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경주 지역의 홍수 가능성과 인간 활동

The Possibility of Flooding and Human Activities of Gyeongju Area in Ancint Times

  • 발행 : 2007.12.31

초록

현재 경주시 북천, 서천, 남천으로 둘러 싸인 왕경 지역의 대부분은 최종빙기 동안 형성된 선상지 저위면에 해당한다. Holocene 중기 이후 북천은 이미 동적평형상태에 도달하여 하도의 형태와 폭이 현재와 유사하였거나 같았다. 삼국사기 기록에 의하면 경주 지역에서 홍수가 발생하여 사람이 죽거나 인가가 떠내려간 것은 $30{\sim}60$년 간격으로 발생한 경우도 있으나, 대체로 $150{\sim}200$년 간격으로 나타났다. 북천은 대규모 홍수 발생 주기가 상당히 길었으므로, 고대 동안 사람들은 북천 하상의 많은 부분을 홍수 피해로부터 거의 안전한 곳으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학자들 사이에는 고대 동안 북천에 제방이 조성되었다는 주장이 지속되고 있다. 북천의 하천에너지가 최대가 되는 분황사 동쪽 북천 좌안에서는 측방침식을 막기 위하여 축대를 조성하였으나 인공제방을 조성하지 않았다. 지형학적으로도 왕경 지역의 선상지 지형면 위에 고대의 충적층을 확인할 수 없다. 그리고 선상지 퇴적층 위에 신석기 시대, 청동기 시대, 초기 철기 시대의 문화층이 신라 시대 문화층과 함께 분포한다. 아울러 범람을 막기 위해 북천을 연하여 숲을 조성한 기록도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사실들은 고대 동안 북천이 범람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The Royal District in Gyeungju-city was placed in lower surface of alluvial fan that was formed during the Last Glacial Age. During the Holocene, Bukcheon-river was reached in the dynamic equilibrium status and the form of river channel was similar or same to the present. The cases of dying people and carrying houses away by flood for ancient history in Gyeongju were six times, in 131, 160, 350, 496, 657 and 703. Like this big flood was happened at interval of $150{\sim}200$years. A period of big flood appearance in Bukcheon-river was extremely long. Therefore the people who had lived in Gyeongju for ancient history perceived that most part of riverbed of Bukcheon-river was a safety place from flood damages. Not only private houses. In east part of Bunhwangsa temple, that is, west side of Bukcheon-river where the river energy is maximum, a pillow block was built to prevent a lateral erosion but any artificial riverbank was not. In spite of high flood possibility in Bukcheon-river, there was no facility to prevent floods in this section. Also, deposits of flood are not identified. This point is very suggestive that Bukcheon-river did not flood for ancient history.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봉원, 2005, '경주 북천의 수리에 관한 역사 및 고고학적 고찰,' 신라문화, 25, 337-360
  2. 김재홍, 1995, '신라 중고기의 저습지 개발과 촌락구조의 개편,' 한국고대사논총, 7
  3. 김재홍, 2001, 신라중고기 촌제의 성립과 지방사회구조,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4. 박홍국.정상수.김지훈, 2003, '사로 6촌의 위치에 대한 시론,' 신라문화, 21, 117-138
  5.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78, 안압지 발굴조사보고서
  6.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1984, 황룡사 유적발굴조사보고서
  7. 문화재연구소.경주고적발굴조사단, 1990, 월성해자 발굴조사보고서
  8. 윤순옥.전재범.황상일, 2001, '조선시대 이래 한반도 지진발생의 시공간적 특성,' 대한지리학회지, 36(2), 93-110
  9. 尹順玉.曺華龍, 1996, '第4紀 後期 英陽盆地의 自然環境變化,' 대한지리학회지, 31(3), 447-468
  10. 尹順玉.黃相一, 1999, '한국 동해안 경주시 불국사단층선 북부의 활단층지형,' 대한지리학회지, 34(3), 231-246
  11. 윤순옥.황상일, 2004, '경주 및 천북 지역의 선상지 지형발달,' 대한지리학회지, 39(1), 56-69
  12. 이근직, 2000, '북천유역의 역사.문화 유적,' 경주 북천 문화.환경 생태 보전 자연학습단지 조성사업 기본계획(경주시.서라벌대학), 47-102
  13. 이기봉, 2002, 신라 왕경의 범위와 구역에 대한 지리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이청규.장순자, 2002, '경주권역의 청동기시대 마을 유적에 대한 일고찰,' 일류학연구, 12, 1-22
  15. 정영화.이근지, 2002, '신라 왕경의 형성 과정에 대한 소고 -사찰 창건시기와 권역 이동을 심으로-,' 인류학연구, 12, 37-49
  16. 朝鮮總督府, 1916, 朝鮮總督府製作 一万分之一朝鮮地圖集成, 경인문화사 영인본(1990)
  17. 黃相一.尹順玉, 2001, '한국 남동부 경주 및 울산시 불국사단층선 지역의 선상지 분포와 지형발달,' 대한지리학회지, 36(3), 217-232
  18. Brown, A. G., 1997, Alluvial Geoarchaeology: Floodplain Archaeology and Environmental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