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charge Variation of Perforated Hoses and Drip Irrigation Systems for Protected Cultivation

시설재배용 분수호스 및 점적관수 시스템의 관수균일도 분석

  • Nam, Sang-Woon (Division of Bioresources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Young-Shik (Department of Plant Science and Technology, Sangmyung University)
  • 남상운 (충남대학교 생물자원공학부) ;
  • 김영식 (상명대학교 식물산업공학과)
  • Published : 2007.12.30

Abstract

Discharge variations of perforated hose and drip irrigation systems were examined to evaluate irrigation uniformity at different pressures and length of branch line. Evaluation using statistical uniformity indicated that button drippers performed at excellent level but drip tapes and drip hoses were a little lower level. Nominal discharge of drip irrigation systems showed at the high side within the range of regulating pressure provided by the manufacturer. It is desirable that the length of branch line for drip hose, drip tape, and button dripper should be limited to 50 m, 70 m, and 100 m, respectively. Irrigation uniformity of perforated hoses showed very low level. So it is recommended that the length of branch line for perforated hoses should be limited to $30{\sim}35m$.

점적관수 자재 및 분수호스의 관수균일도 실험결과 사용압력과 배관길이에 따라 유출량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점적관수 중에서는 점적단추의 관수 균일도가 가장 높았고, 점적테잎, 점적호스의 순으로 나타났다. 관의 직경과 길이 및 유량에 따라 다르지만 마찰에 의한 압력손실이 상당히 크므로 점적관수의 사용압력과 배관길이 선택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제품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었지만 대체로 점적호스는 50m, 점적테잎은 70m 정도를 최대 배관길이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점적단추는 실험에서 설정한 최대길이인 100m까지도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관수시스템의 압력을 체크하여 충분한 압력을 확보하고 있는지 검토할 필요가 있고, 부족시 별도의 가압펌프를 설치하여 적정압력 범위를 만족할 수 있도록 하며 물구멍이 막히지 않도록 필터를 설치하고 수질을 관리하는 등의 유지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분수호스의 경우에는 균등계수가 매우 낮아 균일한 관수를 기대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균일한 관수 제어를 필요로 하는 높은 수준의 시설재배에서는 가능한 한 점적관수를 사용하고, 비교적 낮은 수준의 배지수분 관리가 이루어지는 시설재배에서도 분수호스를 이용할 경우 배관길이를 $30{\sim}35m$이내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ASAE Standards, EP405.1. 1997. Design and installation of microirrigation systems. S1, Joseph, MI : ASAE
  2. ASAE Standards, EP458. 1997. Field evaluation of microirrigation systems. St, Joseph, MI : ASAE
  3. Lee, B.I. et al. 1993. Protected horticulture new edition. Hyangmoonsa Press. p. 189-196 (in Korean)
  4. Lee, N.H., H.C. Hwang, and S.W. Nam. 1998.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irrigation systems for greenhouse farming. Journal of the KSAE 40(6):37-45 (in Korean)
  5. Lee, N.H. 1999. Performance and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drip emitters. Journal of the KSAE 41 (3):33-40 (in Korean)
  6.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2004. Design standards for agricultural production infrastructure development (part of irrigation canal). KSAE. p. 107, 503 (in Korean)
  7. Nam, S.W. 2000. Gross and unit irrigation water requirement for greenhouse design. Proceeding of Bio-Environment Control 9(1):108-112 (in Korean)
  8. Nam, S.W., Y.S. Kim, and I.K. Yang. 2007. Discharge variation of drip irrigation systems at different pressures and the length of a pipeline. Proceeding of Bio-Environment Control 16(2), p. 119 (in Korean)
  9. 日本施設園藝協會. 1997. 最新施設園藝の環境制御技術, 誠文堂新光社. p. 112-117 (in Japane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