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patio-temporal Change Analysis of Rural Landscape Patterns using Landscape Ecology Indices : Focused on a Part of Gyeonggi-do

경관생태지수를 활용한 농촌경관의 시계열적 변화 분석 - 경기도 일부 시.군을 대상으로 -

  • 오윤경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대학원) ;
  • 최진용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 배승종 (교토대학 지구환경대학원) ;
  • 장민원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Published : 2007.11.30

Abstract

Studies in landscape ecology have emphasiz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scape patterns and shapes. A variety of landscape metrics has been developed so far to quantify landscape structures. Therefore, their developments and widespread applications become possible with the advent of spatial information systems includ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GIS) and remote sensing. This study is to grasp the change of land use and landscape ecology indices, and to analyze the change of landscape structure in a part of Gyeonggi-do during 15 years from 1985 to 2000. Green-area distribution maps and agricultural-area distribution maps for the analysis were reconstructed from land cover maps constructed by WAMIS(Wat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And then, 4 landscape ecology indices(TA, LPI, SHAPE_AM, CAI_MN) for the green-area and 5 landscape ecology indices(TA, PD, LPI, LSI, CAI_MN) for the agricultural-area were selected by using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spatio-temporal change analysis using landscape ecology indices, the green-area fragmentation of Yongin was the most severe of the study area and the agricultural-area fragmentation of Gwangju and Namyangju was more severe than any other regions.

Keywords

References

  1. 강병서, 2005, 다변량 통계학, 한경사
  2. 경기도, 2000, 경기통계연보, 경기도
  3. 김선주, 2005, 어메니티 자원화를 위한 농업기반시설 정비 방향, 한국농공학회지 전원과 자원, 47(4), pp.33-40
  4. 김훈희, 2000, 토지이용변화 확률에 따른 녹지 환경의 민감성 평가, 상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노형진, 2005, 다변량분석 이론과 실제, 형설출판사
  6. 박명원, 2007, 경기도 도시정책의 이슈와 발전 방향, 대한토목학회, 55(7), pp.19-27
  7. 박선엽, Stephen L. Egbert, 2003, 미중부지역 농지보전 프로그램에 의한 경관구조 변화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9(4), pp.519-533
  8. 박인환, 장갑수, 2002, 대도시 주변지역의 토지 이용변화 :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0(1), pp.1-10
  9. 서주환, 최현상, 이준근, 2002, 농촌경관 도입요소의 조작을 통한 경관 평가 - 농촌 문화마을을 대상으로 -. 한국산림.휴양학회지, 6(4), pp.1-7
  10. 손학기, 김원주, 박종화, 2000, 도시공원의 경관 생태학적 분석-패취의 형태지수와 분산도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3(4), pp.12-19
  11. 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 (WAMIS), 2006, 지형공간 자료 명세서, http://www.wamis.go.kr/
  12. 이응경, 1998, Trend of forest fragmentation in the lower region of the Han river basin,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장갑수, 박인환, 1999, 경상북도 4개 도시의 녹지 파편화 현상 비교, 환경영향평가 8(4), pp.13-23
  14. 정성관, 오정학, 박경훈, 2003, 도시경관계획수립을 위한 경관파편회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6(3), pp.11-20
  15. 정성관, 오정학, 박경훈, 2005, 경관지수를 활용한 낙동강 유역 산림경관의 시계열적 패턴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8(2), pp.145-156
  16. 조규영, 옥진아, 서주환, 2002, GIS를 활용한 주거용 적지분석에서의 절차적. 방법론적 합리성 2: 용인시를 사례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5(2), pp.65-77
  17. 최원영, 정성관, 오정학, 유주한, 2005, 경관지수와 생태계용역가치를 활용한 대구광역도시권 경관의 구조적, 기능적 변화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8(4), pp.102-113
  18. Cafaldi, R.L., J.D. Allan, J.D. Duh & D.G. Brown, 2004, Spatial patterns in land cover of exurbanizing watersheds in southeastern Michigan,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66(2), pp.107-123 https://doi.org/10.1016/S0169-2046(03)00098-7
  19. McGarigal, Kevin. & J. Marks Barbara, 1995, FRAGSTATS : spatial pattern analysis program for quantifying landscape structure, Portland : U.S. Dept. of Agriculture, Forest Service, Pacific Northwest Research Station
  20. Tinker, D.B., C.A.C. Resor, G.P. Beauvais, K.F. Kipfmueller, C.I. Fernandes & W.L. Baker, 1998, Watershed analysis of forest fragmentation by clearcuts and roads in a Wyoming forest, Landscape Ecology, 13(3), pp.149-165 https://doi.org/10.1023/A:1007919023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