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Pauperization Process of Low-Income Woman Head of Household

저소득 여성가구주의 빈곤화 과정에 대한 연구

  • Published : 2007.11.30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the problem of feminization of poverty that is formed within family relations. In order to approach this question, this study analyses the process of becoming poor through the life stories of ten woman are now heads of a household. There are differences among the study participants in the process of becoming a member of a low-income class. I have classified them into two groups depending on the routes they are led into the low-income class; one is the continuation of poverty group, and the other is the new members of the low-income class group. The continuation of poverty group is the case where they have been poor since their childhood and are still poor in their adulthood. The new members of the low-income class group is the case where you have become a low-income class sometime around divorce. The difference of the groups are related to the differences of the ways the power relationships work within a family. Women head of a household are prone to poverty because of the discrimination in formation, distribution and control of resources in their original family and their family formed by marriage. The norm of male breadwinner worked as a discrimination device. But this kind of discrimination device showed differences in their workings according to class. The continuation of poverty group experienced exclusion in the gendered responsibility of supporting the family and maintaining the family, whereas the other group experienced exclusion through the gendered nature of the distribution and control of resources. By showing that the presupposition of discussions on the poverty of woman head of a household is false, these findings challenge the existing view that as long as 'The Family' is maintained women will not be poor.

본 연구는 가족과의 관계 속에서 형성되는 여성 빈곤의 문제, 특히 남성 생계부양자 규범에 의해 여성들이 어떻게 자원배분과 자원통제에서 배제되어 빈곤에 취약해지게 되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혼경험이 있는 저소득 여성가구주 10명의 생애사를 분석하였다. 저소득 여성가구주들이 빈곤층에 이르게 되기까지 빈곤경로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가구주들이 빈곤에 이르게 되는 경로에 따라서 빈곤의 지속유형과 빈곤으로의 유입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여성가구주의 빈곤은 출생 가족과 결혼 후 가족에서 자원형성과 자원배분, 자원통제에서의 차별을 통해서 빈곤에 취약해졌다. 남성 생계부양자 규범은 차별기제로 작동되었으나 빈곤화 경로 유형에 따라서 그것이 작동되는 방식에서 차이가 있음을 드러내었다. 빈곤의 지속 유형 사례 여성들에게 남성 생계부양자 규범은 상징적인 힘으로 작동되면서 이 여성들의 경제활동은 가족을 보살펴야 하는 아내 역할의 차원에서 수행되었다. 반면 빈곤으로의 유입 유형 사례 여성들에게 남성 생계부양자 규범은 피부양자의 위치로 자신을 인식함으로서 직업경력 단절 및 자원통제권을 상실하게 되면서 빈곤에 취약해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지금까지 여성가구주로 빈곤 논의에서 전제되고 있는 통념이 허구임을 밝힘으로써, 가족(The Family)만 유지된다면 여성은 빈곤하지 않을 것이라는 기존 시각을 문제화하고 관점 전환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Keywords