boston. p. 60.1
  23. Ying, J. Z., Mao, X. L., Ma, Q. M., Zong, Y. C. and Wen, H. A. 1987. lcons of medicinal fungi from China. Science Press, Beijing, China

Cited by

  1. Antitumor and Immuno-potentiating Activities of Crude Polysaccharides from Fruiting Body of Agaricus brasiliensis vol.39, pp.1, 2011, https://doi.org/10.4489/KJM.2011.39.1.057
  2.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Non-Destructive-Type Device of Ingredients in Mulberry Leaf Tea vol.8, pp.10, 2013, https://doi.org/10.13067/JKIECS.2013.8.10.1595
  3. Immuno-stimulating and Antitumor Effects on Mouse Sarcoma 180 by Crude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Fruiting Body of Hericium erinaceus vol.20, pp.4, 2010, https://doi.org/10.5352/JLS.2010.20.4.623
  4. Effect of Flammulina velutipes Extracts Cultivated with Oriental Herbal Plants on the Activation of Immune Cells vol.22, pp.6, 2012, https://doi.org/10.5352/JLS.2012.22.6.828
  5. Immuno-stimulating and Antitumor Effects of Crude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Fruiting Body of Grifola frondosa vol.39, pp.1, 2011, https://doi.org/10.4489/KJM.2011.39.1.068
  6. Antitumor and Immuno-potentiating Activity against Mouse Sarcoma 180 by Crude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Fruiting Body of Tricholoma matsutake vol.18, pp.9, 2008, https://doi.org/10.5352/JLS.2008.18.9.12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